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은 왜 짠가
함민복 지음 / 이레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강화도에서 혼자 살고 있는 집엔 빨간 양철지붕으로 된 안채와 파란 양철지붕을 인 행랑채가 있고 흰 슬레이트를 얹은 화장실이 있다. 나는 이를 자금성, 청와대, 백악관이라고 부른다.(128쪽)

보일러 기름이 떨어지면 뒷산에 올라 직접 나무를 해다가 때고, 마니산에서 두릅을 따다 뒤꼍의 부추를 뜯어 넣어 비빔밥을 해먹고 혼자 사는 시인이 있다. 아니 참, 속이 허하고 머리가 어질어질하면 날계란도 하나 톡 깨어 먹는다지. 동리 사람이랑 바닷가에 나가 그물을 던져 숭어를 잡기도 하고.

동네의 다른 집들엔 제비가 집을 지었는데 시인의 집엔 제비가 깃들지 않아 친하게 지내는 후배 여성 시인에게 하루 놀러오라고 전화를 거는 마흔 중반의 시인. 제비가 여성 호르몬 냄새를 맡고 혹시라도 찾아오지 않을까 하여......

'가난과 불우가 그의 생을 할퀴고 지나가도 몸을 다 내어주면서 뒤통수를 긁는 사람'이라고 오래 전 김훈은 시인 함민복을 묘사한 적이 있다. 가난과 불우는 시인의 전유물이라고 누가 말했던가!  함민복은 홀로 사는 늙은 어머니를 고향 이모 집 근처 경로당에 딸린 방에 세들어 살게 하면서도 "어머니 이층집에도 살아보시네요."하고 짐짓 너스레를 떤다. 어머니가 잠시 신세지는 경로당에 딸린 방이 어떤가 구경하러 내려왔다가 고향 사람들 보기 부끄러워 어두워질 때까지 서점에 숨어 있었으면서도...

1990년인가 91년, 그의 원고를 받기 위해 연락처를 수소문해 전화를 걸었을 때 함민복 시인은 버팀목이라는 출판사에 다니고 있었다. 우울 씨가 다니는 출판사 이름이 버팀목이어서 뭔지 안심이 되었다. 내 기억에 의하면 함민복과 유하의 이름은 항상 붙어다녔다. 그런데 당시 내가 헷갈렸던 시인은 진이정과 함민복.  왜 그랬을까? 가난 때문에? 병 때문에?

유하 시인이 동숭동의 무슨 화랑에서 자신이 찍은  '구보 씨의 1일'이라는 단편영화를 처음으로 상영했을 때 나는 친구와 그곳을 찾았다. 영화는 하나도 좋은 줄 모르겠고 아무튼 영화가 끝나고 나오니 계단 옆에 유하 시인과 진이정 시인이 함께 서 있었다. 진이정 시인은 아주 시니컬해 보이는 인상이었고 나는 그들을 지나치며 함민복 시인은 어디 있을까, 속으로 생각했다.

함민복 시인은 금호동 친구의 집에 꽤 오래 얹혀살았다. 그는 나도 두 다리 세 다리 건너 아는 이였는데 어느 날인가 새벽까지 술을 마시고 집에 들어가는데 골목 모퉁이에 계란판이 켜켜이 쌓인 자전거가 있어 취한 김에 계란 한 판을 훔쳐가지고 춤을 추듯 비틀거리며 집으로 돌아갔다고 했다. 아마 그 계란은 함민복 시인의 입에도 들어갔으리라.

어느 날 시인은 돼지 새끼를 직접 받다가 지인의 전화를 받는다. "예, 저는 지금 돼지 새끼를 받고 있거든요. 돼지 자궁 속에 제 손이 들어가 있어요."

개도 키우고 돼지도 기르고 안해본 일이 없는 시인의 퉁퉁하고 넙적한 손이 나는 참 좋았다. 자신이 지하셋방에 사는 게 뭐 그리 큰 수치라고 걸핏하면 지하셋방으로 자신의 가난을 표현하지 못해 안달인 또래 시인들의 희고 긴 손보다 100배나......

그는 시 하나 써주면 국밥 한 그릇 값의 원고료를 받고 자신의 시가 과연 그 국밥 한 그릇만큼 사람들의 속을 덥혀줄 수 있을까, 하고 고개를 갸웃한다.   1996년, 소설을 써주기로 하고 어느 출판사에서 이백만 원을 당겨 받은 시인은 세상에 태어나 처음 그런 거금을 만져본다고 했다.  세상에! 그 돈은 어머니 방 얻는 데 홀랑 들어갔다. 

가난과 불우라고? 천만의 말씀이다. 그는 이 세상 누구보다 해맑고 다정하고 생각이 깊은 시인이다. 그것보다 더 큰 재산이 어디 있는데?

--건축가 이일훈 선생님의 강의를 들은 적이 있다. 강의 중 슬라이드를 보는 시간이 있었다. 고건축물에서 현대 최첨단 건축물까지 여러 건축물을 설명하는 도중 느닷없이 한적한 곳에 덩그렇게 서 있는 시골 방앗간 풍경이 떴다. 이 선생님은 잠깐 사이를 두더니 말을 이었다. "나는 이 방앗간을 보는 순간 눈시울이 뜨거워지고 눈물이 났습니다. 완벽한 건축물을 만났기 때문이죠. 장식이라곤 아무것도 없이 양철지붕만 올려놓았지만, 여기 어디 버릴 게 있습니까, 부족한 게 있습니까?" 가슴이 찡했다. 나도 어느 골목길에선가 그 비슷한 느낌을 받은 적이 있었기에 더 그랬을 것이다.(152쪽)

(나도 이 대목을 읽고 가슴이 찡했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니르바나 2005-04-09 2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드무비님이 좋아하는 작가 공선옥의 신간소식을 보았습니다.

비가 내리는 주말이라 차분한 기분이군요.

책읽기에 적당한 공기가 주위를 휩싸고 돕니다.

행복한 주말 시간이시길 바랍니다.

 


로드무비 2005-04-09 2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니르바나님, 주말 잘 보내고 계세요?
와, 반가운 소식입니다.
당장 보관함에 집어넣습니다.
사는 게 거짓말 같을 때, 제목이 끝내줍니다.^^

릴케 현상 2005-04-09 2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함민복씨랑 술마셨다고 자랑했었죠

kleinsusun 2005-04-09 2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홀로 사는 어머니를 경로당에 세들어 살게할 때의 그마음....그 미안한 마음이 생각나서 맘이 아프네요. 시 하나가 국밥 하나 값인데, 국밥처럼 사람들의 속을 덥혀 줄 수 있을까 고민하는 시인. 김점선이 화가는 그림을 그리는 노동자라고 했죠.함민복 시인의 그런 고민이 참 마음에 와닿아요. 또 존경스럽구요.
저도 이 책 읽어볼래요. 로드무비님의 리뷰는 역시 짱!

플레져 2005-04-09 2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인이 왜 시인인가 하면 시인일 수 밖에 없어 시인이래요... ㅎㅎㅎ

로드무비 2005-04-10 08: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플레져님, 시인은 천상 시인인 것 같아요.
그런데 시인인 척하는 시인들도 많아요.^^;;;
수선님, 수선님의 댓글은 역시 짱!
스스로를 너무 존경하는 시인은 좀 역겹더라고요.
함민복 씨가 좋은 건 시도 시지만 그 질박한 사는 모습.
수선님 땡스투 누르는 거 잊지 마세요. 책 살 때...ㅎㅎ
산책님, 네. 몇 번 마셨지요. 그런데 제가 그걸 자랑했나요?
자랑할 만하지 않아요?ㅎㅎ

하루(春) 2005-04-10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추비빔밥 맛있는데... 다음엔 두릅도 넣어봐야 겠군요. ^^

잉크냄새 2005-04-11 1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시인이 술을 먹고 취하면 주정 또한 시적일까요. 문득 궁금해지네요.
얼마전 새로나온 그의 시집을 보관함에 담았는데 이 산문집 또한 읽어봐야겠어요.^^

로드무비 2005-04-11 14: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잉크냄새님, <말랑말랑한 힘>이요?
가까이서 본 함 시인은 참으로 얌전하고 수줍음이 많았나이다.
네, 詩的이라면 시적이었습니다.^^

로드무비 2005-04-11 17: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루님, 부추비빔밥과 된장찌개 맛있죠?
삼성본관 뒤에 맛있는 집 있는데......

2005-04-11 18: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검둥개 2006-02-20 13: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엉뚱하게 늦게 와서 읽구 가요. 로드무비님의 리뷰를 읽으니 눈가가 뭉클해지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