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s - O.S.T. - Original Broadway Cast
Various Artists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2003년 1월말 내한공연을 앞두고 구입한 캣츠 라이선스 앨범입니다. 여기엔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라고 돼 있는데 사실은 '1981년판 오리지널 런던 캐스트' 앨범입니다. 아마도 잘못 표기된 듯합니다. 뮤지컬 캣츠 앨범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이 두 종류인데 현재 국내에서 정식 라이선스된 것은 후자인 런던 캐스트뿐이고 다른 것은 수입 앨범입니다.

곡이나 노래 구성 등에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런던캐스트 앨범의 경우 '메모리'를 부르는 그리자벨라역을 일레인 페이지가 맡았죠. 재밌는 건 비중있는 단역인 제미마역을 지금 팝페라 가수로 유명해진 사라 브라이트만이 맡아 격세지감을 느끼게 합니다. 그밖에 주연급인 럼 텀 터거역은 폴 니콜라스, 올드 듀트로노미역은 브라이언 블레스드가 맡았습니다.

벌써 20년 전에 나온 앨범이긴 하지만 전혀 구닥다리 느낌이 나지 않는 뮤지컬 앨범의 고전입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정도만 알려져 있지만 80년대 록음악 향취가 물씬 풍기는 '럼 텀 터거', 성악풍의 '올드 듀트로노미'와 '고양이에 대한 예의(The Ad-dressing of Cats)', 절로 흥얼흥얼 거리게 만드는 '철도고양이 스킴블샹크스', 특히 극중극 형태로 펼쳐지는 '그로울타이거의 마지막 접전' 등 좋은 노래들이 많습니다.

주요 곡들만 담아놓은 하이라이트 음반이 별도로 나와있긴 하지만 공연을 봤거나 보실 분이라면 전곡이 담긴 2CD 앨범을 권해드립니다.

제 마이페이퍼에 캣츠 내한공연에 관한 추억을 담았습니다.
마이페이퍼 링크 주소 : http://www.aladin.co.kr/foryou/mypaper/2307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훈민정음 국어사전
금성출판사 편집부 엮음 / 금성출판사(금성교과서)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비슷비슷한 수십종의 국어사전 중에서 딱 마음에 맞는 걸 고르긴 쉽지 않았다. 그래서 내 나름대로 정한 기준은 첫째 최신판일 것, 둘째 충분히 검증됐을 것, 셋째 편집이 깔끔할 것 등 세 가지였다.

우선 2004년 1월 현재 최신판은 올해 제 5판을 낸 두산동아 새국어사전과 금성출판사에 새로 나온 훈민정음 국어사전 두 가지뿐이었다. 두 사전 모두 최신용어들이 대폭 보강됐다는 장점을 갖고 있었다.

일단 동아 새국어사전은 민중서림 엣센스 국어사전과 더불어 전통적인 양대 산맥이라 믿음이 갔다. 쪽수도 2800여쪽이어서 2100여쪽인 훈민정음 사전보다 내용도 훨씬 방대해 보였다. 반면 훈민정음 국어사전은 올해 처음 나온 것이어서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는 게 결정적 흠이었다.

하지만 금성의 주력 사전격인 뉴에이스 국어사전(2002년판)과 비교해 본 결과 사실상 훈민정음 사전은 그 축약본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뉴에이스 표제어가 18만인 반면 훈민정음은 11만이었는데 이는 고어/사어 등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단어들을 대폭 줄인 것이어서 큰 문제될 것은 없다고 판단했다.

다음으로 눈여겨본 것은 편집이었다. 우선 훈민정음 사전 판형이 223*152mm로 새국어사전(205*145mm) 등 기존 사전보다 가로세로 길이가 넓어 보기에 시원했고 활자도 비교적 큰편이었다. 또한 군데군데 헛갈리는 단어들을 상자로 묶어 비교해주는 '친절함'이 돋보였다. 특히 맘에 든 것은 낯선 토막이 말의 예문들을 <태백산맥> 등 현대소설에서 따왔다는 점이었다.

굳이 다른 사람들이 많이 보고 있고 내용이 방대한 사전을 찾는게 아니라면 올해 만큼은 이 사전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붕위의 바이올린(2disc) - 아웃케이스 없음
노만 주이슨 감독, 토플 외 출연 / 20세기폭스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5년 전 세종문화회관에서 뮤지컬 공연을 보고 맘먹고 구입한 DVD입니다. 뮤지컬 치곤 고전에 속하는 이 작품은 러시아에 정착한 유태인들의 기구한 삶을 잘 그려내 1972년 아카데미상 작곡상, 음향상, 촬영상 등 3개 부문을 수상했죠.

영화 상영 30주년을 기념해 리마스터링된 SE판은 16:9 아나몰픽 화면에 5.1채널 음향을 자랑합니다. 화질과 음향 만큼은 30년 전 영화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죠.

하지만 부록 디스크는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영화 제작과정이 담겨있긴 한데 사실상 노만 주이슨 감독의 전기 다큐멘터리에 가깝죠. 이밖에 삭제된 노래인 'Any day now' 등 영화 관련 각종 자료가 담겨 있지만 동영상 자료가 부족합니다. 하지만 영화를 감명 깊게 본 뮤지컬 영화팬이라면 소장 가치는 충분합니다.

세 딸을 둔 가난한 유태인, 주인공 테비에역에는 런던 웨스트엔드 뮤지컬 무대에서부터 잔뼈 굵은 이스라엘 배우 토폴이 맡아 극의 사실감을 높여줍니다.

영화 도입부, 수염이 덥수룩한 테비에가 우유통이 든 수레를 끌고 마을로 향하며 부르는 노래 'Tradition'는 전통과 개혁의 갈등이라는 영화의 주제의식을 나타냅니다. 테비에의 세 딸이 부르는 'Matchmaker'(중매쟁이)는 이들이 각자 배우자를 찾는 과정이 이 영화의 뼈대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If I were A rich man'에는 딸을 부잣집 홀아비에게 보내야하는 가난뱅이 테비에의 슬픔이 고스란히 묻어나죠.

이렇듯 노래 한 곡 한 곡이 이 영화의 흐름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여타 뮤지컬 영화와는 차별화 됩니다. 이 작품의 대표곡은 첫째딸의 결혼식에서 합창하는 'Sunrise, Sunset'이죠. 여기에는 한 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 수밖에 없는 유태민의 설움, 고향을 등진 마을 사람들이 함께 부르는 'Anatevka'는 끝까지 희망을 잃지 않으려는 그들의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이 뮤지컬에 관한 제 추억을 엿보시려면 마이페이퍼를 찾아 주세요.
마이페이퍼 링크 주소 : http://www.aladin.co.kr/foryou/mypaper/152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es Miserables(레 미제라블) - Original London Cast
Various Artists 노래 / 소니뮤직(SonyMusic) / 1998년 2월
평점 :
품절


뮤지컬 [레 미제라블]은 현재 20년 이상 장기 공연되고 있는 거의 유일한 뮤지컬 대작입니다. [미스 사이공]으로 유명한 알랭 부빌과 클라우드 미셀 손버그 콤비가 함께 음악을 만들었죠. 우리나라에선 [캣츠] [에비타] [오페라의 유령] 등 웨버의 뮤지컬이 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음악적인 면만 놓고 본다면 이들 콤비가 결코 뒤지지 않습니다.

뮤지컬 [레 미제라블]은 빅토르 위고의 원작과 마찬가지로 장발장의 비중이 가장 큽니다. 탈옥 뒤 자신의 정체성을 고민하며 부르는 'Who am I?', 다친 마리우스를 구한 뒤 부르는 'Bring him home'이 대표적인 독창곡이죠. 하지만 노래와 카리스마에 있어 자베르 경감의 비중 역시 만만치 않습니다. 장발장과 자베르 경감이 대결하듯 부르는 'A Confrontations', 장발장의 응징을 다짐하며 부르는 'Stars', 마지막으로 자살을 앞두고 부르는 'Soliliquy'가 대표곡이죠.

여배우로는 판틴과 그의 딸 코제트, 그리고 마리우스를 짝사랑하는 에포닌의 비중이 높습니다. 특히 에포닌이 부르는 'On my own'과 판틴의 'I dream a dream', 어린 코제트의 'Castle on a cloud' 등이 유명하죠. 여기에 감초처럼 등장하는 여관집 부부의 'Master of the house'는 정말 유쾌한 노래입니다.

하지만 [레 미제라블]의 백미는 역시 모든 배우가 함께 부르는 합창곡에 있습니다. 혁명을 앞둔 젊은이들의 뜨거운 피가 용솟음 치는 'Red and Black', 민중의 힘에 듣는 이를 전율케 하는 행진곡풍의 'Do you hear the people sing?' 그리고 1막의 대미를 장식하는 'One day more' 등 어느 하나 놓칠 수 없는 명곡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래서 음반은 가급적 하이라이트 판보다는 노래 전곡이 실린 2CD 앨범을 추천합니다. 현재 국내에 발매된 뮤지컬 레미제라블 앨범은 모두 3종류입니다. 제가 소장한 것은 1985 런던 오리지널 캐스트 2CD판입니다. 이밖에 인터내셔널 캐스트 하이라이트 앨범과 독일어 버전 2CD 음반이 있죠.

여기 소개된 런던 캐스트 앨범에서 장발장은 유명한 뮤지컬 배우 콜 윌킨슨이 맡습니다. 이밖에 마이클 볼이 마리우스, 로저 알램이 자베르, 프란시스 루펠러가 에포닌역을 각각 소화합니다.

이밖에 DVD로는 다우리에서 나온 10주년 기념 드림 캐스트 콘서트가 있습니다. DVD의 장점은 역시 콜 윌킨스, 리아 살룽가, 마이클 볼, 주디 쿤 등 말 그대로의 드림 캐스트의 모습을 직접 지켜볼 수 있다는 것이죠. 다만 말 그대로 '콘서트'여서 직접 무대에서 연기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일부이긴 하지만 무대의 감동을 맛보고 싶으시다면 뮤지컬 제작자인 카메론 매킨토시의 30년 무대 인생을 기린 [미스터 프로듀서!] DVD를 구해 보시면 됩니다.

아래 마이페이퍼에 가시면 지난 96년 레미제라블 내한공연에 얽힌 제 추억을 엿보실 수 있습니다.
http://www.aladin.co.kr/foryou/mypaper/1331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O.S.T [리마스터/오리지널 캐스트] - Orignal Cast Recording, Remastering
Sarah Brightman 외 노래, Andrew Lloyd Webber 작곡 / 유니버설(Universal)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제가 구입한 앨범은 94년 국내에 처음 발매된, 리마스터링 이전 버전입니다. 새 버전 역시 동일한 1986년 런던 오리지널 캐스트 앨범을 리마스터링한 것으로 40쪽짜리 가사집이 더해 있죠.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은 앤드류 로이드 웨버의 대표작으로 세계 4대 뮤지컬의 하나로 꼽힐만큼 고전 중에 고전입니다. 특히 이 앨범은 팬텀에 마이클 크로포드, 크리스틴에 사라 브라이트만이 열연한 초기 버전으로, 지금까지 여러 버전이 나왔지만 여전히 베스트로 꼽히고 있습니다.

웨버의 전처이자 지금은 팝페라 가수로 더 유명한 사라 브라이트만의 노래를 들을 수 있다는 게 이 앨범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이 앨범에는 전곡이 실려있지만 유령과 크리스틴이 처음 만나 함께 부르는 'The phantom of opera', 유령이 홀로 부르는 'The music of night', 크리스틴과 라울이 함께 부르는 러브송 'All I ask of you', 'Think of me' 등이 대표곡으로 꼽힙니다.

이 작품은 춤이 강조되는 요즘 뮤지컬들과 달리 오페라 분위기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배우의 가창력이 특히나 중요한데, 이 점이 2002년 한국 라이선스 공연 뒤 발매된 우리말 버전 음반이 여전히 오리지널 앨범 판매량을 따라잡지 못하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제 마이페이퍼에 96년 봄 런던 웨스트엔드에서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관람에 얽힌 추억을 올려놓았습니다.

http://www.aladin.co.kr/foryou/mypaper/12950'>http://www.aladin.co.kr/foryou/mypaper/129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