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노 장날에 다녀와서


제10회 포노장날(사진 출처: 포노 www.phono.co.kr)

24일 처음 찾은 포노 장날은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많았지만, 결과적으로 소중한 추억을 안겨준 멋진 경험이었다.

하지만 정작 구하고 싶었던 음반들을 찾아내지 못해 발길을 돌려야 했던 아쉬움도 컸다. 애초 포노 장날을 찾은 가장 큰 목적은 국내에서 구하기 힘든 해외 뮤지컬 앨범들을 찾는 것이었다. 이미 며칠 전 온라인을 통해 '뮤지컬 그리스 오리지널 캐스트 앨범'을 구하는 뜻밖의 성과를 거둔 뒤라 더했는지 모르겠다.

결과적으로 그 많은 중고앨범 중에서 내가 찾고자 했던 뮤지컬 앨범은 단 하나도 건질 수 없었다. 물론 그 과정에서 뜻밖의 수확도 있었다. 이미 국내엔 절판돼 버린 프랑스 팝가수 엘자의 베스트 앨범은 정말 브라보! 였다.

다음엔 또 어떤 예상치못한 '보물'을 건질 수 있을까하는 기대감에 나는 다시 포노 장날을 찾을 듯하다.

우선 기대를 더욱 부풀게 했던 몇 가지 장면을 떠올려 보자.

1. 친절한 발바닥.

지하철 3호선 남부터미널역을 나서는 순간 처음 만난 바닥에 붙은 '발바닥' 안내 표시는 주최측의 세심한 배려가 엿보이는 부분이다. 덕분에 처음 찾는 내겐 훌륭한 길 안내자이자 정보제공자로 손색없었다.

2. 가방보관 서비스.

3층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맞이하는 친절한 안내. "가방 주시겠어요. 지갑은 챙기셨죠?" 물론 도난방지(?)가 가장 큰 목적이었겠지만 이후 몇 시간 동안 물류 창고와 야외주차장에서 발품을 팔아야 했을 내겐 큰 짐을 던 것이었음을 뒤늦게 깨달았다.

3. 보물창고를 휘젓는 느낌.

무엇보다 돋보이는 부분은 물류센터의 과감한 개방이다. 난생 처음 쇼핑몰의 물류센터를 찾은 느낌은 마치 보물창고를 휘젓는 기분이었다. 가지런히 진열된 음반매장과는 비교할 수 없었지만 여기저기 오가며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찾는 직원들 속에 뒤섞여 색다른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었다.

4. 야외주차장의 '보물찾기'

중고음반들과 행사상품이 가득 찬 야외주차장은 마치 숲 속 보물찾기를 연상시키기에 충분했다. 곳곳에 숨어있는 자신만의 음반들을 찾아 박스를 채우기에 여념 없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는 것 자체가 내겐 멋진 경험이었다. 


이 과정에서 느꼈던 아쉬웠던 부분을 지적해 보자.

1. 모래밭에서 바늘 찾기, 서울에서 김 서방 찾기!

야외 주차장에 진열된 중고CD의 경우 아직 제대로 정리가 되기 전임을 감안하더라도 너무 무질서하게 뒤섞여 있어 원하는 음반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클래식, 가요, 팝/록, 재즈 정도로 구분돼 있긴 했지만 온라인의 장점을 잃어버린 오프라인 상에서 그 테두리는 너무 방대했고 원하는 음반을 찾기 위해선 수백 수천개의 CD를 일일이 뒤져야 하는 원시적인 '보물찾기'를 되풀이해야 했다.

물론 그 가운데 원하는 앨범을 구했을 때의 '기쁨'이야 더 배가되겠지만 자칫 그 안에 있을 수 있었던 것도 순간의 방심에 놓쳐버릴 수 있는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는 건 크나큰 아픔이다.

2. 기왕 열어본 거 들어도 봤음 하는 바람이 있네.

중고음반의 장점이자 단점은 케이스를 열어볼 수 있다는 것. 미처 CDP를 준비하지 못한 사람으로선 좀 난감할 수밖에 없다. 운 좋게 깨끗한 CD를 구했으면 괜찮겠지만 원하던 음반이긴 한데 CD 상태가 영 의심스러울 땐 일단 들어보는 건 장땡! 하지만 주변에 마땅한 청음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 건 큰 아쉬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17일) 국내에 출시된 프랑스 뮤지컬영화 '8명의 여인들(8 femmes)' DVD 한정판입니다. 프랑소와 오종 감독의 작품으로 8명의 주인공이 저마다 부르는 아름다운 8곡의 노래가 담겨 있죠.

한정판 DVD에는 영화본편과 서플먼트 디스크 외에도 뮤직비디오 21편을 담은 디스크가 하나 더 포함돼 있습니다.  올 초 시네큐브에서 영화를 보고 첫눈에 반해, DVD 출시만 기다리고 있었는데 정말 반갑네요.

자세한 DVD 감상평을 올리기 전에 우선 DVD '오픈 케이스'를 올립니다.


[개봉 전] 밸벳 케이스 한정판 888 겉 케이스 앞면입니다. 기대했던 것 보다 케이스가 깔끔하지 못합니다. 다만 이 전에 나왔던 프랑소와 오종 컬렉숀과 비슷한 색깔이어서 함께 진열하긴 좋겠군요.


밸벳 케이스 앞뒷면 디자인은 같습니다. 아주 단순하죠.


안쪽 케이스입니다. 역시 앞뒷면 디자인이 같습니다.


안쪽 케이스를 펼치기 전입니다. 8 주인공들이 서 있는 모습입니다.


안쪽 케이스를 펼쳤습니다. 본편 디스크+서플 디스크+뮤직비디오 디스크 등 3장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본편 디스크. 8 주인공들의 얼굴입니다.


서플먼트 디스크. 8 주인공들의 발이군요.


뮤직비디오 디스크. 8 주인공들을 상징하는 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얼마 전 <중앙역> <빌리엘리어트> <아이즈와이드샷> 등 중고비디오를 싸게 장만할 수 있었던 동네비디오가게에서 요즘 마지막 떨이 세일에 들어갔습니다. 지난해 나온 비교적 최신작도 1000원이면 살 수 있게 됐죠.

그냥 지나칠 수 있나요. 전에 눈여겨봤지만 만만찮은 가격 때문에 등을 돌렸던 작품을 장만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슨데요.

우선 지난 주말에 <나의 그리스식 웨딩> <슈팅 라이크 베컴> <투게더> <갱스 오브 뉴욕>(상·하) <꿈속의 여인> 등 5편 6개의 비디오를 단 7000원에 장만했습니다. 그리고 어제는 <베터댄섹스> <여섯개의 시선> <세크리터리>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 등 4편을 4000원에 구입했습니다.

정말 주인 아저씨에게 미안할 정도였죠.

덕분에 당분간 비디오 보느라, 밀린 DVD 보느라 주말이 바빠질 듯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테크노마트에 가서 DVD를 잔뜩(?) 사왔습니다. 이번에도 할인판매의 유혹에 꼼짝없이  걸려들고 말았군요. 평소 소장하고 마음먹은 작품이지만 편당 2만원 안팎의 만만찮은 가격에 쉽게 엄두를 내지 못하다가 이렇게 반값에 가까운 1만원대로 떨어지면 그 유혹을 이기기 쉽지 않습니다.

최근 1주일 사이에 산 DVD는 모두 8편입니다. 공교롭게 1편을 빼곤 모두 출시사가 파라마운트사군요. 유일하게 뮤지컬 영화 '페임'만 워너 것이구요. 어떤 영화들인지 궁금하시다고요?

우선 지난주에 장만한 건 '토요일밤의 열기' '그리스' '플래시댄스' '페임' 4편입니다. 짐작하시겠지만 뮤지컬과 무관하지 않은 영화들이죠. 하지만 여기서 제대로 '뮤지컬영화'로 분류되는 건 '그리스' '페임' 정도입니다. 나머지는 음악과 춤이 큰 비중을 차지할 뿐이죠.

사실 페임을 제외하곤 파라마운트 '뮤지밸런타인 콜렉션'으로 패키지로 묶여 나왔습니다. 덕분에 2만5천원에 장만할 수 있었죠. 페임은 할인행사 덕분에 1만500원에 샀고요. 할인행사가 아니면 어림없는 가격이죠.

사실 요즘 DVD 값이 터무니없이 떨어져 번듯한 DVD가 1천원짜리 영화주간지 부록으로 등장하기까진 했지만, 아직까진 이런 식으로 자기가 원하는 영화를 장만하는 행운(?)을 누리긴 쉽지 않죠.

오늘 산 작품은 '라이언일병구하기' '슬리피할로우' '티파니에서 아침을' '로마의 휴일' 4편입니다. 역시 DVD 3장 사면 한 장 껴주는 파라마운트 행사 덕에 3만8천원이 들었습니다.  

덕분에 당분간 허리를 졸라매야 할듯하지만 평소 갖고 싶던 작품을 소장하고 나니 마음은 뿌듯하네요. 이러다 중독되는 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이왕 장만한 거니 꼬박꼬박 감상기도 올려야 겠습니다. 그럼 많이 기대해 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뒤늦게 DVD를 통해 <페임>을 접했습니다. 뉴욕 46번가 공연예술학교 '라 구아디아' 10대들의 애환을 그린 1980년 알란 파카 감독의 뮤지컬 영화죠. 사실 우리에겐 극장판 영화보단 동명의 TV시리즈가 더 익숙하죠. 알란 파카 감독의 최근작인 뮤지컬영화 <에비타>가 대사 없이 오직 노래로만 이루어진 것과 달리 <페임>은 극의 비중이 높습니다. 그만큼 노래는 몇 곡 되지 않지만 극의 흐름과 자연스럽게 연결돼 더 깊은 감동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뮤지컬 영화답지 않게 극에 치중하던 초반부의 침묵을 깨는 건 구내식당의 소란이었습니다. 그 소란 속에 브루노의 피아노 반주에 맞춰 아이린 카라(코코 역)가 부르는 노래가 'Hot Lunch Jam'이죠.

역시 이 영화에서 가장 익숙한 노래는 아이린 카라가 부른 'fame'입니다. 영화 중반부 택시운전기사인 작곡가 브루노의 아버지가 학교 앞에 차를 세우고 이 음악을 크게 틀자 학생들이 거리로 뛰쳐나와 이 노래와 맞춰 멋진 춤을 추는 장면이죠.

 

 

Fame-Irene Cara 

Baby look at me
And tell me what you see.
You ain't seen the best of me yet
Give me time, I'll make you forget the rest.
I got a story, and you can set it free
I can catch the moon in my hand
Don't you know who I am?

Chorus:
Remember my name (Fame)
I'm gonna live forever
I'm gonna learn how to fly (High)
I feel it coming together
People will see me and die (Fame)
I'm gonna make it to heaven
Light up the sky like a flame (Fame)
I'm gonna live forever
Baby, remember my name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Baby hold me tight
And you can make it right.
You can shoot me straight to the top
Give me love and take all I got.
Baby I'm in love
Too much is not enough
I surround your heart to embrace
You know I got what it takes.



텅빈 무대에서 코코는 피아노 반주와 함께 브루노가 작곡한 'Out Here On My Own'를 애절하게 부릅니다. 무대에 들어왔다 둘의 모습을 본 브루노의 아버지는 무대에 앉아 이들을 지켜보다 곡이 끝나자 둘에게 박수를 보내죠.

Out Here On My Own - Irene Cara 

Sometimes I wonder where I've been
Who I am
Do I fit in.
Make believin' is hard alone,
Out here on my own

We're always provin' who we are
Always reachin' for the risin' star
To guide me far
And shine me home
Out here on my own

When I'm down and feelin' blue
I close my eyes so I can be with you
Oh, baby, be strong for me
Baby, belong to me
Help me through
Help me need you

Until the morning sun appears
Making light of all my fears
I dry the tears I've never shown
Out here on my own

When I'm down and feelin' blue
I close my eyes so I can be with you
Oh, baby, be strong for me
Baby, belong to me
Help me through
Help me need you

Sometimes I wonder where I've been
Who I am
Do I fit in
I may not win
But I can't be thrown
Out here on my own
On my own
 
4학년 졸업반이 된 학생들은 마지막 졸업공연을 갖습니다. 클래식 고향악단과 브루노는 멋진 전자음악 반주에 맞춰 코코, 몽고메리, 그리고 연극반 학생들의 합창하는 'I Sing The Body Electric', 여기에 리로이 등 무용과 학생들의 화려한 춤이 펼쳐지며 영화는 막을 내립니다.

[O.S.T 트랙 넘버]

01 Fame / Irene Cara  
02 Out Here On My Own / Irene Cara  
03 Hot Lunch Jam / Irene Cara  
04 Dogs In The Yard / Paul McCrane  
05 Red Light / Linda Clifford  
06 Is It Okay If I Call You Mine / Linda Clifford  
07 Never Alone  
08 Ralph & Monty (Dressing Room Piano) (Instrumental)   
09 I Sing The Body Electri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