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리 절반 오리나무/ 열의 갑절 스므나무/ 대낮에도 밤나무/ 방귀 뀌어 뽕나무/ 오자마자 가래나무/ 깔고 앉아 구기자나무/ 거짓 없이 참나무/ 그렇다고 치자나무/ 칼로 베어 피나무….'

우리 조상들은 나무 이름을 익살맞게 잘도 꿰어맞춰 여러 지방의 `나무타령'을 만들어 불렀다. 우리땅 나무와 풀의 이름은 그 유래를 풀어보면 이처럼 무척 흥미롭다.

달콤한 열매 오디를 맺는 뽕나무는 실제로 방귀와 관련이 깊다. 예전엔 귀한 먹거리로 오디를 즐겨먹었는데 오디를 많이 먹으면 연신 방귀를 뀌어대 이런 이름이 붙었다. 도토리묵에 쓰는 상수리나무는, 임진왜란 때 피난한 선조가 즐겨먹던 도토리묵이 왜란 뒤에도 늘 수라상에 올랐다 하여 `상수라'로 불렸는데 훗날 상수리로 바뀌었다고 전해진다.

나무의 특징을 재치있게 살린 이름도 많다. 떡갈나무의 큰 잎은 주로 떡을 싸두는 데 쓰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약효 때문에 `인삼나무'라는 별명을 얻은 오갈피나무는 펼친 손가락처럼 다섯 갈래로 갈라진 잎을 지녔다. 5리마다 심어 거리를 표시했다 하여 오리나무, 단풍 든 잎을 태우면 노란 재가 남는다 하여 노린재나무, 잎·줄기를 물에 넣어 비비면 푸른물을 낸다는 물푸레나무, 침엽수이면서도 낙엽을 떨구어 봄에 잎을 가는 잎갈나무(이깔나무 또는 낙엽송) 등도 있다.

풀 이름도 마찬가지다. 예쁘장한 꽃에서 노루 오줌 냄새를 풍기는 노루오줌, 닭장 근처에서 잘 자라는 닭의장풀(달개비), 배고픈 시절 시집살이의 설움이 서린 며느리밥풀꽃 등이 그렇다. 숲해설가협회 한대웅(51) 부회장은 “나무 이름의 유래를 좇아 얘기하다보면 사람이 나무들과 맺어온 기나긴 역사와 생활문화를 절로 이해하게 된다”고 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e only woman among those presen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슬픔과 외로움과 가난과 불행의 정체를 알아보려 하지도 않은 채, 제 피붙이와 제 자신을 향해 애꿎은 저주를 퍼붓고 뾰족한 송곳을 던지고 있지는 않습니까? 도저히 용서해선 안 될 적들은 쉽사리 용서하면서, 제 피붙이와 제 자신의 가슴엔 쉽사리 칼질을 해대고 있지는 않습니까? 여러분, 검은 제비는 잘 있습니까? 혹시 당신이 검은 제비 아닙니까?

너그러움이야말로 상대방을 꼼짝 못하게 하는 가장 적절한 수단.

허영심을 이해할 수 있는 나이가 되자, 나는 알게 되었다. 누구나 가지고 있다는 이유하나만으로 맹장처럼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것조차 기필코 차지하려 드는 멍텅구리들이 세상에 뜻밖에도 많다는 사실을.

특별한 아이는 욕망이고, 보통 아이는 현실이다.

인간은 험한 세상과 홀로 마주 서 있는 단독자일지도 모르고, 인생이란 주어졌으니 사는 어쩔 수 없는 외길일지도 모른다.

험상궂은 세상의 낭만이란, 허망하게 깨지기 쉬운 마른 낙엽같은 것......빠작!

어떤 슬픔과 고통도 피한다고 해서 해결되는게 아니라는 사실.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회피하려 들 때 도리어 더욱 커진다는 사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존재의 가능한 연속성 추구와 자기 중심성에서 벗어나고 싶은 소망을 털어놓는 소통의 상태 - 조르주 바타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미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겠지만...

젊은 느티나무라는 나의 닉네임은 강신재님의 단편 제목이다.

고 1때 읽었던 작품.

싱그러운 비누향에 대한 묘사가 마음에 와닿아서 좋아하게 되었는데

나는 그 소설에서와 같이 여전히 비누향 나는 그런 남자를 동경하고 있는걸까.

아니면.. 하이틴 소설같은 그 풋풋한 소설 속의 사랑을 동경하고 있는걸까..

하여간 나는 '젊은 느티나무'라는 이 단어가 아주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