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난 아버지의 마음 비슷한 것

 

이렇게 잘 쓰는 사람이 많은 세상에서 나도 뭔가를 쓴다는 것이 의미가 있기는 한 건지 자주 생각한다. 언제부터 이랬는지는 모르겠지만, syo, 너 잘 하는구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종목이라곤 이제 달랑 두 개 남았다. 첫째, 이야, 넌 참 치킨을 맛있게/많이/잘 먹는구나. 둘째, 이야, 넌 글을 잘 쓰는구나. 첫 번째 칭찬을 들으면 오히려 모자란 감이 있어서 종종 발끈한다. ‘맛있게/많이/이라니. 틀렸어요. ‘맛있게+많이+입니다. 아시겠어요? 그러나 두 번째 칭찬은 아무래도 머쓱하다. 심지어 두 번 들으면 한 번 쯤은 혹시 이거 다 거짓말인거 아시죠?” 라는 추가멘트가 은닉되어 있지는 않은지, 눈알을 데구르르 굴려대며 열심히 문맥에다 곡괭이질을 하곤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치킨은 앉아 먹건 서서 먹건 온갖 기교를 동원해 천장에 거꾸로 붙어서 먹건 남는 거라곤 뼈 말고는 없지만, 쓰면 글이 남는다. 손으로 쓰면 손으로 쓴 글이, 발로 쓰면 발 냄새가 물씬 나는 글이 남는다. 온갖 기교를 동원해 천장에 거꾸로 붙어서 쓰면 그야말로 피가 거꾸로 솟는 몹쓸 녀석이 태어나는 것이다. 성실하지만 안타깝게도 건강하지는 못한 암탉마냥 꾸역꾸역 똥글을 낳다가도, 문득 잘 지내나 싶어서 1년쯤 전에 쓴 글을 다시 찾아가보면, 이제 월령이 겨우 12개월 된 그 글이란 놈이 담배를 꼬나물고 침을 찍 뱉으며 원망의 눈빛을 쏘아대는 것이다. , 아버지, 왜 나를 낳았어. ? 당신도 이렇게 나를 부끄러워 할 것을, 이럴 거면 대체 왜 낳았냐고......

 

syo는 글 쓰는 일도, 그러니까 소설이나 시는 당연하겠지만 그런 거 말고 지금 이따위 글을 쓰는 일조차 예술의 영역에 발꿈치 정도는 슬쩍 밀어 넣은 거라고 믿는다. 그리고 예술은 누구나 할 수 있고 해도 되지만, 결국 오래 남고 널리 소비되는 것은 크건 작건 재능이 있는 사람들의 손에서 빚어진 것들뿐이라고도 믿는다. 결국 syo의 글은 낮은 확률로 syo를 만족시키고, 그보다 말도 못하게 더 낮은 확률로 극소수 이웃들의 고개를 가볍게 몇 번 끄덕거리게 만든 다음, 너무 오래 구운 0.5mm 대패삼겹살마냥 물기를 잃고 퍼석퍼석하게 퇴장한다. 의미 없고 독자 없는 글들이 가서 죽는다는 어느 활자의 공동묘지에서 묘비도 없이 하얀 뼛가루로 흩어질 나의 글들아...... 못난 글쓴이를 둔 글에게 정말 미안하돠아아아악!!

 

하고 보니 농업혁명 시절 패러디였네요. 하여간,

 

오늘 무지하게 공부가 안 되는 바람에 도림천을 45분간 달렸으나, 그래도 여전히 공부가 안 되는 바람에, 그 바람에 작년에 쓴 글들을 쭉 한 번 읽어보는 그리 탐탁지 않은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그 결과 생각하길, , 도대체가 나라는 인간은 왜 발전을 모르는가.

 

Q. 발전이 뭐예요?

A. 전기 만드는 거요.

Q. ...... 왜 당신은 발전이 없나요.

A. 뭐래, 이 양반아. 내가 무슨 피카츄도 아니고.


자가발전의 아이콘, 매일 발전하는 상남자의 상징 피카츄

 


요즘은 거의 읽지 못하고, 쓰는 것 역시 꾸준하지 못하다. 써놓은 글들을 하나씩 되짚으면서, 재능이 미미한 사람에게 글쓰기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런 사람은 어떤 방식으로 글을 단련해야 하는지 곰곰 생각해보았다. 생각건대, 많이 쓰면 글은 두 가지 양상으로 는다. 우선, 무슨 축복인지 모르겠지만 정말 글이 잘 되는 그런 날, 하늘의 도움을 받아 만들 수 있는 내 글 퀄리티의 천장이 높아진다. 또한, 전생에 내가 나라를 팔아먹었나 싶을 정도로 글이 안 되는 날, 내 최악의 글이 그래도 땅굴을 파고 파고 계속 파서 지옥 불구덩이에서 유황스멜 맡을 때까지 떨어지지는 않게끔 밑바닥을 단단히 받쳐준다. 아무래도 syo처럼 태어나길 먼지로 태어난 인간은, 죽는 날까지 천장을 높여 봐야 그럴싸한 것 하나 못 낳고 먼 길 떠날 공산이 크다. 그러니까 나는 꾸준히 밑바닥을 받쳐 올리는 글을 써야 하겠다. 오늘의 글이 내가 쓴 가장 훌륭한 글이 될 수는 없더라도, 내가 쓴 가장 거지같은 글은 되지 않도록 쓰는 일. 기복을 자꾸 줄여가는 일. 그 일들이 쌓이고 쌓여서 syo놈은 최소한 글을 발로 쓰지는 않더라는 이야기가 만인의 공감을 얻을 때쯤, 언제 다시 되돌아봐도 크게 부끄럽지 않은 글들을 쓸 수 있게 될 그 때쯤이면 스스로의 글쓰기에 만족할 수 있으리라 믿으면서.

 

 


어느 집단이든 1등이 있으면 꼴등도 있다정규분포는 상위 10%가 있으면 하위 10%도 있다는 것을 이야기해준다모든 것이 완벽히 효울적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는 것이다잉여는 말 그대로 '남는다', '필요 없다'는 뜻이다하지만 잉여인 것과 잉여가 아닌 것을 나누려면 그 기준이 옳다는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한다기준이 영원불멸한 것이 아니라면 오늘의 잉여가 내일의 필수가 될 수도 있고오늘의 필수가 내일의 잉여가 될 수도 있다사실 잉여를 판단하는 '가치'라는 것도 대개 근거 없는 경우가 많다특허청 직원 아인슈타인의 잉여 연구가 상대론을고장 난 기계를 고치던 스티브 잡스의 잉여짓이 애플을 낳지 않았는가.

김상욱김상욱의 과학공부 

 

영화 보는 것을 좋아하는데 수년간 영화를 한 편도 안 보는 사람은 없다글을 쓰고 싶은데 글을 수년간 한 편도 안 쓰는 사람은 주변에서 종종 본다글을 쓰고 싶은 것과 글을 쓰고 싶은 '기분'을 즐기는 것은 구분해야 한다.

은유글쓰기의 최전선


 생각하는 것이 즐겁고 그것을 말하는 것이노래하는 것이그리고 쓰는 것이 즐겁다그것이 고될 때 '아휴 죽고 싶다'라는 말을 습관처럼 했던 것 같다하지만 그게 '죽는 게 좋겠다' '살아서 뭐하나'라는 뜻은 아니었다최근엔 습관으로라도 그런 말을 했던 것이 부끄러웠다나는 살고 싶다그래서 침을 맞으면서 그렇게 외쳤던 거다살려주세요살고 싶습니다즐겁게 살고 싶습니다.

 

 그 방법을 계속 찾으며 살아가겠습니다.

이랑대체 뭐하자는 인간이지 싶었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18-04-10 0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syo님은 이렇게나 매력 뽐뿌하는 글을 올리시면서~~~^^
게다가 위대한 댓글 트렌드 리더잖아요~~
우아, 멋져라!!!

syo 2018-04-10 11:47   좋아요 0 | URL
그 댓글은 좀 뿌듯했다.....ㅎㅎㅎㅎ
이맛에 댓글질 하나봐요!

유부만두 2018-04-10 08: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의미가 아루요. 있다다마요. 제가 읽고 아 조으다, 하고 하뜨도 누를 수 있습니다.
한낱 먼지로 흩어지더라도...혹은 몇 바이트로 삭제될 지라도 오늘도 자판을 누르십시오?
이상 음식을 맛있게, 많이, 잘 먹고 (심지어 만들기도 하는) 아줌마 팬이 드립니다. (닉넴을 보세요, 자아가 음식임)

syo 2018-04-10 11:51   좋아요 0 | URL
음식을 만드는 일이야말로 남는 일인 것을요. 유부만두님은 진정 닉네임에 부끄럽지 않은 삶을 사시는구나.....

요리 바보 syo는 키보드나 뚜쉬뚜쉬 누르겠습니다.

cyrus 2018-04-10 1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피카츄는 ‘발전‘이라는 이름으로 지우에게 착취당하는 희생의 아이콘입니다.. ㅎㅎㅎ 한 마디로 말하면 피카츄는 지우의 노예 1호입니다. 노예 2호는 밥 해주는 웅이.. ^^;;

syo 2018-04-10 18:09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ㅋㅋㅋ 역시 우리는 포켓몬세대...

라로 2018-04-11 12: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이, 그럼 저는 어떻게 하라고요????ㅠㅠ
˝아, 도대체가 나라는 인간은 왜 발전을 모르는가.˝<---이거 완전 제 문장이라고요!!
글고 제가 syo 님께 댓글로 비댓글로 글을 잘쓰신다고 그렇게 간절히 말한거 진심으로 안 들으셨구나!! 철푸덕~~
오늘 모처럼 알라딘에 들어왔고 기분 엄청 꿀꿀한데,,,에이, syo 님 때문에 그냥 울어버릴래요~~~.ㅠㅠ

syo 2018-04-11 12:53   좋아요 0 | URL
아니, 그런 것이 아니오라,
아무래도 제 눈에 제 글이 안 이쁜데 어쩌겠어요.......

에이 나도 광광 울어버릴란다ㅠㅠㅠㅠ

서니데이 2018-04-11 15:1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syo님, 공부는 잘 되시나요.
오늘도 바람 많이 부네요. 좋은 오후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