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와 해안과 섬을 이어가는 식으로
섬과 해안과 지도를 맞추는 것처럼
낱낱의 외곽을 새기며
앞뒤의 가능성이 앞뒤를 반박하지 못하도록
함부로 이유를 빌려다 썼다
그것을 잠깐 부르는 게 모든 것에 대한 대답이었다
-목적지 중 <계속 열리는 믿음>(75쪽)
최근 몇달동안 술 생각이 별로 없었다. 남들 마시는 것만 봐도 즐거웠다. 어젠 즉흥적으로 남편의 치맥 제안에 일찍부터 마시기 시작해서 정말 이른 시간에 취한 채 돌아와 잔 것 같다. 분명 세탁소에서 세탁물이 많으니 빨리 찾아가 달라는 문자도 받았는데 그것도 찾아 오지 않았고 오전에 수영 다녀온 가방은 정리가 되지 않은 채 욕실 앞에 놓여 있었다. 그러고보니 애들 저녁밥도 안 챙긴 게 생각났는데 그건 다행히 남편이 챙겨 먹이고 설거지까지 예쁘게 해놓았다.
속이 쓰리다. 남편 말로는 우리 둘이 생맥 10잔을 마셨다고 하니 아무래도 네잔 정도는 내가 마셨을 것 같다. ˝딱 한잔만˝ 하는 그 버릇이 어디 갔을까!
결국 다음주 마지막 수업엔 차를 놓고 갈까했으나 차를 다시 가져가기로 한다. 술을 조금만 마실 것 같지 않다. 분명 광기에 휩싸일지도 모른다. 그래도 마음 한편 좋은 사람들과 은근 취기를 즐기는 것도 좋을텐데라는 쪽으로 마음이 기운다. 그래도 너무 먼곳에서의 만취는 곤란하겠다.
아침마다 세상을 뒤집는
여자가 있다 목장갑에 기름보다
콧물 더 많이 묻고
바람이 붉은 포장을 건드리면
얼룩으로 이력을 쓰는 앞치마 한 장
먼저 달려가 펄럭인다
오른쪽 문짝이 삐걱거리는 트럭으로
반죽을 실어다놓은
여자의 사내는 골목 어귀에서
담배 한 대 다 태우고 돌아가고
뒤집을 때마다 튀어 오르는 기름방울은
마을버스가 닿지 않는 동네 엄마
없이 밥을 먹는 아이
얼굴에 주근깨 자국으로 번진다
날마다 남은 잠을 끌고 온 사람들은 말없이
가스불을 바라본다 거리를 채질하는 바람
두 볼을 스쳐
가도 세상을 벼르본 날
하루도 없다 그저 제향 같은 연기 더러 오르고
여자의 가난으로 구운
손바닥만 한 세상을 받아든 사람들은
기름방울처럼 길 위로 스며들었다
(이하 중략)
겨울을 뒤집느라 아침마다 혼자
뒤집히던 그녀
기름방울 속에 누렇게 떠 있었다
-세상을 뒤집는 여자 중 <그 바람을 다 걸어야 한다> 70~71쪽
신용목 시인의 시집을 머리맡에 둔지 며칠되었다. 이제야 읽는다.
방도 때로는 무덤이어서 사람이 들어가 세월을 죽여 미라를 만든다
-오래 닫아둔 창 중 <그 바람을 다 걸어야 한다> 24쪽
아! 하고 감탄이 절로 나왔다. 이런 것이 시인의 시선이고 생각이고 말이구나! 빠져드는 구절이 꽤나 많다.
시라는 걸 직접 써보며 든 생각은 시는 정말 아무나 쓰는 게 아니였구나였다. 아무리 생각하고 머리를 쥐여짜도 감각이 살아있지 않은 시어들은 아무나 쓰는 게 아니구나를 느꼈다. 얼마나 많은 시간과 공을 들여 쓴 것들인지 알게 되어 시를 읽는 마음이 조금 더 공손해진 느낌이다.
신용목 시인의 시집을 처음 읽어보는데 매력적이다. 빠져들게 하는 싯구들이 정말 많다. 시를 쓰려면 정말 이 정도는 쓰고 싶다할만큼 부러운 마음도 든다. 아무래도 시인에게 반할 것 같은 그런 마음이다.
다시 시집을 펼쳐야겠다. 노트에 옮겨 적어야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