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지 경영학 - 위대한 영웅들의 천하경영과 용인술
최우석 지음 / 을유문화사 / 2007년 6월
평점 :
어린날의 삼국지를 볼때는 늘 유비, 관우, 장비, 제갈공명을 주인공으로 해서 얘기가 펼쳐졌다.
신출귀몰하며, 온갖 재주를 다 부리는 그야말로 신선의 경지로 그려진 제갈공명.. 그를 찾아내 삼고초려끝에 자신의 곁에 두는 유비.
그리고, 유비에겐 아무것도 아까울것이 없는 천하제일의 장수 관우, 장비..
그들로 인해 삼국지가 이루어진듯했고, 그들이 없으면 얘기가 없는듯했다. 그래서, 늘 주인공은 그들이었고 나에게 각인된 이미지에는
온유하면서도 선한 유비의 인상과 구름을 타고 다닐듯한 제갈공명밖에 없었다. 물론 촉나라의 그들이 주인공이다 보니 자연히 다른
위, 오나라의 황제들은 "나쁜사람"이라는 이미지 역시 어쩔수 없었음을 밝혀둔다.
특히나 조조는 간교하기 그지없는 사람으로 기억되어 있었고, 손권의 존재는 부끄럽지만 거의 알지 못했다.
그런 위, 촉, 오 세사람의 황제에 대해 경영학과 결부시켜 책을 펴냈다는 자체는 나에게 새로운 삼국지를 맛볼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거니와 이런 편협된 사고방식을 바꿀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나 다를까, 책을 읽어가면서 나의 좁은 식견을 한탄할수 밖에 없었다. 물론, 이책이 전부인것은 아니지만, 이제껏 내가 알던
작은 삼국지의 굴레속에서 좀더 큰 눈으로 세나라를 볼수 있게 된 계기가 마련된거 같아 기쁘기 그지 없는것이다.
먼저 이책에서 가장 크게 다루고 있고, 리더쉽으로서 가장 인정하는 조조..
그는 구상력과, 결단력 뿐만하니라 흔히 말하는 통" 또한 커서 과거 행적을 따지지 않고 훌륭한 인재를 가려내 쓸 줄 알았다.
CEO라면 누구나 탁월하게 가져야할 인재 고르는 안목이 가장 높았다고 할수 있다.
특히나, 과거에 얽매여 자신을 곤경에 빠트리거나 자신의 반대파에 섰던 사람들마져 등용시켜 자신의 편에 서서 충성을 만드는
그야말로 카리스마를 갖춘 리더쉽을 발휘했다. 물론, 너무 강한 카리스마가 기업경영에 악영향을 미칠수도 있지만, 조조는 적절하게
안배해서 위나라가 다른 두나라를 제치고 삼국을 통일 시키는데 구심점이 되는것이다.
무릇 CEO라면 여러가지 면이 있겠지만, 이런 적절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인재가 조언하는 한마디 한마디를
윗선이라고 잘난체하지 않고 가려 들을 줄 알았으며, 결단을 내릴때는 한번에 내리는 멋짐이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후대를 위해 미리 2세 경영의 틀을 잡아놓은것에 대해서는 멋지다 아니할수 없었다. 다른 두 나라들이 후세에서
망하지만, 조조는 그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해 미리 기틀을 다잡아 둔것이 대단했다. 그야말로 CEO 다운 CEO였다.
그래서, 저자도 조조에게 더 애착을 가지고 크게 생각했던듯 하다.
그리고 유비.. 아무 기틀과 기반도 없이 맨주먹으로 시작한 그야말로 자수성가한 CEO였다.
이미지가 좋았기에 그만큼 기대했던것도 컸던듯하다. 그래서 처음 그의 얘기가 나올때 뭔가 큰것이 나올꺼라는 이상한 기대심리마져
있었다. 아니나 다를까. 유비는 특이하게도 사람들이 한번보면 따르지 않으면 안될 뭔가가 있었다고 한다.
겸손과 후덕함을 바탕으로 인재를 모으고 그들의 재능을 한껏 펴개 했으며 인정으로 그들을 포용했고, 어떨땐 정때문에 손해를 본적도
있을정도로 정에 약했다. 그래서, 한번 그와 인연을 맺은 사람들은 정의에 불탔고 그를 배반하지 않았다. 특히나, 관우와 장비가
좋은 예이고, 기반도 없고 군사작전에 약한 그를 따른 제갈공명이 그랬다. 게다가 남들이 내친 방통도 역시 알아보고 곁에 두고
돌봤다. 기업이나 나라를 경영하는 이에게 인복만큼 중요한건 없다. 여러가지가 바탕이 되어야하지만, 좋은 전문경영인이 있어야
나라나 기업이 탄탄하게 자리를 잡는것이다. 그런면에서 겸손과 후덕함으로 인재를 골라 그들을 경영한 유비는 괜찮은 CEO였다.
하지만, 아쉽게도 그 정에 이끌리어 관우의 복수를 위해 무리수를 두는 실수를 범해 화를 자초한다. 적절한 덕과 인정은 리더쉽을
지닌 경영인에겐 자산이지만 너무 정에 끌리다 보면 이런 변을 당하게 되는것이다. 어느정도의 카리스마가 있었어야 하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었다. 그러나, 나름대로 후세를 위해 제갈공명에게 아들의 안위를 맡기고 그도 여의치 않으면 제갈공명
자신에게 나라를 경영케 하라는 대목에선 멋진 황제다움을 느낄수 있었다. 욕심을 벗어던진 오직 나라를 생각한 그의 정신에서
나이가 들어서도 자리에 연연하는 일부 CEO들의 편협된 시각으로 망해가는 기업을 생각할때 배워야 할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 손권.. 위나라 촉나라에 비해 생각보다 많이 알려지지 않은 오나라..
손권이라는 이름 자체도 사실 귀에 익숙치 않았다. 어쩌면, 위, 촉 두나라에 비해 그만큼 카리스마도 지니지 못했고, 자수성가로
뭔가를 이룩하지 않아 그랬는지도 모른다.
손권은 3대째 그러나 따지고 보면 2세 경영인축에 드는 황제였다. 그는 위나라와 촉나라가 서로 못잡아 먹어 으르렁 거리는 사이에서
적절하게 그들사이를 안배하며 나라를 수성해 갔다.
위나라가 오나라를 쳐들어오면, 촉나라와 동맹을 맺어 위나라를 쳤고, 촉나라가 거슬리게 하면 자신의 자존심을 버리고 위나라의 신하를
자처하며 촉나라를 쳤다. 그는 새로움을 번창시키기보다는 수성하는데 주력한 황제다.
카리스마보다는 신구 조화에 주력하고 명분보다는 실리에 주력했다. 그러므로, 어느 나라와도 크게 충돌하지 않고 오나라의 안위를
위해 무엇보다 힘썼다. 2세 경영인으로 두고보자면 가장 적절하게 처신했다고 생각되어진다.
나쁘게 말하면, 간에 붙었다 쓸개붙었다라고 표현할수도 있지만, 난세에 국가를 위해서 그가 할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었다고 생각되어
진다. 특히나, 그 혼란스런 시기에 어느나라와도 크게 상충되지 않으면서 나라를 지키기란 쉽지 않았을법 한데 손권은 귀신처럼
멋진 처세술로 나라를 경영했다. 그러나, 장기집권의 폐해로 후손에게 제대로된 자리를 잡아주지 못했고, 황태자를 의심하고 중심을
잃어, 나라를 망치는 근간이 되어 버렸다. 그누가 아니라 손권 자신이 오나라의 멸망을 앞당긴 것이다. 무릇 경영인이란 자신이
물러날때를 알아야 하거늘 손권은 그시기를 놓친것이다.
전체적으로 3명의 황제들을 비교 분석해 보면서, 그들 각각의 개성이 너무도 달라 비교해 가며 읽는것이 아주 맛깔난 음식을 버무려
놓은거 같아 읽는 내내 책읽는 맛이 났다. 게다가 저자가 찾아간 삼국지에 관련된 장소들의 사진은 소설책으로밖에 상상할수 없어
감히 엄두조차 내지 못한 여행을 가고프게 만드는 욕망마져 들게 했다. 상상이라고만 생각했던 곳들의 사진을 보니 내가 그속에서
동화되고 삼국지의 주인공이 되는 기분이기도 했다. 게다가 현재의 기업들의 경영인들과 비교하며 적절한 예를 들어주어 이해하기도
휠씬 쉬웠고 재밌었다. 그들 세사람의 국가경영에서 느끼는 바가 상당했던것도 큰 수확이었다.
삼국지를 재조명한 느낌이기도 하고 삼국지에서 경영학을 접목시킨 시도는 가히 박수를 보낼만 했다.
이런 여러 방면의 얘기와 무궁무진한 비교가 있기에 삼국지는 영원할 것이며, 그들속에서 늘 배우는 우리가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한마디로 멋진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