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을 보니 작년 딱 오늘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페이퍼에 올렸는데(https://blog.aladin.co.kr/roadpainter/13905626) 공교롭게도 오늘 3번째 읽게 되어서 놀라웠다.
신기한 건 3번째 읽는 것인데도 전혀 지루하지 않고 재미가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이 정말 잘 쓰여진 책이라는 것을 다시금 실감한다.
나는 그냥 정말 읽은 소감을 간단하게 인상적인 부분을 이야기하고, 한 가지의 단어만 꼽아보려 한다. 함께 읽는 멤버분들이 정리를 잘 해주시기도 하고 3번째니까 좀 널널하게 읽으려고 생각하고 있기도 해서다^^;

책을 보면 알겠지만 흔적이 남아 있다. 나는 저런 식으로 책의 중요 문장을 꼽아가면서 읽는다. 모르는 단어나 인상적인 단어는 색연필로 단어를 표시해둔다. 나중에 읽을 때 도움이 많이 되더라! 다음에도 또 모르는 단어인 채로 남아 있으면 질타 좀 하면서 다시 외우면 되지뭐^^;;;
첫 번째 챕터에서 가장 인상적인 단어는 뭐니뭐니 해도 shaduf다. 책에 있는 이미지가 정말 친절해서 이미지와 원서 설명문을 읽으면 그렇게 찰떡일 수가 없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읽히는 책이 아닐까.
유목민들이 어떻게 농경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는지 우리가 역사책에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이야기가 나오고 그 실례를 Tarak의 가족을 통해서 이야기해준다. 이것이 정말 좋다^^
엄마가 만들어주신 lizard stew 맛이 궁금하면서도 그 과정이 훈훈했고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에 만들어진 fertile crescent를 이야기하며 Tarak 가족도 자리를 잡게 된 이야기를 해 준다. Tarak은 매일 음식을 구하러 다니지 않아도 되고 수영을 잘하니까 뽐낼 수 있고(?) 여러 가지 이유로 떠돌이 생활보다는 정착 생활이 좋았던 것 같다.
이제 ch1. 지금부터 시작이니 무리하지 말고 이렇게 계속 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