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4
승상 왕가가 상소한 내용.

"孝文帝 때에는 관직에 있는 관리들이 혹 자손이 장성함에 이르러 관직을 - P159

氏로 삼았으니, 倉氏와 庫氏는 바로 창고 관리의 후손입니다. 二千石의 長吏(郡國의 守와 相)또한 관직을 편안히 여기고 즐거워하였으니, 그런 뒤에야 상하가 서로 기대하여 구차한 뜻이 없습니다. 그런데 그 뒤에 차츰 바뀌어서 公卿 이하가 혹 관직에 있은 지 수개월 만에 물러나니, 보통 재주는 구차히 용납하여 온전하기만을 구하고, 낮은 재주는 위태로운 마음을 품고 사사로운 일만을 돌아봅니다. 오직 폐하께서는 賢者를 가려 뽑는 일에 유념하시어 잘한 것은 기억하고 잘못한 것은 잊으소서. 이것이 지금의 급선무입니다."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란은 정치적으로 안정된 ‘섬‘이고 ‘오아시스‘이고 ‘기둥‘이었다. 이집트, 시리아, 이라크 같은 국가들이 소련으로기울고 이스라엘과 적대적 관계를 유지한 반면, 샤의 정권은 이 지역에서 미국의 힘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다. 아마도 훨씬더 중요한 것은 샤가 사우디아라비아의 군주정과 함께 값싼 석유를세계시장에 어떤 일이 있어도 즉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데 도움이되었다는 사실일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답으로 미국은 샤의 군대에 세계에서 가장 앞선 군사기술을 일부 제공했다. 1970년대 중반까지 워싱턴과 테헤란은 500억 달러로 추산되는 무기를 거래했다. - P617

샤는 여전히 권력을 강력하게 장악했으나, 변화의 흐름은 이란을 새로운 방향으로 끌어당기고 있었다.
1978년 1월 7일 오후에 테헤란 신문 《에텔라트>는 호메이니가 정 - P623

권에 맞서 영국 식민주의자들과 공모하고 있다고 비난하는 기사를게재했다. 신문은 이 성직자가 샤의 근대화 계획을 훼손하는 데 여념이 없는 영국 석유업자들의 유급 첩자라고 규탄했다. 진부했지만 이기사는 콤에서 격분을 촉발했다. 망명생활을 하는 동안 호메이니는저술을 출간하고 설교를 녹음해 이란에 밀반입함으로써 추종 세력을 키웠다. 샤가 테헤란에서 지배를 유지하고 있던 바로 그 순간에도호메이니의 영향력이 전국적으로 퍼져 나갔다. 신학생들은 호메이니에 대한 공격을 성직자들에 대한 공격으로, 좀 더 넓게는 이슬람에대한 공격으로 해석했다. 그들은 이 기사와 정권에 항의하는 일련의시위를 벌이기로 결심했다. 다음 이틀 동안 긴장이 고조되었고, 돌과철봉으로 무장한 시위대가 콤 거리를 광포하게 돌아다니며 상점을파괴하고 경찰서를 습격하는 폭동으로 비화했다. 경찰은 군중에 경고했지만 무시되자 발포를 개시했고, 적어도 다섯 명의 학생이 총격으로 사망했다. 이른바 콤 학살은 전국적으로 저항 세력을 결집하는계기가 되었다. - P624

미국인 인질들은 이제 이란 혁명 내의 권력투쟁에서 볼모가 되었다. 대사관 점거는 급진주의의 불길을 부채질했고, 호메이니주의자들에게 임시정부 내의 온건파 지도자들을 미국의 종이라고 매도할수 있게 해주었다. 위기를 수습할 능력이 없고 날로 거세지는 공격을 - P641

받은 바자르간 총리가 11월 6일에 사임했다. 포로 신세가 된 몇 개월동안 인질들은 가혹한 대우를 받았다. 말썽을 부리는 직원들은 눈가리개를 하고 수갑을 채웠으며, 때로는 독방에 구금했다. 고위 관리들과 테헤란 지부에 근무하던 소수의 CIA 관리들은 심문을 받았고, 처음에는 구타도 당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그들의 구금은 이란의 기준에서 보면 그렇게 혹독한 편은 아니었다. 실제로 미국에서 훈련받은 사바크에 의해 감옥에 갇혔던 몇몇 인질범은 훨씬 나쁜 대우를견뎠다. 미국인 인질들로서는 자신들의 억류를 당연히 외교 규범의터무니없는 위반으로 보았다. 혁명이 급진주의를 강화하는 쪽으로방향을 틀면서, "아야톨라의 손님들‘은 미국의 힘에 맞선 저항의 강력한 상징이 되었다. - P6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전에 董仲舒가 武帝를 설득하기를 "秦나라가 商鞅의 법을 따라 井田法을없애니, 백성들이 田地를 매매할 수가 있어서 부유한 자는 田地가 阡陌(길)을 연하고 가난한 자는 송곳 하나 세울 땅조차 없습니다. 그리하여 <지주가>邑에는 人君처럼 존귀한 자가 있고 마을에는 공후처럼 부유한 자가 있으니, 일반 백성들이 어찌 곤궁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옛날의 井田法을 비록 갑자기 시행하기 어려우나 마땅히 다소 옛날과 비슷하게 해서 백성의 名田을 제한하여 부족한 사람들을 도와서 <부자들이 > 겸병하는 길을 막고 賦稅를 적게 거두며 줄여서 백성의 힘을 펴 준 뒤에야 잘 다스릴 수 있을 것입니다." 하였다. - P1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전히 미쳐있는>

~ 5장까지 읽었다

실비아 플라스 - 아빠, 벨 자
에이드리언 리치 - 며느리의 스냅사진들
니나 시몬 - 망할 미시시피, 힘을 빼고, 네 여자
글로리아 스타이넘
수전 손택 - 조앤 디디온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스타이넘은 미리 읽어둬서 관련 내용 읽을 때 쑥쑥 넘어갔음.
플라스는 읽어둘 걸 아쉽다.


예상대로 <다락방의 미친 여자>보다 잘 읽히고 쑥쑥 넘어감.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3-12-24 17: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전 아침에 리치 만나고 왔습니다.
진도 쭉쭉! 쭉쭉쭉!!!

거리의화가 2023-12-24 18:09   좋아요 0 | URL
리치 책 사놓고 아직도 못 읽었는데 진작 읽을걸 하는 생각이... 플라스 내용이 많더라고요!ㅎㅎ 단발머리님도 계속 화이팅입니다^^

다락방 2023-12-25 09: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막 오드리 로드 만났어요!!

거리의화가 2023-12-25 14:57   좋아요 0 | URL
다락방님 얼마 안 남으셨군요^^ 화이팅입니다!
 

시아누크가 프랑스 식민 통치에대한 공개적 저항을 삼갔던 반면, ‘크메르 이사락‘ 저항 전사들은 캄보디아의 숲과 농촌 지역에서 낮은 수준의 반란을 수행했다. 도시에서는 ‘끄롬 쁘라찌어‘ 조직이 좌익 정치 후보를 내보냈고, 캄보디아 공산주의자들의 합법적 전선으로 기능했다. 한편, 공산주의 ‘캄푸치아 노동자당‘은 여전히 지하 조직으로 남아 있었다. 정치 스펙트럼의 다른 끝에는 크메르 세레이가 공산주의자들과 싸우면서 동시에시아누크 정권에 맞서 산발적으로 작전을 펼쳤다. 캄보디아의 보수주의 파벌은 공산주의와 사회주의를 비난하고 서방 열강과 긴밀한 관계를 맺을 것을 요구했다. - P474

1962년, 캄보디아 내의 힘의 균형은 변곡점에 도달했다. 1월에 시아누크는 캄보디아의 합법적 좌익 정당에 전면적인 공격을 가했다. 그는 당 지도자 12명을체포했고, 그들을 처형하겠다고 약속했다. 나라 안에서 인가받은 좌파들을 제거하자 비밀공산당이 캄보디아에서 주요한 좌익 반대 그룹이 되었다. 7개월 후인 7월에 사뭇은 정부군에 체포되었고, 국방장관 론 놀이의 저택으로 끌려가 고문을 받고 처형되었다.
사뭇이 살해되자, 사는 급속도로 강력해져 가던 공산당을 장악하게 되었다. 시아누크가 계속 좌파를 공격하면서 많은 이들이 지하크메르 루주 안으로 숨어들었다. 좌파가 캄보디아의 도시들을 떠나자 혁명 투쟁의 중심지가 숲으로 옮겨갔다. - P478

3월 8일, 군부는 캄보디아에 베트남군이 주둔해 있는 것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나흘 뒤 의회가 시아누크의 "친공산주의 베트남 정책을 비난하는 한편, 론 놀은 3월 15일 새벽까지 모든 베트남 부대가 캄보디아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했다. 쿠데타 음모를 꾸민 자들은 수도의 정부 청사 바깥에 탱크를 진주시켰고 외부 통신을 차단했으며, 여전히 시아누크에 충성하는 일부 관리들을 체포했다. CIA가 개입했다는 소문이 프놈펜 거리에 퍼졌고, 새 정권은 크메르 공화국 창건을 선포했다. 정권은 첫 조치로서 베트남군을 캄보디아 땅에서 몰아내겠다고 약속했다. 모든 관계자가 인도차이나에서 전쟁이 확대될 것 같다는 사실을 알았다. 비공식적으로 베이징은 시아누크가 공산주의자 및 베트남 게릴라들과함께 연합 전선에 힘을 보탤 거라는 희망을 피력했다. - P493

11월에 닉슨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캄보디아는 가장 순수한 형태의 닉슨 독트린‘입니다." 그는 베트남이나 한국에서와는 달리 미국은 캄보디아 내에서 전투를 벌이지 않을 것이라고 청중에게 확언했다. "우리는 피할 수 있다면, 다시는 그런 실수를 저지르지 않기를 바랍니다." 한편, 3년을 더 지속하고 50만 명에 이르는 캄보디아인들의 생명을 앗아갈 전쟁이 질질 끌며 계속 이어졌다. - P499

인도차이나전쟁은 1973년 1월 워싱턴, 하노이, 사이공 사이에 파리평화협정이 체결된 뒤 극적으로 변했다. 미국의 군사적인 베트남 개입이 종결되자 닉슨 행정부는 지역 전력을 캄보디아에 집중할 수 있었다. 그와 동시에 하노이는 캄보디아에서 병력을 철수하고 전장을정부군과 크메르 루주에게 맡겨놓았다. 남베트남에서 미군이 철수하자 역설적이게도 미군의 캄보디아 폭격이 극적으로 확대되었다. - P508

대부분의 미국인들에게 사이공 함락은 비극이었다. 프놈펜 함락과 뒤이은 학살은 거의 기록되지 않았다. 정권의 극단적인 고립 때문이었다. 크메르 루주 지도자들은 그들의 국가를 외국의 영향력으로부터차단하고 그 흔적을 지우기 위해 있는 힘을 다했다. 그러나 1975년까지 권력의 중심부 안팎에 있던 많은 미국인들은 동남아시아에 고통스럽게 연루된 사실을 간절히 잊고 싶어 했다.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이것을 잊어버리고 넘어가기가 그리 쉽지 않았다. 민주캄푸치아는 지정학에서 최악의 폭풍우 한가운데에 자리 잡았다. - P520

크메르 루주 치하에서 캄보디아는 거대한 노동수용소로 변모했다. 한 생존자는 그것을 "벽이 없는 감옥으로 묘사했다. 최종 목표는 완전히 새로운 캄보디아를 창건하는 것, 크메르 사회에 철저한 혁명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농민혁명, 농업 발전, 국방이라는 세 가지 목표는 크메르 루주 프로그램의 필수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측면이었다. 크메르 루주는 갈 길을 막는 사람은 누구나 학살하면서 가차 없이 이 목표를 추구했다. - P529

수천 명의 사상자와 북부 지방의 황폐화가 이른바 이 승전에 그림자를드리웠다. 결국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승자는 없었다. 아마도크메르 루주로부터 구조되었던 캄보디아 사람들을 제외하면 말이다.
전쟁은 수천 명의 사망자에 더하여 범아시아 공산주의 연대라는마지막 겉치레도 파괴했다. 하노이와 베이징은 미국보다 서로를 더두려워했다. - P552

1975년 내전에 이르기까지 레바논에서는 서로 다투는 일련의 민병대들이 등장했는데, 각 민병대는 종교·인종 공동체의 정파들을 대표했다. 레바논 국민운동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는 기독교 지배의 현상태를 뒤집으려 했던 반면, 팔랑헤당과 국민자유당은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싸웠다. 이 민병대들은 지역적·전국적 수준에서 정치 지도부와 광범하게 연계를 맺은 종파 군사 지도자들의 통제를 받고, 실업계가 자금을 대며 깡패들이 보호를 제공하는 일종의 레바논 마피아로 성장했다. 국가 보안군은 질서를 유지하려고 애를 썼지만, 전반적으로 레바논에서 활동하는 준군사 조직들보다 병력과 화력에서열세였다. 종파 선을 따라 레바논 군대가 분열되어 있는 사정은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기독교 병사들에게 팔랑헤당을 상대로 행동하도록 강제하거나 무슬림 병사들에게 팔레스타인해방기구나 레바논국민운동에 맞서 뭔가 조치를 취하게끔 강제하는 것은 군대 내에서더 큰 반란을 야기할 위험부담이 있었다. - P576

그린 라인은 다마스쿠스 가를 따라 무슬림 서베이루트를동부의 기독교도 구역으로부터 분리하는 선이었다. ‘레바논 라디오‘
는 도시의 주민들에게 전투로 황폐해진 거리에서 길을 찾고 위험한교차로를 벗어나 안전한 경로로 갈 수 있도록 유도하며 그날 어떤 시설이 문을 열었는지를 알려주는 등 최신 소식을 전했다.
놀랍도록 빠르게 중동의 파리는 폭력이 난무하는 상태로 빠져들었다. 도시 외곽의 구릉지에 거주하던 부유한 기독교도들은 아래쪽의 팔레스타인 피난민 캠프에 재미 삼아 박격포를 쏘았고, 마론파 민병대가 희생자들의 가슴에 십자가를 새겼으며, 좌익 민병대는 격렬한 보복 공격을 가했다. 그사이 베이루트는 서로 싸우는 군대들이 가장 정밀한 무기를 구하려 들면서 국제 무기 거래의 중심지가 되었다.
동유럽 총기 밀반입자들이 베이루트에 대거 진출하는 한편, 레바논기업가들이 비아프라와 가나의 반란 단체들로부터 무기를 조달하기위해 아프리카로 손길을 뻗쳤다. - P584

아라파트와 팔레스타인해방기구가 우위를 점한다면, 시리아는 서쪽 측면을따라 급진적인 새로운 국가와 함께 살 수밖에 없을 것이었다. 이스라엘의 반격이 성공한다면 레바논은 보수적인 기독교 국가로 변모할것이고, 이는 다마스쿠스의 정권을 위협할 터였다. 어떤 결과가 나오 - P590

든, 이 지역에서 시리아가 갖는 영향력에 심각한 타격을 가할 거라는사실을 의미했다. 그러므로 레바논에서 무슬림과 기독교도 사이에교묘한 힘의 균형을 회복하는 것이 시리아에게 최대 이익이라고 아사드는 결론지었다. - P591

이스라엘 정부 내 소수파는 이스라엘과 동맹을 맺을 미니 국가들을 창건하기를 희망하며, 레바논의 가장 큰 두 비무슬림 소수 세력인 마론파와 드루즈파를 지지하는 개입 정책을 요구했다. 그러나 대체로 이스라엘 내각에는 레바논에 직접 개입하려는 열의가 거의 없었다. 그럼에도 이스라엘 관리들은 시리아가 레바논을 통제할 수도 있는 가능성에 멈칫했다. 결국 이츠하크 라빈25 총리의 예루살렘 정부 지도자들은 마론파를 구하고 현 상황을 복원하기 위해 이스라엘 병사를 레바논에 보내는 것이 아니라 시리아가 시리아 병력을 보내는 것을 기꺼이 허용했다. - P593

이집트와 이스라엘이 대체로 미국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가 설계한 1975년 ‘시나이 II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아랍-이스라엘 평화프로세스에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단계가 마무리되었다. 이 협정으로양국은 평화조약으로 가는 길 위에 들어섰고, 미국은 이 프로세스에서 핵심적인 중재국의 위치에 있었다. 평화에 대한 보답으로 이집트와 이스라엘은 미국으로부터 각각 연간 원조 20억 달러와 30억 달러를 받을 것이었다. 이 지원금으로 양국은 미국의 대외 원조에서 최대수혜국이 되었다. 지정학적인 면에서 보면 이집트는 시나이 II를 체결함으로써 아랍-이스라엘 충돌에서 빠졌고, 아랍 세계에서 가장 큰이 국가는 미국의 주요 동맹국이 되었다. 그 결과 카이로는 소련 궤도에서 이탈해 미국과 제휴하는 쪽으로 움직였다. - P594

1976년가을까지 남레바논은 팔레스타인 전사들과 하다드의 기독교군 사이의 전쟁터가 되었다. 이스라엘의 지원으로 하다드는 남레바논에 ‘영지‘를 구축했다. 하디드와 이스라엘의 후원 아래 이 지역은 무법 국경 지대로 바뀌었다. 이스라엘 등록 차량이 침공 루트를 따라 낸 새도로를 가로지르면서 히브리어로 된 표지판을 지나쳤고, 가게 주인들은 이스라엘 맥주를 팔았으며, 이스라엘이 지지하는 군사 지도자(하드)가 권력을 쥐었다. - P6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