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요리 잘하는 남자를 좋아한다. 주방에서 앞치마를 두르고 통통 칼질을 하고, 보글보글 끓는 찌개의 간을 맞추는 남자의 뒷모습은 내가 좋아하는 그림 가운데 하나이다.
하루는 친구들과 자기가 좋아하는 취향의 남성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데 내가 요리 잘하는 남자를 좋아한다고 했더니, “그럼 요리사랑 사귀면 되겠네.” 한다.
“아니, 직업적으로 요리하는 사람 말고…….”
“그럼 취미가 요리인 남자?”
“웬 취미? 그냥 삼시 세끼 제 밥을 제 손으로 차려먹는 남자.”
내 대답에 친구는 고개를 갸우뚱 한다.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 연인들끼리 음식을 해서 상대를 초대하는 장면이 가끔 나온다. 자신이 한 요리를 연인에게 대접하는 자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꽤나 로맨틱한 분위기이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이상한 게 하나 있다. 여자들이 차린 밥상은 주로 밥과 된장찌개가 기본이 되는 일상적 요리들이다. 늦잠을 잔 남자가 주방으로 들어서면 여자는 모락모락 김이 오르는 밥을 퍼고, 된장찌개 뚜껑을 연다. 그녀가 어떤 성격과, 직업을 가지고 있는 주인공이든 그녀는 일상을 요리하는 사랑스러운 연인이다.
그러나 남자들이 하는 요리는 우리가 집에서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이 아니다. 특별한 날, 비싼 돈을 주고 먹는 음식들, 음식의 맛 보다는 분위기를 먹는 그런 음식들이 등장한다. 스파게티, 스테이크 따위에 와인, 촛불……. 거기에 꽃을 안겨주는 것도 잊지 않는다. 남자들의 요리는 일상이 없다. 그들의 요리에는 늘 이벤트의 냄새가 난다.
여자들의 요리는 일상, 남자들의 요리는 이벤트……. 아마 우리의 머리 속에는 이런 공식들이 자리 잡고 있나 보다. 그러나 내가 사랑하는 남자는 그의 요리에서 일상의 냄새가 나는 남자다. 적어도 자기 밥상은 자기가 차릴 줄 아는 남자, 일상적으로 먹는 하루 세 끼의 밥이 얼마나 소중한지 아는 남자, 일터에서 자기가 직접 싼 도시락으로 점심을 해결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시장을 들러서 장을 보고, 가끔 연인이나 친구를 초대한 날엔 ‘오늘은 동태찌개를 끓여볼까?’ 하는 생각을 할 줄 아는 남자. 나는 그런 남자를 사랑한다.
제 밥, 제 손으로 챙겨먹을 줄 모르는 사람은 평생을 남의 노동에 의지해서 살아가는 사람이다. 먹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이 어디 있나? 그렇기에 요리하는 일은 인간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자립노동이 아닌가. 그런데 대부분의 남자들은 어릴 때부터 그 즐거운 자립노동으로부터 소외당해왔다. 그리고 그것이 소외라는 의식조차 하지 못 하고 자라왔다. 평생을 제 밥상 한 번 차려보지 못한 인생이 더 근사한 인생이라는 생각이 남자들의 뇌 속에 뿌리내리고 있다.
그러나, 내 눈엔 그런 남자들은 제 아무리 돈 잘 벌어도, 제 아무리 근사한 몸을 가져도, 제 아무리 지적이어도 전혀 매력적이지 않다.
가끔 우스개 소리로 ‘제 밥 제 손으로 차릴 줄 모르는 남자의 말과 글은 믿음이 안 간다.’고 한다. 제 입으로 들어가는 밥을 평생 남에게 의지해서 살아가는 주제에 인간을, 정의를, 평화를 얘기하는 남자들은 좀 우스워 보인다.
나는 요리를 잘하는 남자를 좋아한다. 요리하는 일이 참으로 소중한 노동이란 가치관을 지닌 남자를 좋아한다. 그 가치관을 위해서는 타인의 시선도, 남성다움도, 몇 푼의 월급도 무시할 줄 아는 남자를 좋아한다.
혹시 주위에 그런 비혼 남성이 있다면 소개해 달라. 이왕이면 시금치 무침과 된장찌개, 고기 넣지 않은 잡채를 맛있게 잘하는 남자면 더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