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 20세기 초 들어 여성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일어선 이래 페미니즘 이론은 변화해왔다. 이 책은 페미니즘 제1물결부터 시작하여 시간 순으로 페미니즘 이론가들을 불러오고 그에 걸맞는 소설 작품을 들고 와 예시로 든다.

이 중 버지니아 울프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자기만의 방>은 제1물결의 예시작으로 나와 있는 반면 <올랜도>는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 예시작으로 나와 있다. 그런 면에서 한 사람의 작가가 특정 페미니즘 이론으로 정리될 수 없음을 이해하게 된다.

사실 페미니즘 제1물결과 자유주의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정도까지는 이론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었던 상태였는데 이후에 나오는 포스트구조주의 페미니즘부터는 기존에 제대로 아는 바가 없었다.
한 번쯤은 페미니즘 이론의 역사를 정리할 기회를 갖고 싶었다. 이 책을 통해서 어렵지 않게 그 문턱을 넘을 수 있었던 것 같아 좋았다.
물론 작가도 설명하듯 이론에 명확하게 들어맞지 않는 작가나 작품들도 존재한다. 한 인간이 하나로 설명될 수 없는 것처럼 이론가와 그 작품도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경계는 명확하지 않고 모호할 수 있다. 그렇다 해도 이렇게 정리해두는 것은 향후 페미니즘 이론을 이해하고 역사를 공부해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나의 경우는 특히 ’엔젤라 카터‘의 ’써커스의 밤‘이란 작품을 읽어보고 싶어졌다.
이 책을 읽기 전 읽은 것이라고는 <제2의 성> 밖에 없었다. 그렇다 해도 다행히 읽는데 큰 무리는 없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관련 작품들 중 한 두 권 읽고 싶은 책을 얻는다면 즐거운 경험이지 않을까.

‘오이디푸스’를 ‘외디푸스’ 등으로 번역하여 기존의 용어와 달라 내 경우 적응이 잘 안됐다. 또 군데 군데 접미사 오타가 있어서 읽는 흐름을 방해했다. 향후 이 부분은 개선되면 좋겠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3-01-15 08:19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이번 책은 거리의 화가 님이 1등이네요! 읽느라 수고하셨습니다. 저도 곧 따라갈게요! 참고로, 저는 써커스의 밤을 다시 읽어보기 위해 또 샀답니다. 훗.

거리의화가 2023-01-15 10:17   좋아요 1 | URL
ㅋㅋ 다락방님 그 책 사셨군요. 저도 조만간 살 것 같아요ㅎㅎ
여러 모로 이 책은 제게 유용했습니다. 소설을 읽지 않아도 이해하는 데 크게 어려움이 없어서 더 좋았구요. 감사합니다.

책읽는나무 2023-01-15 15: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호~ 벌써 다 읽으셨나요?
이번 달은 화가님이 1 등!!!^^
전 이제 2 강 읽고 있어요. 진도를 빨리 빼야겠네요. 페미니즘 단계별 이론들이 나오니까 지금 막 헷갈리더군요ㅜㅜ
2 강의 책들은 안 읽어도 따라 읽기 쉽기도 하고? 궁금하기도 하고?...^^;;;
암튼 부럽습니다.

거리의화가 2023-01-16 09:10   좋아요 1 | URL
관련 도서들이 많아서 읽고 이 책을 읽기에는 진도 자체가 안 나갈 것 같아 마음 편하게 그냥 본서만 봤어요^^; 일단 저는 썼듯이 엔젤라 카터 책만 읽어보려고 생각중입니다.
나무님처럼 진득하게 관련 작품들까지 다 읽는게 사실 정석이죠. 화이팅입니다!

독서괭 2023-01-15 15:5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와 벌써 완독을!! 관련도서들 읽지 않아도 괜찮다니 다행이네요~ 축하드립니당 ㅎㅎㅎ

거리의화가 2023-01-16 09:11   좋아요 1 | URL
ㅎㅎㅎ 네. 저도 의외였어요. 사실 지난 2달에 걸쳐 읽은 책보다 이 책이 제겐 더 읽기 수월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생각보다 빨리 끝났습니다^^; 이제 남은 달은 편하게 제가 읽고 싶은 책들 읽으려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