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래된 미래 - 라다크로부터 배운다, 개정증보판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지음, 김태언 외 옮김 / 녹색평론사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에게 라다크라는 곳은 낯설다. 사실 어느 곳에 위치해 있는지 전혀 모르고 있었다. 세상에 내가 모르는 곳이 한두군데가 아니지만 라다크라는 곳은 경이롭기도 하지만 친숙한 생활 모습을 하고 있었다.
공동체 중심의 전통적인 한 사회가 근대화, 개발화 되어가면서 변화되는 모습은 라다크만의 문제는 아니였을 것이다. 이는 세계적인 추세가 되었고 우리나라 또한 그런 나라 중의 하나이다. 자급자족이 가능했고 환경친화적인 삶을 누렸던 그들에게 '돈'이면 모든 걸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는 환상을 심어준 것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발전'이라는 건 무조건 좋은 것으로 받아들였던 내 무지했던 사고가 깨였다. 도로가 포장되고 전화기가 놓여지고 멋진 현대식 건물이 들어서고 변을 봐도 그 흔적조차 남기지 않는 시설이 생겨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라고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그것이 우리를 더욱 게으르고 포악하게 만들었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처음에 사람들은 새로운 경제가 의존성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돈이 그저 이로운 것으로만 보였다'는 글처럼 나의 사고도 경직되어 있었다.
'현대 세계의 도구와 기계들이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지만 새로운 삶의 방식이 전체적으로 시간을 빼앗아간다'는 말도 일리가 있다.
또한 교육 현실에 맞지 않는 서양의 교육 또한 빛 좋은 게살구일 뿐이다. '지역의 자원을 무시하고 자신의 문화를 열등한 것으로 생각하게 한다.'는 말 또한 맞다. 우리의 교육 현실도 그러했기에 우리나라 것보다는 메이드 인 아메리카를 선호하고 심지어 아이까지 원정출산을 하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과연 무엇이 옳은 일인가? 편안함을 추구하며 사는 지금 우리의 현실에 파문을 일으킨다. 무분별하게 발전에만 치우쳤던 우리나라의 현실도 안타깝게 여겨진다. 그런데 왜 이리 답답한 것일까? 자신이 없다. 환경을 소중하게 다루어야 하지만 다시 전통적인 생활양식에 따라 산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가 없다. 이런 모순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 것인가 그 질문만이 내게 다시 되돌아 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