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 황진이
김탁환 지음, 백범영 그림 / 푸른역사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황진이의 삶이 지은이의 상상에 의한 창조가 아니라, 묻혀진 삶에 대한 진지한 복원이라면 우리는 그에게 고개를 숙여야 한다. 더욱이 지족선사나 벽계수를 홀린 여우로 비하했다면 … 수백년 앞서 살다가 사람을 복원한다는 것은 쉽지 만은 않을 것이다. 지은이의 노고를 밤하늘 은하수를 새기듯이 마음에 새기며 책읽기를 시작한다.
그의 삶은 나의 삶보다 더 고단한 삶임에는 틀림이 없다.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어머니에 대한 외로움, 새끼할머니에 대한 두려움과 외숙부의 비겁한 인상은 스스로를 가두게 하는 세계관인 것이다. 하지만 외숙부처럼, 어머니처럼 안주하지 않고 누리를 품으려 나아갔으며, 시기를 잘못 만난 새잎처럼 혹독한 북풍에 시달려야했다. 봄을 향한 그의 믿음 만큼은 우리는 다시 기억해야 할 것이다.
“스물의 청초함은 사라졌으나 삶의 곡진함과 변화무쌍함이 손끝에 저절로 묻어(225쪽)”는 황진이의 삶이 얼마나 고단한가에 대한 탐색은 지은이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한정하는 것이 좋다. 지은이는 그가 다녀간 길을 따라가며, 흔적만 주워 모우고 있다. 험난한 세상에 고단한 몸을 이끌고 한 삶은 살아가는 황진이는 어쩌면 펜대에서 나오지가 않고 삶의 연륜에서 나오지 않을까?
이는, 책을 읽는 부분이 간간히 드러난다. 그가 너무 조숙한 인상이 드는 것은 나만의 착각일까. 외숙부에 의해 수많은 서책을 통해 읽었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지만 무슨 연유로 기생이 되었는가에 대해서 말하지 않으면서, 사내의 바지저고리를 평생 옥 쬔다고 아궁이에 던져넣는다(112쪽)와 이생과 두류에 올라서 느끼는 회포(212쪽)는 신비화하는 일화로 머무를 우려가 있다. 고뇌에 대한 삶의 성찰이 없으니, 어릴 때부터 읽었다는 서책이 그의 세계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짐작은 한다. 하지만 총체적으로 삶의 구현하지 않기에 왜 기생이 되었는가와 기생으로서의 느끼는 삶에 대한 회한, 그로인한 천하유수(周遊天下)등의 인과성이 나오지가 않는다. 어릴 때에 책을 많이 읽었기에 남보다 월등하다고 말하려는 것일까? 그를 옥죄는 환경과 그의 사념을 통한 자아발견을 진국하게 끓였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런 설익음에 대한 아쉬움은 책을 읽는 내내 내 머리를 아프게 했다.
세상의 모순을 가슴 아파하며, 초월하려는 이가 “압록강 너머 드넓은 고구려의 옛 땅과 산해관을 지나 중원까지 다녀온 거상들에게서 참 인간의 풍모(126쪽)”를 엿보면서 거액의 돈까지 챙긴다는 것은 두억시니를 닮은 욕심쟁이로만 보인다. 아울러 세상에 대한 울분이 들어서기 전에 풍류에 빠진 기생만 보인다.(158~162쪽) 이는 이사종를 말하는 장면에서도 알 수 있다(170쪽). 그와 어울려 즐겁게 놀았다는 것은, 그와 동일화 되었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역사 속에 묻힌 한정된 사료 때문인지 그에 대한 이야기가 너무 띄엄띄엄 쓰여져 있다는 것이다. 지은이의 안목에 의한 옮겨쓰기(중요순으로)일 수 있겠지만… 그렇다면 좀 더 살을 붙여야 할 것이다. 군데 군데 끊기는 이야기는 문체에 의해 미화 될 수 있어도, 삶에 의한 탐구는 숨기지 못한다.
지은이의 황진이에 대한 성찰은 남다를지 모른다. 하지만 지은이가 표현하는 황진이는 거름종이에 걸려진 체 나온다. 온갖 고뇌와 성찰은 지은이의 몫이며, 우리가 읽는 것은 고뇌 다음에 따르는 그의 일화일 뿐이다. 즉 얼마만큼의 고뇌가 황진이의 삶이 머물렀는가에 대한 탐색은 좋을지 몰라도, 험난한 세상을 지존을 버리지 않고 스스로를 채찍질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에 자기를 투영하고 싶다면 잠시 보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는 지은이에게 사적으로 묻는 것이 더 올바를 것이다.
지은이의 황진이에 대한 성찰과 문체에 대한 치열한 탐구만큼은 내가 닮고픈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