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읽어주는 여자 명진 읽어주는 시리즈 1
한젬마 지음 / 명진출판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도서관에 갈 때마다 제목을 보고 그림을 설명해주는 책일 것이라 지레 짐작하고 좀 따분하리라 생각했던 이 책은 실제로 읽어보니 '둘 만의 공간에 걸고 싶은 그림' '위안이 되어 준 그림' '사랑에 빠졌을 때 눈에 들어온 그림' 하는 식으로 그림을 보고 받은 느낌들을 편하게 나열해 놓은 책이었다.

사실 그림을 보는 시선은 주관적일 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림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말할 때 남의 눈치를 보게 된다. 그림에 문외한인 내가 잘못 말했다가 무식하다는 핀잔이라도 들을 까봐 늘 주눅이 들었기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은 그림을 느낀대로 편하게 받아들이도록 해주는 참으로 친근하고 편안한 책이었다. (그림과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들만 잔뜩 써 놓은 부분도 있고, 어떻게 보면 먼저 써 둔 글에 어울리는 그림을 가져다가 나란히 배치해 놓은 것 같은 부분도 있다. )

대학때 미술 강의를 들으며 한 학기에 의무적으로 몇 번의 전시회에 가고, 그 느낌을 레포트로 제출해야 했던 적이 있다. 그때 강의를 맡으신 교수님께서 자신을 '마지막 천재'라고 자칭(^^;;)하시던 기억이 난다. 어떻게 들으면 자기 자랑을 하는 것 같지만 나는 그 교수님이 참 좋았다. 자신이 좋아하는 그림에 대한 열정도 대단했지만 작품을 감상하는데 '작가나 그림의 명성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기가 느낀 그대로, 체험한 그대로가 중요하다'는 말씀을 통해 우리들에게 미술을 친근한 것으로 느끼게 해주셨기때문이다.

'좋은 작품을 보면 마음이 넓어지고 예뻐집니다'라는 문장을 우리들에게 주입(?!)시키시던 교수님. 나는 그때 비록 레포트를 쓰기 위해 미술관 문턱을 드나들긴 했지만 참 즐거운 마음으로 미술관을 다녔다. 겓가 레포트가 어쩜 그렇게 술술 잘도 써지던지. 그 기억은 지금도 아주 좋게 남아 있다.

피카소의 청색시대라는 작품이 있다. 온통 청색으로 그려진 그 그림은 작가의 특별한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그 그림을 그리던 당시 피카소가 돈이 없어서 값싼 청색 물감 밖에 살 수가 없어서 그린 그림이라고 한다. (나중에 그가 유명해진 후에야 '청색시대'라고 명명했다고 함.) 어떻게 보면 정말 아무 의미없이 '작품'이 된 '작품'들도 있지 않을까? 그러니 작가의 의도를 우리가 모른다고 해서 부끄러울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요새처럼 동적인 시각 자극이 충만한 시대에 정적인 한 폭의 그림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무엇이든 정신없이 들이 닥치는 이 시대에 그림은 시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 않나 싶다. 읽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게 느끼고 또, 읽을 때마다 조금씩 느낌이 달라지는 시. 그림 역시 보는 이의 마음 상태에 따라 느낌이 조금씩 틀려질 수 있다는 점과 한 폭의 그림을 통해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도 있다는 것이 그림의 강점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이 '마음이 넓어지고 예뻐지게 하는' 그림을 다시 접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좋은 작가들의 멋진 그리들을 많이 알게 해준 것 같아 참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