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삼관은 이 소설의 주인공 이름이다.
이 소설은, 중국문학을 대표하는 것처럼, 한국에 너무나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으므로 그다지 긴 이야기는 필요없을 듯 하다.
작가 위화(余華)는 영화 "인생"의 원작인 活着의 저자이기도 하다.
나름대로 문화대혁명 기간중엔 편안한 인생을 보냈는데도, 그의 두 작품은 자신이 겪지 않은 일들에 대한 일들로만 보인다.
한국에서는 이 사람이 중국현대문학의 대표자로 인식될 수도 있겠으나, 중국에서 위화의 위치는 그리 크지는 못하다. "인생"이라는 영화를 못 본 사람이 더 많고, 이 작가를 모르는 사람도 많다.

허삼관 매혈기를 소개하는 많은 글들이 아마 이 이야기를 더불어 할 듯 한데, 몇 년 전 CCTV(중국중앙방송 - 당연히 국영방송임)의 對話라는 대담프로에 나왔던 한 부부의 이야기말이다.
이 부부는 시골에서 손바닥만한 땅덩이 부쳐먹고 사는 사람들이었는데, 하나밖에 없는 아들이 잘나 북경에 있는 대학에 덜커덕 붙어버렸단다. 그래서 그 아들을 북경(북경이공대로 기억됨..)으로 유학보내고 나니, 시골과는 천지차이인 생활비 대랴, 학비 대랴 정신이 없었단다. 그래서 결국은 두 내외가 돌아가면서 피를 팔아 애 학비를 댄 것이다. 그런데, 아들놈은 방학이 되도 집에 내려오지도 않기를 계속하더니 급기야 연락두절이 되어 북경으로 상경을 하여 보니, 아들놈은 이미 학교에서 제적당한 지가 오래전 일이고, 그동안 학교앞의 PC방에서 죽대리고 사느라 다른 친구들보다 훨씬 더 많은 용돈을 쓰면서 학비까지 게임비로 탕진을 했다는 것이다. (학비는 대략 한화로 한학기 60만원가량에 이른다. 이 정도 돈은 대도시에서 쉽게 쓸 수 있는 돈이기도 하다.)그리하여, 이 촌부처가 TV에 나와 이 일을 우짜겠냐고 하는 내용이 소개되었다는데, 매혈이라는 것이 중국에서 그렇게 생소한 일은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자.. 이렇게 사설이 길었다. 흠.

사람이 급하게 되면 피라도 못 팔겠는가. 콩팥은 예사요, 간까지 팔겠다는 마당에 말이다..
허삼관은 그렇다고 지지리도 가난해서 맨날 피를 팔아야 하는 사람은 아니고 그저 비자금이 없을 뿐이다. 그래서 그의 인생의 고비엔 늘 매혈이 함께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소설은 20대의 허삼관이 장가를 들어 아들을 낳고 가족을 이루고, 그리고 두 아들이 장성하여 나중에 피도 팔 수 없는 노인네가 되기까지의 이야기를 너무나 중국적으로 그리고 있는데, 작가는 주인공과 상당히 먼 거리를 두고 허삼관을 십분 이해하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그리하여 독자는 허삼관의 가치관에 고개를 갸우뚱 하면서도 동시에 얼토당토않은 괴변을 늘어놓는 친구에게 동의하는 것처럼 허삼관의 이야기를 듣게 되는 것이다.

아래 이야기했던 "사람아 아 사람아"는 중국의 고뇌하는 지식인들의 피토하는 이야기라면, 이 "허삼관 매혈기"는 그저 하루 하루 먹고 살고 자식 잘 크면 그만이라는 소박한 사람들의 일상을 그리고 있다.
중국을 이해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한 권의 소설에서 분명히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