그리스 로마 철학 기행 - 유럽 문화 예술 기행 2
클라우스 헬트 지음, 최상안 옮김 / 백의 / 2000년 5월
평점 :
절판


Treffpunkt Platon
클라우스 헬트 지음 / 최상안 옮김
백의 펴냄

험... 그러니까,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가 한국에서 히트 치고 있던 그 시절..에 사왔던 책이다. 책장에 꽂아넣고 몇 년을 묵혔다. 그 대 당시 비슷한 류의 매우 쉬운 한국의 모 철학과 교수가 썼던 책을 읽고 너무 실망하여 분명히 이 책은 다르겠지 라고 생각해놓고 완전히 잊고 있다가 .. 트로이를 보고 이 책이 떠올랐다. (내 책장엔 이런 류의 책들이 아직도 꽤 있다.)

글쎄.. 내가 주의깊지 않아서인가 모르겠지만 그리스 로마신화 몇 번을 읽어도 명확하게 떠오르지 않고 그게 그거였던 거 같고 뭔가 너무 복잡하고 다시 읽으면 기억나지만 실생활에서 활용이 안되는 ..어설픈 그런 것들이 그리스 로마 쪽 철학 문학이라고 해야할까.
흐름과 맥락이 잡혀있지 않아서 늘 부족한 부분.

이 책은 약장사처럼 선전하고 싶은 책이다.
저자가 머릿말에 밝혔듯이 일반인을 상대로 한 수많은 강의를 통해 얻은 경험은 너무 쉬워도 너무 어려워도 안되는 것이었다는 것, 그래서 이 책은 너무 쉽지도 너무 어렵지도 않으며 서양철학의 근원이 어디서 시작되었는가, 우리가 믿고 있던 그 이야기들은 어디에 뿌리를 두고 있는가에 대해서 조근조근히 설명해주고 있다. 가끔은 행간에 눈을 두고 과연 그러한가.. 왜 그러한가 하게 생각을 해주는 여유까지 가져다 줄 줄 아는, 훌륭한 책이라고 해야하나..

뭐 대단하게 어떤 새로운 의식을 열어주거나, 충격을 주는 감동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 그리스 로마, 서양철학의 기초부분에 대한 갈급함을 충분히 채워줄 만한 적절한 교양필독서쯤 된다고 할 수 있다.

줄 쳐가며 집중해서 읽어도 좋고, 머리를 쉬어가겠다는 생각으로 읽어도 될, 스스로의 입맛에 따라 받아들이는 부분이 분명히 다를 평범한 사람들을 위한 인문서적.

2004. 8. 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