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 대해서 요즘처럼 진지하게 생각해본적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아흔의 할머니가 결국 드러누우셨다. 며칠동안 물도 제대로 드시지 못했기에 더 많이 수척해졌다. 더이상은 살이라는게 남아 있지 않는 것 같다. 뼈를 뒤덮고 있는 건 오로지 가죽뿐인듯 뼈의 윤곽이 오롯이 살아있다. 

며칠 못 사실 것 같다는 엄마의 전화를 받고 남편과 아이들을 데리고 친정엘 다녀왔다. 이제 더이상의 기력을 회복하실 것 같진 않지만 그래도 여전히 또렷한 정신은 우리가 보고 있는 몰골에 비하면 너무도 정확해서 놀랄 지경이다. 내가 누구인지 알아보지 못할까봐 조금은 겁도 났는데 다행스럽게도 할머니는 우리 모두를 알아보시고 손을 내밀어 잡아주길 바라셨다. 손을 잡기전에 나도 모르게 차가울거라고 단정했던 손이 따뜻한 온기를 품고 있었고, 어디 아픈데는 없냐고 여쭤보니 아무렇지 않다고 또렷이 대답까지 하신다. 그래도 우리가 알고 있던 그 얼굴이 아니다. 머리카락도 대부분 빠져서 얼마 남아 있질 않았고 거의 가죽만 남은 할머니의 모습은 정말 보기가 안쓰러울 지경이었다. 그래도 여전히 삶에 대한 애착을 가지고 계신듯 아이들이 먹는 과자부스러지도 받아드시고 물도 조금씩 받아 드셨다. 죽조차 드시지 못하시는 할머니를 위해서 오빠는 이온음료를 사왔고 그걸 조금씩 받아 드시면서 좀 더 기운을 차리시는 것도 같았다. 

어떤 집은 멀쩡하게 생활하시다가 하룻밤새 운명을 달리하시는 분도 계신다는데 우리 할머니는 정말 끈질기게 이렇게 표현을 하면 안되지만 몇년새 기력을 잃었다 회복하시기를 반복하셨었다. 그런데 이번엔 기력을 회복하신다는건 도통 무리가 아닐까 싶다. 그렇게 얼마를 누워계실까를 헤아리는 것 조차 경망스럽긴 한데 마음 한편으론 다 늙어서까지 시어머니 수발을 들어야하는 친정엄마를 생각하면 마음이 편하지가 않다. 벌써 다섯해전에 환갑을 지내신 엄마는 여전히 시집살이를 하고 계신 거다. 그런거 생각하면 그냥 편안히 하늘나라로 돌아가셨으면 좋으련만 할머니를 찾아오는 사람들은 정말 진심인지 빈말인지 모두가 기운차려 일어나시라고 위로를 한다. 그 말을 들으면서 나는 뜨악한 기분이다. 내 입에선 도무지 그런 말들이 나오질 않는다. 할머니를 위한 말이라곤 고작 '편안하게 마음을 가지세요.' '늘 좋은 생각을 하세요.' '어디 아프진 않으세요?' 가 전부이니 말이다.  

어릴땐 얼른 나이가 들었으면 싶었는데 점점 나이가 들수록 모든게 어렵고 쉬운게 많지가 않다는 생각이 들면서 요새는 천천히 나이가 들었으면 싶은데 점점 시간은 빠르게 지나간다. 그렇게 나도 나이가 들겠지 생각하면 나도 삶에 애착을 아니 집착을 보이는 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면 마음 한구석이 먹먹하다. 천상병 시인의 시처럼 훌훌 털어버리고 하늘로 돌아갈 수 있을까? 잠시 소풍왔다 생각할 수 있을까? 내 삶의 모습이 어떤 모습인지도 잘 모르는채 그렇게 죽음을 맞이하게 되는 건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매일 매일을 살아가는 것이 죽음을 향해가야하는 할머니의 모습을 보면서 참 많이 안타깝고 안쓰럽지만 그게 결국은 정해진 수순이란걸 부정하지 못하고 그렇게 가족들은 할머니를 보내야할 것 같다. 다만, 부디 편안히 좋은 곳으로 가셨으면 좋겠단 바람만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할머니, 좋은 세상으로 가셔서 부디 편안하세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시장미 2009-05-14 01: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음 아픈 글이네요. 그러게요. 드릴 수 있는 말이 얼마 없을 것 같아요. -_ㅠ 저도 종종 소중한 사람들을 보내는 먼 미래를 상상해 보곤해요. 솔직히 너무 끔찍하고 죽을만큼 슬플 것 같아서 생각하고 싶지 않지만, 그 순간이 언젠가는 오고야 말겠죠. 그래서 미리미리 조금씩 생각해 보기도 한답니다. 정말 그 순간이 오면 죽지는 말아야 할 것 같아서요.

그래도 최근에 <벤자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는 소설을 읽고 죽음에 대해 조금 다른 생각을 해 보았어요. 어쩌면 모든이에게 죽음은 벤자민이 아기가 되고, 태어나기 전의 단계로 돌아가는 것처럼, 생의 시작의 전으로 돌아가는 과정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더니 조금 마음이 편안하더라구요. 갑자기 <모리와 함께 한 화요일>도 떠오르네요. 그 책을 읽고, 나중에 소중한 사람이 떠나게 된다면 두 손을 꼭 잡고, "괜찮아. 다른 세상에서 조금 다른 관계로 만날 뿐이야. 그곳에서 조금 먼저 기다려줘"라고 말하는 순간을 상상하곤 했거든요.

정말 다른 세상이 있는지는 모르겠어요. 하지만 마지막 순간 떠나는 사람과 그렇게 작별하는 게 나를 위해서 떠나는 사람을 위해서도 최선이 아닐까.. 하고 생각했죠. 마지막이라면 떠나보내는 것도 떠나는 것도 너무 힘들고 슬프니깐요. 언젠가는 다시 만날꺼라는 희망을 안고 사랑을 고백하는게 제가 할 수 있는 전부라고 생각했죠. 그리고 제가 떠나는 순간에도 누군가가 그렇게 해주었으면 좋겠네요. 그럼 정말 웃으면서 눈감을 수 있을 것 같아서요. :)

꿈섬님 마음도 편안하셨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할머니께 꼭 사랑을 고백하실 수 있으시길 바랄께요.

꿈꾸는섬 2009-05-15 16:16   좋아요 0 | URL
가시장미님의 위로가 참 많은 위안을 주네요. 언젠가 다시 만날거라는 희망을 안고 사랑을 고백하자는 말 멋져요.ㅎㅎ 할머니께 그런 사랑을 고백하도록 해 볼게요. 고마워요.

프레이야 2009-05-14 1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족들 모두 마음 안타까이 지켜보고 계시겠군요.
님의 바람이 절실하게 들려요.

꿈꾸는섬 2009-05-15 16:17   좋아요 0 | URL
혜경님 말씀대로 가족들 모두 안타까운 마음이 들지만 한편 바람은 너무 오래 누워계시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 드네요. 옆에서 늘 지키는 친정엄마가 너무도 고단하시고 함께 수척해지시는 걸 보니 마음이 편칠 않네요.ㅠ.ㅠ

순오기 2009-05-14 20: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시할머니님은 102살까지 사셨고, 시어머님은 대장암 수술하고도 1년을 더 수발들다가 그 이듬해 돌아가셔서 평생 어른 노릇도 못 해보고 마감하셔서 안타까웠죠.ㅜㅜ 할머니도 편히 안식하시길 바래면 죄송할까요~ 어머님도 좀 쉬셔야죠.

꿈꾸는섬 2009-05-15 16:20   좋아요 0 | URL
참, 안타까워요. 친정엄마 생각하면 늘 고생만 하시며 사셔서 마음 한구석이 짠해요. 할머니껜 정말 죄송하지만 긴 시간 고생하시지 않고 편안하게 안식하시면 좋겠단 생각 저도 한답니다. 그게 모두를 위한것 같은데, 그게 사람 마음대로 되는 것이 아니니 그저 하늘의 뜻에 맡겨야겠죠. 그저 편안하게 생을 마감하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