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소의 혼을 사로잡은 이중섭> 책을 읽었다. 이중섭의 소 그림이나 천진난만한 아이들의 그림이 아니라 <돌아오지 않는 강>이라는 그림에 사로잡혔다.
<돌아오지 않는 강>, 1954년 당시 인기를 끈 영화에서 그림들의 제목을 따왔단다.
'돌아오지 않는 강'은 흔히 말하는 세월이 아니겠는가.
그가 원산을 떠나올때 건넜던 강을 다시 돌아가지 못했듯
우리는 이미 강을 건너가며 살고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창문밖에 광주리를 이고 오는 여인이
그가 기다리는 여인이었을까
아니면 그저 지나가는 사람이었을까
기다리고 기다리지만
그녀도 그도
계속 그 자리에 머물러 있다.
눈이 쌓이고 꽃이 휘날리고 바람이 불고 비가 내려도
그녀는 오지 않고
그는 마냥 기다리기만 한다.
기다리고 기다리는 동안
그의 얼굴은 사라졌다.
그의 머릿속 가득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 있었을까? 아니면 더 멀리 바다를 건너갔던 아내를 생각했던 것일까? 기다림의 시간과는 상관없이 그는 기다리고 또 기다렸던 것 같다.
어린 시절 살림살이가 궁핍해지자 엄마는 돈을 벌러 나가셨다. 엄마가 돈을 벌러 나가시면서부터 엄마가 언제 돌아오실까에 대한 생각으로 조바심을 냈던 기억이 떠오른다. 해가 저무는 것 같으면 엄마가 오실때가 조금이라도 지나면 엄마가 돌아오지 않으면 어쩌지라는 걱정은 불안으로 나를 자꾸만 두렵게 만들었던 것 같다. 그림을 보며 그때의 기억이 되살아났다. 그때 엄마를 기다리던 나의 모습이 창턱에 기대어 앉은 사람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하고 말이다.
엄마 걱정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입속의 검은 잎>, 기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