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속도가 책 사는 속도를 도무지 따라가지 못하고, 책은 날로 쌓여가는데도 책은 또 사고 있다. 4월에 산 책들 소개. 그러나 4월은 아직 절반도 가지 않았고, 또 사려고 담아둔 책도 또 있다능.
이 박람강기 프로젝트는 작가들이 글을 어떻게 썼나에 초점을 맞춘 책들을 시리즈로 내고 있다. 예컨대 레이먼드 챈들러의 <나는 어떻게 글을 쓰게 되었나> 같은 책. 이 시리즈 지난번 출간 책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긴장감 넘치는 글쓰기를 위한 아이디어>인데, 이것도 무척 흥미가 당긴다. 암튼 사라 파레츠키의 이 책은 나오자마자 닥치고 살 정도로 열광했는데, 그도 그럴 것이 남성 작가들이 팜므파탈 아니면 집 안의 천사로만 그려내던 소설 속 여성상을 바꾸기 위해 강인한 여성 탐정 ‘V. I. 워쇼스키’를 창조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어릴 때부터 소설을 즐겨 읽었던 파레츠키는 레이먼드 챈들러의 <빅슬립>을 읽으며 그의 여성 묘사에 화가 나서 “소설과 사회가 여성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꿀 범죄 소설을 쓰겠다”고 맹세하고 그런 인물을 창조했다. 너무나 멋지지 않은가. 게다가 미스터리와 범죄소설을 쓰려는 여성들을 돕는 조직 ‘시스터스 인 크라임’을 설립하기도 했다. 진짜 너무 기대되는 책.
일본 배우 중에 단연 존재감 있는 이가 키키 키린아닐까. 마음 산책 이 말 시리즈는 좋은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종종 있어서 살까말까했는데, 지은이가 ‘고레에다 히로카즈’인 걸 보고 믿고 구매함.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인터뷰어로 나선 키키 키린 인터뷰집으로, 두 사람이 처음 만난 2008년부터 키키가 세상을 떠난 2018년 사이 나눈 여섯 번의 대담이 실려 있다. 두 사람의 깊이 있는 대화가 기대된다.
국내 초역작인 데다가 명성이 자자한데 읽지 않고 베길 수 있는가. ‘실존주의, 부조리, 마술적 사실주의가 녹아든 이탈리아 문학계의 기인이 쓴 20세기 환상문학의 고전’이라는 말이 한껏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소싯적인 십대 때 문고판으로 읽었던 <죄와 벌>. 언제고 다시 한 번 읽고 싶었는데, 이 문학동네 번역이 좋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드디어 이 책으로 다시 읽기 도전.
4월 초에 사서 읽고 리뷰까지 마친 책. 극찬이 많아서 궁금했는데, 리뷰대회도 있어서 겸사겸사 읽었다. 극추천. 중고로 되팔면 2만원 넘게 받을 수 있지만, 책꽂이에 고이 모셔둠.
요즘 읽고 있는 책. 내용 전혀 모르고 읽기 시작했다가 의외의 전개에 처음엔 깜짝 놀랐다. 흥미진진하다. ‘여성의 삶과 인생관을 가장 우아하게 그려내는 작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제시 버튼의 세 번째 장편. 런던과 뉴욕을 배경으로 삼십 년이라는 시차를 넘나들며 펼쳐지는 이야기. “여성들에게 바치는 나의 러브레터”라는 띠지 문구가 책 내용을 짐작하게 한다. 아, 여러분 이 책도 리뷰대회 있습니다!
책은 또 다른 책으로 이어주는 통로 역할을 톡톡히 한다. 아서 쾨슬러의 <한낮의 어둠>은 최근 읽은 어떤 책에서 인상 깊게 이야기해, 꼭 읽어봐야지 싶어서 메모해뒀는데(정작 이 책을 알게 해준 그 책이 뭔지 생각이 안남;), <피에 젖은 땅>에서도 또 쾨슬러가 언급되어서 드디어 구매. 혁명 과정에서 목숨을 걸고 동지를 지키고 헌신했던 이들이 혁명 이후 왜 서로를 의심하고 결국 죽음으로 내몰게 되었는가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 솔제니친의 <수용소 군도>와 더불어 공산주의 정치제제에 대한 20세기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내게 프리모 레비는 쉽게 읽을 수 없는 작가 중 하나이다. 읽으면 마음이 너무 아프달까. 그의 죽음도 그렇고. 이 책은 그래서 출간 당시 차마 사지 못했는데, 이번에 <피에 젖은 땅> 읽고 나니 자, 이제는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구매.
이탈리아의 철학자 잠바티스타 비코(1668~1744)의 자서전. 그에 대해서도 어떤 책을 읽다가 알게 되어 호기심이 생겼는데.... (역시 그 책은 기억이 안 난다;) 세계 지성사의 페이지들을 장식하고 있는 학자들에 견줄 만한 성취를 보였음에도 생전엔 이름을 떨치지 못했던 비코. 난 이렇게 약간 소외자 같은 인물에 관심이 좀 많다. 인류 문명 전 시대를 아우르는 독특하고도 방대한 사유는 놀라웠지만 이탈리아 사람들조차 영어, 프랑스어 등의 번역본을 통해서야 그를 이해할 수 있었다고 토로할 정도로 난해하다는 꼬리표가 언제나 따라붙었다고.
중남미 환상문학을 딱히 좋아하지 않아서 중남미 작가 작품을 다양하게 읽지 못했다.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도 그런 작가 중 한 사람인데(여태 이 작가 작품 하나도 안 읽음), 드디어 읽기로 결심. ‘바르가스 요사가 직접 꼽은 대표작’이자 ‘1950년대 뻬루 독재 정권하의 사회상을 나락으로 추락한 인물들을 통해 사실적으로 그린 작품’이라는 점에서 그의 작품 중 가장 먼저 골라봤다. 마술적&환상이 아니라 ‘사실적으로 그렸’다는 게 중요함.
중고로 구매
토니 모리슨, <가장 푸른 눈> 우아, 절판된 이 책이 알라딘 중고에 떠서 6천 원에 구매. 그런데 여러분, 이 책 어떤 출판사에서 작년에 판권 사갔다고 합니다. 곧 새 책 나올 듯요.
아껴둔 엔도 슈사쿠의 <침묵> 이제 드디어 읽으려고.
델핀 드 비강 작품은 아주 강렬하지 않은데, 이상하게 계속 손이 간다. 게다가 내가 좋아하는 성장소설. 지적 조숙아 ‘루’와 홈리스 소녀 ‘노’ 두 소녀의 만남을 통해 찬란한 성장의 과정을 섬세하게 그리고 있다고. 성장소설다운 애틋함과 묵직한 메시지를 모두 갖춘 작품이라는 평.
앨리스 먼로의 유일한 장편 소설. 이 작품도 어떤 책에서 극찬해서 더 흥미가 생겼음(르 귄 여사 책이었나....?). 1940년대 온타리오주 시골 마을에서 주인공 델 조던이 성장해가는 이야기가, 델의 1인칭 시점으로 그려짐.
타임 패러독스 SF의 영원한 고전, 상대성 이론의 쌍둥이 역설을 소재로 한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숨은 걸작, 25년만의 새 번역판.
순전히 사라 파레츠키 <세 점박이 포> 읽으려고 구매. 사라 파레츠키의 ‘V. I. 워쇼스키’가 활약하는 작품들은 <블랙 리스트>를 비롯해 다 절판임. 누가 좀 다시 내주시라~!
폴스타프 님이 ‘뜻과 내용은 별개로 하고 활자를 다 읽었다는데 의의를 두겠다’고 말한 이 작품. 그러나 르 귄 여사는 극찬한 이 작품. 제가 한번 읽어보겠습니다.
그리고 이거
이거 배지 너무 귀엽지 않습니까? 선물용으로 샀는데, 나도 갖고 싶으네요.... 그냥 내가 가질까...?
내가 산 건 피너츠인데, 상품 이미지로는 둘리가 나오네...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