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의 시작이다.
지난 달도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책을 읽고 걸었다. 이제 봄도 끝나고 여름이 된 것 같다.
지난 달 읽은 책들과 이번 달 읽을 책들을 간단히 정리해 본다.
#1 - 5월에 읽은 책들
- 올리브 키터리지
- 역사의 원전
- 파친코(총 2권)
- 냉전과 새마을
- 5.18 푸른 눈의 증인
- 얄타의 딸들
- 해러웨이 선언문
- 도나 해러웨이
- 이란의 시간은 다르게 흐른다
- 이성과 감성
지난 달 읽은 책들은 총 10권이다.
행사가 많은 달이라고 하지만 특별히 어버이날 모임을 제외하곤 행사가 없었기에 시간 뺏길 일은 없었다.
날씨가 좋아서 자주 걷고 볕을 쬐었던 것 같다.
읽은 책들 중 기억에 남는 작품은 《역사의 원전》이다.
역사를 해석하는 것에 따라서 이것이 의도한 바와는 다르게 정치적으로 읽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메시지에 대안의 한 시작으로 볼 수 있는 책이 될 것 같다.
책에 모인 글들은 유명 작가보다는 일반인에 대한 기록이 많다.
어느 특정한 날에 대한 기록이 담담이 표현되는데 그것이 울림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막판에 한국전쟁에 대한 기록을 읽으며 눈물이 나고야 말았다.
100자평 리뷰만 올렸는데 기억이 날아가기 전에 제대로 정리해야겠다^^;
《파친코》는 후기를 보거나 리뷰를 보았을 때 1권보다 2권이 나을 거라 예상했는데 역시 그랬다.
읽기 어렵지는 않았고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역사적 배경과 조선인의 삶에 대해 주목했던 것 같다.
주인공들이 어렵고 힘든 환경 속에 내던져졌을 때 이를 어떻게든 타개해나가는 모습은 우리의 조부모, 부모 세대를 떠올리게 만든다.
이 책을 읽고 느낀 단 하나의 감정이 있다면 혼란 이라는 단어일 것 같다. 환경의 혼란, 감정의 혼란.
《얄타의 딸들》은 얄타회담의 세 명의 지도자가 아닌 회담을 서포트한 딸(애나 루즈벨트, 사라 처칠, 캐슬린 해리먼)들에 주목한 책이다.
회담 시작 전부터 회담이 종료될 때까지 날짜별로 담았다.
회담이 어떻게 흘러갔는지 이야기가 나오기는 하지만 사실 그것보다는 딸들과 가족 및 주변의 관계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가 더 많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해러웨이 선언문》여성주의 책은 예상보다 어려웠다.
이리 가레이만큼 체감상 어려웠다(나는 이리 가레이 책의 표현이 대부분 모호한 게 많아서 이해가 어려웠다.). 그래도 컴북스 이론총서로 갈무리하면서 그녀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를 정리하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잘된 것 같지는 않고 마무리도 엉성해서 만족스럽지가 않다. 다른 분들의 감상도 대체적으로 어려웠다는 후기가 많은데 아무튼 1차로 읽어냈다는데 의의를 두어야겠다.
여성주의 책을 읽으면서 한계를 깨닫는 독서를 이어나가는 중이다.
《올리브 키터리지》는 내용도 내용이지만 표현이 아름다워서 기억에 남는다.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역량이라고 보이는데 마치 수채화처럼 잔잔이 마음을 타고 흐르게 만든다고 해야 할까.
올리브를 중심으로 한 관계를 들여다보며 중년 이후의 삶과 감정에 대해서 고민해보게 되었다.
이어서 읽을 다시 올리브도 좋을거라 예상해본다.
제인 오스틴의 소설은 이전에 오만과 편견에 이어 두 번째로 읽게 되는 것이었다.
오만과 편견을 읽고 나서 제인 오스틴의 작품이 왜 인기가 있는지 나는 알기 어려워서 이후론 읽지 않았다.
그러다 여성 작가들의 글을 읽어야겠다 생각해서 실행에 옮긴 첫 작품 《이성과 감성》 이다.
시간 순으로 보니 이것이 제인 오스틴이 쓴 첫 장편소설 작품이었다.
다작을 한 작가라 작품들이 많아서 대표작을 하나 뽑아서 읽었어야 하나 하는 후회가 들기도 한다^^; 다음달부터는 고민을 해보아야겠다.
그 밖에 《냉전과 새마을》, 《5.18 푸른 눈의 증인》도 과거의 사건을 복기하고 빈 공간을 메우는데 도움을 준 책들이라 좋았다.
#2 - 6월에 읽을 책들
- 동아시아를 발견하다
- 두만강 국경 쟁탈전 1881-1919
- 구술로 본 한국현대사와 군
- 와다 하루끼의 북한 현대사
- 마이너 필링스
- 광장
- 회색인
- 여기, 아르테미시아
- 완전한 이름
- 가부장제의 창조
- 프랑켄슈타인
《동아시아를 발견하다》와 《두만강 국경 쟁탈전 1881-1919》은 작가가 같아서 서로 다른 내용이지만 읽는 김에 한 큐에 읽는 게 나을 것 같아서 읽기로 했다.
《구술로 본 한국현대사와 군》, 《와다 하루끼의 북한 현대사》는 6.25 전쟁이 얼마 안 있으면 돌아오는데다 분단 이후 남북한의 역사에 대해서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아서 골랐다.
《마이너 필링스》는 소외된 사람들에 대해서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
《광장》과 《회색인》은 계속해서 아시아 비동맹주의와 제3세계, 중립주의에 대한 글을 읽고 있는지라 최인훈 작품을 읽어야지 해서 골랐다.
《여기, 아르테미시아》와 《완전한 이름》은 여성이라서 편견을 받고 예술성을 인정받지 못하던 예술가들의 삶을 작품을 통해 들여다 보기 위해 골랐다.
《가부장제의 창조》는 이달의 여성주의 책이다. 이번에는 늦장부리지 말고 시작해야겠다.
《프랑켄슈타인》은 메리셸리의 대표작이다. 여성주의 작가의 작품 2번째로 골랐다. 지난 달 여성주의 책 해러웨이 선언문의 사이보그 선언을 읽으면서 이 작품이 떠올라서 이 책으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