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에 <성의 변증법> 읽고 나면 김은주 님의 <페미니즘 철학 입문>에서 5장, <성의 변증법> 을 다룬 챕터를 읽어야지 생각했었는데, 

<성의 변증법> 읽고 신나서 까먹어버렸던 듯 하다. 복습하는 기분으로 읽었다. 확실히 나 혼자 읽을 때보다 방대한 데이터에서 요점을 집어내서 맥락을 연결해주는 글을 읽으니 더 이해가 잘 되는 것 같은 기분을 느꼈다. 



몰랐던 건 아니지만 중요성을 다시금 느낀 부분이 크게 두 부분인데 



하나는 여성을 하나의 성 계급으로 보았다는 부분. 분명 내가 쓴 글을 봐도 그 부분을 언급하고 있는데, <페미니즘 철학 입문> 읽으면서 사실은 내가 자본가, 프롤레타리아, 혹은 그 안의 하위 분류 안에서 각각 남성이 더 우위에 있고 그 아래에 여성이 있다고 생각했던 걸 깨달았다. 마르크스나 엥겔스가 소유하고 있는 부의 정도 혹은 사회적 지위로 계급을 나눴고, 나는 각 그 계급에서 남성-여성 이렇게 되어 있다고 생각했던 것. 내가 알고 있던 기존의 계급 구조에 여성을 끼워넣었던 거다. 그렇게 되면 여성의 각자 위치에서의 특수성이 부각될 거다. (물론 이건 내가 페미니즘 책을 읽고 모든 여성은 단일한 조건에 있지 않다 라는 것을 내면화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파이어스톤이 성별, 생식기능에 따라 '성 계급' 이라는 것으로 카테고리화 했을 때 여성은 하나로 묶인다. 여성의 연대를 강조할 때에는 이 개념이 유용할 것이다. 가만, 그러고보니 이건 보부아르가 <제2의 성>에서 했던 것인데... 그러니까 역시 보부아르 언니가 대단한 일을 해냈다는 생각이 든다. <제2의 성> 읽으면서 <가부장제의 창조>가 여기서 나왔구나! 했었다. 그런데 한참 뒤이더군... 




여기서 갑자기 전에 읽은 그림책 생각이 났다. 그 때도 혼자 읽었으면 그렇게까지 열심히 파지 않았을 것 같은데 


(여기까지 쓰고 벌떡 일어나서 에어컨을 켰다) 



 생각난 책은 헬렌 옥슨버리의 1973년 작, Pig Tale (국내 번역본 제목은 <행복한 돼지>) 이다. 헬렌 옥슨버리의 남편 역시 그림책 작가로 유명한 존 버닝햄이다. (서재 분들은 잘 모르실지도) 옥슨버리는 1938년 생으로 원래 무대 디자인 일을 했던 사람이지만 결혼하고 아이들을 돌보면서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인 일러스트레이터 일을 시작했다고 한다. 본인 성을 계속 쓴 걸 보면 나름 독립적인 여성이었던 듯. 헬렌 옥슨버리의 그림체도 좋아하고 다른 책도 좋아하지만 처음 읽은 책이 <행복한 돼지> 라서 이 책의 인상이 강하게 남아있다. 내가 계속 관심있던 주제가 들어있기도 하고. 


<행복한 돼지>의 줄거리는 농장에서 주는 거 먹고 뒹굴거리며 살던 돼지들이 어쩌다 보물상자를 파내서는, 부자가 되어 경제적으로 독립(?)하고 인간같은 삶을 살다가 뭐야 예전이 더 좋았어! 하면서 다시 농장으로 돌아간다는 이야기인데... 여기서 더 생각했던 것은 두 가지다. 하나는 지금부터 얘기하려는 것이고 하나는 독립적인 상태보다 농장에서 사육되는 상태를 동물들이 더 좋아한다고 그렸다는 것. 두 번째는.. 작가의 의도를 잘 모르겠다. 그렇지만 첫 번째에 있어서 작가의 의도는 분명했던 것 같다. 





(예전에 찍어놓은 사진을 가져옴.. 정말 대충 찍었었구나)


돼지들이 농장에서 살 때는 옷을 입고 있지 않았고, 이들의 행동이 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돼지들이 인간처럼 살게 되자, 베르타와 브릭스의 일은 달라졌다. 

베르타가 식사를 준비할 때 브릭스는 어슬렁거리고, 신문을 읽는다. 





가장 화가 났던 부분이 이 부분이었다. 

베르타가 밥을 하느라고 바쁜데, 왜 브릭스는 할 일 없이 빈둥거리며 심심해하냐고!

심지어 그렇게 새 차를 몰고 시골길로 나갔다가 차가 망가지는 것이 이 두 돼지가 됐어! 다 귀찮아! 이전으로 돌아갈래! 하는 계기가 된다..


(농장은 70년대 히피들의 삶을 그린 것인가?!)



왜 갑자기 성별에 따라 삶이 달라졌지? 하고 찾아보니 

보물상자를 찾은 것은 브릭스였다.





그리고 보물상자를 팔에 낀 브릭스와, 브릭스에게 팔짱을 낀 베르타.



당시에는 70년대가 어떤 시대라는 것을 내가 자세히 몰랐으나, 이 그림책이 1970년대에 나왔다는 것이 우연은 아닌 것 같다. 여기선 베르타가 재생산을 하지는 않고, 부를 누가 갖고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그리는 것 같지만. 이 책을 읽은 2016년부터 나는 불만이 많았구나 새삼 느낀다. 



너무 옆길로 샜는데... <성의 변증법> 에서 중요성을 다시금 느낀 두번째 부분은 아동의 해방 부분이다. 근대적 가족 개념에 익숙한, 한 아이의 어머니이기도 한 나는 가족을 그리 아름답게만 생각하지는 않지만 아동을 보호해야 하는 존재로 생각하는 것에 익숙한데... 물론 아이는 보호받고 싶을 때와 자유롭고 싶을 때를 본인이 알아서 넘나들고 있다. 나쁘게 말하면 반항적 좋게 말하면 독립적이기도 한데... 어쨌든 배우자에게 의무감은 별로 느끼지 않으나 아이에 대해서는 책임감을 느낀다.



아동기를 없애자는 건, 아동에 대한 착취를 없앤다는 의미도 있지만 여성과 아이 사이의 유대도 끊을 수 있는 거죠. (286)


파이어스톤은 여성이 하나의 인간으로서 착취 구조에서 벗어나려면, 양육, 아이와의 정서적 친밀성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 것 같아요. ... 그래서 아동기를 숭배하는 것도 경멸하죠. ... 결국 아동기에 대한 숭배와 가부장제 핵가족의 발달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말하는 겁니다. 이 아동기의 숭배를 지탱하는 것은 다름 아닌 여성들의 양육과 모성애라는 신화인 것이죠. 그리고 아동의 순수함과 모성애의 지극함은 결합되어 가부장제를 지탱합니다. (289-290) 



지금처럼 가족이기주의, 모성애(?)의 발현이 팽배한 시기에 더욱더 다가오는 문장들이었다. 앞으로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었고. 그런데 역시 현재의 조건으로부터 벗어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에 파이어스톤은 '혁명'이 필요하다고 보았던 것이겠지. 다만 파이어스톤의 주장이 무정부주의와 같다는 - 그 뒤를 상상할 수 없다는 - 것은 사람들을 주저하게 하는 것 같다. 그런 세계를 본 적이 없으니까.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놔두지 않는 인간들이 꼭 있을 것 같아서.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햇살과함께 2023-08-05 11: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페미니즘 철학 입문> 다시 읽어야지 하면서도 다른 책에 밀려서 못 읽고...
<행복한 돼지> 도서관에서 찾아봐야겠네요! 옥슨베리가 글도 같이 쓴 책이라니!

건수하 2023-08-05 11:23   좋아요 1 | URL
맞아요 그림만 그린 책이 많은데.. 그쵸? :)

잠자냥 2023-08-05 11: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 <행복한 돼지>! 내가 이게 왜 익숙하지?! 싶었는데 큰조카 사주면서 읽었던 책!!! 이렇게 소환되니 기억이 새록새록 납니다.

전 아까부터 에어컨 켜고 책 읽는 중 ㅋㅋ

건수하 2023-08-05 11:23   좋아요 2 | URL
오 잠자냥님도 아신다니 반가워요!! 오늘은 아침부터 페이퍼도 썼겠다 이제 늘어져 있어도 되겠어요 ㅋㅋ

청아 2023-08-05 11:1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아동기 숭배‘의 문제는 한국의 교권 추락과도 연결된다고 느꼈어요. <성의 변증법>은 두고두고 되새길 내용이 많네요.

<행복한 돼지>는 기득권의 시각에서 씌어진 슬픈 이야기?ㅋㅋㅋㅋ

건수하 2023-08-05 11:26   좋아요 2 | URL
네 저도 그래서 더 와닿더라고요… 지인에게 들으니 학모보다 학부가 더 과격하게 항의한다고 하던데 초등 교사가 2-30대 여성이 다수라는 점이 관계있는 것 같아요.

존 버닝햄(남편) 의 만행을 고발하는 마음이 살짝 느껴지더군요 ㅋ

단발머리 2023-08-05 17: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오히려 반대로 ‘여성을 하나의 계급‘으로 보는 생각에 좀 강하게 사로잡혀서 나중에 여성간의 차이를 인식하는데 좀 ‘인색(?)‘했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니까 다른 페미니스트들이 급진주의 페미니즘을 비판하는 지점에 제가 떡! 하나 자리잡고 있었던 것 같고요. 그럼에도 저는 여성이 아무리 부자이건 혹은 유명인이건 박사이건 교수이건간에 여‘성‘으로서 제한받고 규제받고 요구받는 영역이 존재한다고 생각해서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조금 더 생각을 해봐야겠어요.

존 버닝햄 책(야! 우리 기차에서 내려! 기타등등)을 좋아했던 사람으로서 ㅋㅋㅋㅋㅋㅋㅋ <행복한 돼지>도 무척 인상적이네요. 이런 이야기는 정말 여자만 쓸 수 있는 이야기 아닌가... 그런 생각도 들고요.

더운 날에 수하님 페이퍼가 시원한 콜라 같습니다. 잘 읽고 갑니다, 여느 때와 똑같이요^^

건수하 2023-08-06 00:37   좋아요 0 | URL
단발머리님이 연대 그리고 그것을 통해 변화를 일으키는 것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지요. 저도 그렇구요.
여성이 생물학적 조건으로부터 벗어나면, 가부장제가 뒤흔들릴까요. 상상력이 부족하기도 하고 의심이 많은지라
일단 그게 조건이니까 그걸 없애야지, 하는 게 좀 부담이 되었어요.

이렇게 의심이 많아서는 혁명이 어렵겠어요..

<행복한 돼지>가 아주 명료하진 않은데요, 그림책에 저런 내용을 넣고 싶었던 헬렌 옥슨버리의 마음을 상상해봅니다. 그녀는 페미니스트였던 것 같아요 :)

책읽는나무 2023-08-05 23: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며칠동안 ‘아동기를 없애자‘부분을 다시 한 번 읽어보고 있거든요.
다시 읽어도 놀랍고 또 감탄스럽달까요?
그러면서도 정말 아동기를 없앤다는 게 가능할 수 있을까? 이미 신화에 익숙해져버린 사람들이라 말도 안 되는 소리 마라!! 비판받기 쉬운.....혁명이 맞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저도 아동기라는 개념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 계기가 된 듯도 하구요.

존 버닝햄의 아내가 헬렌 옥슨버리였군요. 그림책은 기억이 가물가물하는데 헬렌 옥슨버리라는 작가의 이름은 낯설지 않네요.
<행복한 돼지>...사육의 상태로 돌아간다??!!!!
열심히 집안 일을 하는 베르타를 보니 앤서니 브라운의 <돼지책>이 갑자기 떠오르네요?
비슷한 엄마 이야기인데도 확실히 결이 다르네요.

건수하 2023-08-06 00:41   좋아요 1 | URL
아동의 섹슈얼리티를 제한하지 말아야 한다는 부분에서 한국의 학부모들이 어떻게 반응할지 상상해보면...
혁명 맞습니다.

존 버닝햄이 워낙 성공해서.. 헬렌 옥슨버리는 그리고 일러스트레이터로 더 활발하게 활동한 것 같아요.

<돼지책>이 좀더 직설적이지요?
그런데 돼지책은 좀 교과서적이랄까, 진지하게 하는 얘기라서 오히려 마음에 덜 와닿았던 것 같아요.
어쩌면 여자 작가가 하는 얘기가 더 와닿는 걸지도 모르겠네요.

난티나무 2023-08-05 23: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존 버닝햄 저도 압니다! ㅎㅎ 아니 근데 헬렌 옥슨버리랑 존 버닝햄이 부부라고요????? 요건 몰랐네요! ㅎㅎ

건수하 2023-08-06 00:42   좋아요 0 | URL
아시는 분들 많아서 신납니다 ㅎㅎ 은근히 부부 그림책 작가들이 많더라구요 :)

다락방 2023-08-09 15: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돼지책 뭐죠? 너무 궁금해서 저도 읽어야겠어요. 다들 아는데 저만 모르는거죠, 지금?

건수하 2023-08-09 20:15   좋아요 0 | URL
다들 돼지책 저자의 남편을 아시고 책은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만… 그새 홀라당 사셨다니.. 땡투 감사합니다!

다락방 2023-08-09 15: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땡투 받고 부자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