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종일 현준이와 신경전을 펼쳤다. 아침밥상에 앉아서 콩밥은 싫다는 둥, 두부도 먹기 싫다는 둥, 오늘은 김치 또한 먹기 싫다는 둥, 내 속을 박박 긁어댔다. 그래도 현준이 하나였다면 그러려니 넘어갔을지 모른다. 옆에서 현수는 뜨거운 밥을 아직 서툰 숟가락질로 호호 불며 먹고 있는데 첫째 현준이가 투정을 부리니 받아주기가 싫었다. 결국 현준인 아침 밥 한숟가락 제대로 못 먹었던 것 같다. 그리고 아침을 먹지 않은 현준이에겐 간식을 주지 않았다. 배가 많이 고팠을 거라고 생각하면서도 밥상에서 투정부리는 걸 용서하지 못하는 나는 아들의 배고픔을 모른척했다. 많이 서운했을거다. 그리고 점심, 이번에도 정신을 못 차린 현준이 콩을 입에 넣다뺐다를 반복하고 좀처럼 밥을 먹지 않았다. 도대체 뭐가 문제였을까? 그런데 난 거기에 또 발끈했다. 밥 먹기 싫으면 네 방으로 가.라고 말하자마자 울어댔다. 그래도 소용이 없었다. 밥을 먹든 자기방으로 가든 둘중 하나였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현준이는 그 말을 잘 이해하지 못했었던 것 같다. 여전히 현수는 점심밥도 뚝딱 먹었다. 비교를 하면 안되는데 현준이와 현수가 자꾸 비교된다. 현수만큼도 못하면 안된다는 나의 어리석은 생각에 현준이는 점심도 제대로 먹지 못했다. 내가 이러다 벌받지 싶었다. 혹은 이거 아동학대 아닌가 싶어 가슴이 조마조마하기도 했다. 그런데도 난 참 모진 엄마다. 저녁 먹기 전까지 일체의 간식을 주지 않았으니 말이다. 물론 저녁밥은 너무 많이 먹었다. 한꺼번에 많이 먹는 건 나쁘다고 말하면서도 저녁밥이라도 잘 먹으니 다행이다 싶었다.
둘째를 낳기 전까지 아들과 나의 사이는 너무도 좋았다. 현준이의 투정도 그저 어린아이의 애교로 받아들이고 밥을 안 먹는다고 투정을 부리면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밥을 먹였었다. 그런데 현수를 낳고나서부터 현준이의 투정은 나에 대한 반항이란 생각이 먼저 들고 현수와 비교를 하면서 현준이의 투정을 받아주지 않고 점점 큰아이의 면모를 갖추기만을 바랐던 것 같다.
오늘 현준이를 굶기면서 내가 얻은 건 무엇일까?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현준이의 마음이 크게 다친게 아닐까하는 거라 많이 미안하고 내 마음이 지금까지도 많이 불편하다. 아, 내가 얻은게 진정 있을까 싶다. 후회되는 하루였다. 현준이에 대한 미안함으로 잠이 오질 않는다. 엄마가 미안했다고 말하니 엄마가 미안한게 아니고 자기가 더 미안했다고 말하는사랑스런 아들을 오늘 하루 괴롭힌 나는 나쁜 엄마다.
내게 필요한 건 너그러운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것, 어떤 책을 읽으면 좋을까? 책 속에 길이 있다는 남편의 말을 들으며 더 많이 부끄러웠다.
내일은 현준이랑 더 많이 놀아주고, 투정도 귀엽게 받아줘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