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야기기는 전라남도 …….”


  이 마무리 멘트를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이 내 주위에 누가 있을 성 싶지만 실제로는 괘 많을 지도 모른다. 흘러가는 세월을 누가 막을 수 있으랴. 평생 잊지 못 할 “내 다리 내 놔.”의 공포를 지금 아이들은 아마도 모르지 않을까싶다.

  그러고 보니 올 여름에는 전설의 고향을 한 편도 못 봤다. 공포나 호러 물을 좋아하지 않는 나도 전설의 고향만큼은 잊지 않고 기다렸다 봤는데. TV편성에 있었는지 조차 모르겠다.

  근데 오늘 저녁에 생각지도 못하게 전설의 고향을 다시 만났다. 이야기는 “묘곡령”편. 전에 분명히 본적이 있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사실 전설의 고향은 거의 모든 편이 그렇다.^^;

  

  이야기는 역시 깊은 산골에 살고 있는 단란한 가정이 배경. 이 집에는 고양이와 개가 한 마리씩 주인집 아들의 친구노릇을 해주며 살고 있었는데 문제는 어느 날 부터인가 이 두 짐승이 안부리던 말썽을 부리면서부터 시작된다. 안 그래도 너무 짐승들만 끼고 도는 어린 자식 때문에 심기가 불편하던 주인은 고양이가 밥을 풀려는 가마솥을 뛰어 넘고 연이어 개가 소쿠리에 담은 밥을 못 먹게 쏟는 등 도가 지나치다 싶자 결국 개는 내쫓아 버리고 고양이는 낫으로 쳐 죽이고 만다. 그리고 우환은 그때부터 시작이다. 고양이 령이 아들의 몸에 들어 간 것. 무당마저 고양이 령을 이기지 못하고 굿하는 도중에 죽었으니 말이 필요 있으랴. 속수무책으로 하루하루가 고달프다. 그런데 어느 날, 역시 이야기 전개상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불심이 깊은 스님이 쫓겨났던 개를 따라 집에 들르니 그제야 식구들은 고양이와 개의 행동이 부엌 지붕에서 죽은 지네의 독 때문이라는 걸 알게 된다. 얘기인즉, 지네가 죽으며 뿜은 독이 주인이 짓고 있던 밥에 들어 간 것이다. 고양이와 개 모두가 주인을 위해서 같은 행동을 했으나 개는 아무것도 모르고 자신을 내쫓은 주인에게 조차 심성이 선해 끝가지 도리를 다하는 반면에 자신의 행동에 도리어 죽음을 당한 고양이는 한을 품고 복수를 하고 있다는 것. 그러나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 날 구멍은 있다고 스님이 아이를 살릴 방법을 알려주는데 그 방법을 제대로 지키지 못 한 가족은 오히려 모두 목숨을 잃을 위험에 처하고 만다. 이 때 역시 충성심 많은 주인 집 개 ‘수리’가 목숨을 다해 고양이 령과 싸워 이기고 불타는 집에서 아이를 구출한고는 자신은 벌겋게 타는 집에 갇히고 만다. 정신을 차린 아이가 ‘수리’를 애타게 부르자 감기는 눈도 못 감고 아이만을 바라보는 ‘수리’! ‘수리’는 결국 아이와 들판을 뛰놀며 놀던 행복했던 지난날을 회상하며 눈을 감는다.  


  난 결국 또 울었다. 그리고 역시 ‘아, 전에 봤던 건데. 볼 때마다 우네.’ 라며 속으로 매번 하는 같은 말을 중얼거린다.

  이 감동을 안고 그래도 잘들 수 없는지라 잠자던 우리 집 막내(말이 막내지 열 살이나 된 지금은 상전이나 다름없다)를 깨웠다.

  “우리 밍키도 불타는 집에서 언니 구해줄 수 있지? 그지? 저기 ‘수리’처럼 밍키도 언니 지켜 줄 수 있지?”

  눈도 못 뜨는 밍키. 이게 웬일인가 싶으면서도 내가 안자 비몽사몽 중에 손은 핥아준다.

  ‘뭐 어때? 네가 못 구하면 내가 구하면 되지?’

  속으로 생각하자 머릿속에 메아리치는 멘트 하나.

  ‘불타는 집에서 개를 구한 주인의 이 이야기는 경기도 고양시에서 내려오는…….’

  ㅋㅋㅋㅋ.

  전에는 보고나서 잠도 못 자던 내가 전설의 고향을 보고도 이런 생각을 하다니. 내가 크긴 컸나보다. ^^ 그래도 “내 다리 내 놔.”는 무섭다. 이런 괜히 생각했다. 이제 자야되는데...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5-09-03 08: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전설의 고향에 단골로(주로 악역)으로 등장했지만
그건 모두 사람들의 왜곡된 편견이었다구요
실제 여우는 그렇지 않답니다.^^

아라 2005-09-03 1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파란여우님. 아마도 우리나라에서 여우를 볼 수 없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여우에 대한 사람들의 그릇된 편견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참 안타깝고 슬픈 일입니다. 참, 실제로 여우를 1m 앞에서 본적이 있는데 정말 파란여우님이랑 똑같습니다. 특히 꼬리와 몸통의 비율이요. 정말 1:1입니다.^^
 

 

  내 생전에 이런 문구 처음이다.


  이틀 전에 알라딘에서 “찰리와 초콜릿 공장”을 주문했다. 계기는 단순했다. 너무나 좋아하는 배우 조니 뎁과 역시나 좋아하는 감독 팀 버튼이 만났다. 바로 이 책을 바탕으로. 생각할 필요도 없이 주문했다. 거기다 초콜릿까지 더해졌는데 무엇을 망설이냐?


  그런데 이게 웬일?! 이벤트에 당첨됐다. 이벤트가 있는지도 몰랐는데. 은색 스티커 위로 너무나 선명한 글씨 “당첨을 축하드립니다! 6등 문화상품권 3만원”


  믿을 수가 없어서 다시 보고 또 보고 …….(사실 지금도 믿어지지 않는다)

책은 옆에 놓아두고 스티커만 보고 있는 나. 어찌하리. 응모에 당첨된 것이 태어나서 보물찾기 이후로 처음인 걸…….


  잠이 자질까 모르겠다. 너무 고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09-02 1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하드려요^^

아라 2005-09-02 1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그리고 서재 이미지 전보다 더 유혹적이네요.^^
 

 

난 오래된 게 좋다. 물건이 건 사람이 든.

오래됐다는 건 그만큼의 시간만큼 나와 같이 보냈다는 거고 그건 또 그만큼 나한테 소중한 것이라는 거다.


엄마도 낡은 옷을 기워 입는 나를 이제 포기하셨다.

난 ‘빈티지’라고 내 스타일을 강조한다.


오빠가 7년 된 내 핸드폰을 보고 한숨만 쉬더니 나 몰래 바꿔 버렸다.

난 요새 그 친구가 가끔 그립다.


2년 동안 운동화 하나, 샌들 하나. 아빠가 결국 상품권을 주신다.

사실 나의 ‘빈티지’는 뜯어 먹기의 전략이다.^^



“프로그램이 몇 개 필요한데 주말에 시간 좀 있니?”

한국에 돌아와서 한 번도 연락이 없었던 동기에게 부탁하는 전화를 하는 것은 너무 힘들다. 비록 몇 주 전에 예배하면서 잠깐 인사는 했다고 해도 정말 미안했다.

대답을 기다리는 1초가 더디 간다.

“그래? 뭐가 필요한데? 말만해라. 다 있다.”

애를 태웠던 게 무색했다.


컴퓨터에 프로그램 깔고 치킨 시켜 먹고 공원도 걷다 빙수도 먹고. 정말 4년을 안 본건가? 싶게 익숙하다. 그 친구를 처음 본 게 10년 전. 우리는 4년을 보지 못했는데도 동기가 서로 오래 사귀었다는 건 4년 이란 기간을 마치 하루 못 본 것처럼 아무렇지 않게 만들어 버렸다. 고마울 뿐이었다.


조금 기웠어도 여전히 여유 있는 오래 된 면 셔츠


늘어나고 찢어진 청바지.(찢어진 걸 산 게 아니다. 입다가 찢어 진 거다.)


장마 때면 항상 예비 양말을 준비하게 만들지만 너무나 가벼운 운동화.


손 때 묻은 가죽 지갑.(선물해 준 사람도 놀란다. 아직도 쓰냐?)


알록달록 밑줄이 잔뜩 그어진 성경책.(어떤 부분은 밑줄 긋기가 조심스럽다.)


떨어진 일기장.


등등등…….


그리고 오래 사귄 사람과 사람.

 

난 오래 된 것이 참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