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마인 이야기 2 - 한니발 전쟁 ㅣ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2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5년 9월
평점 :
* 간략한 메모. *
한니발 전쟁, 전쟁의 지루함.
전쟁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나아감과 물러섬, 공격과 방어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즉,
한니발과 로마를 다 함께 읽어야 한다.
한니발의 신출귀몰한 전략구사와 그의 전략.-이 부분은 상당히 아쉽지만(상세묘사 부족) 그의 추진력과 로마 연합의 대항을 읽는다. 로마는 귀족도 평민도 혼자이지 않고, 나라가 하나 되어 움직인다. 아울러 어떠한 연줄이 아니라 실력이 우선시 된다. (211쪽) 그렇다면 오늘날 우리나라의 모습은...
역사책을 일개 사실의 기록으로 읽어낸다면 하나의 지식이 늘고,
역사책을 통해 재구성해 낸다면 깊은 지혜가 생길 것이다.
보수와 진보 (298쪽) 메모.
하지만 우리나라는 나이와 함게 어려운 역경을 이겨 낸 이름 모를 이가 누군가인가. 즉 보수와 기득권, 천부적 혜택으로 얻어진 이들이 군림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진정 보수도 없고, 진정 진보의 힘은 약하다. 민노당의 힘, 문국현의 목소리가 잦아드는 것. 나는 두 나라를 본다. 똑같은 자리에서 다른 이야기를 하는 두 사람, 똑같은 자리에서 다른 이야기를 하지만 오늘날에는 미디어가 개입된다. 그리고 미디어는 광장이 되어 두 사람의 언어를 소통시기키잠, 그네들은 이미 그의 입으로 재단해 놓은 상태이다.즉 광장은 있지만 광장에는 거짓(기득권의 맞혀진 눈높이)이 맴돌고, 우리는 그 거짓 속에서 진실을 찾으려 노력하지 않고, 쉽게그 허위 허식에 등을 놀린다. 그러면 뒤에 숨은 미디어는 더욱 기쁘서 날뛴다. 오늘, 우리나라와 고대 로마와의 다른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추신:
스카피오 아프리카누스 - 시팍스(누미디아의 왕)(308쪽)
스키피오의 전략은 '트로이 목마'에 나오는 전략과 비슷하다. 여기에서 그의 전략 위대함이 여지없이 보여진다. 아마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을 쓰기 전에 스키피오를 알았다면, 그는 이 천부적인 전략가를 백배 칭찬하지 않았을까 한다.
고대 로마와 중국.
로마가 강대국이 될 수 있는게 커다란 포용력이라면, 중국은 절대 맹주가 될 수 없다. 오래전 공자가 '덕'의 정치를 강요했지만 그네들은 '힘'의 정치로 타민족을 억누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카르타고의 재현에 불과하며, 힘은 언제나 타민족의 억압과 자국의 방어에 분산되어 쓰여질 것이다.
우리나라가 고대 로마와 카르다고, 그리고 중국을 보며 어떤 전략을 구사해야 하는가는 불문과지이다.
334쪽 -> 역사학자, 그리고 고대. 과거성향주의. 많의 논의가 오고 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