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룻밤에 읽는 조선사 하룻밤 시리즈
신병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사실 조선왕조 500여년의 역사를 한권에 실는다는게 쉬운일은 아니다. 

그리고, 그걸 하룻밤에 읽어낸다는것 자체도 쉬운일이 아니다.  그런의미에서 제목이

나를 도전의식을 갖게 만들었지만, 역시나 하룻밤에 다 읽어내긴 무리였다..--;;

 

역사소설은 언제나 읽기가 편하고 책장이 쉽게 넘어가지만, 이런 역사적 고증으로 쓰여진

책들은 늘 국사책 개념일수 밖에 없어서 읽을때도 늘 고통이 수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좋아하는 관계로 그 고통을 감수하면서 잊었던 국사를 다시

배운다는 일념으로 책을 읽는다.

 

이책 역시도 첫 몇장을 펼친순간 조선사를 한권에 담아야 한다는 저자의 압박감 때문이었는지

깨알같은 글씨와 역사의 나열로 한동안 졸음을 유발했다.  30~40여페이지를 읽으면 졸음이

쏟아져 다시금 국사공부를 하게 만드는 고통을 주는게 아닌가 하는 안타까움이 들 정도였다.

 

하지만, 100페이지를 넘기면서 티비에서 늘 중요한 대목만 방송하는 흥미위주의 사극부분들이

간과한 내용들이 연대별로 체계적으로 적혀있어 졸음보다는 새로움에 대한 갈증이 더 커진듯하다.

특히, 조선시대 위대한 왕들의 업적과 더불어 유명한 실학자들이나 성리학자들, 그리고 그들의

저서를 다시금 꼼꼼하게 챙겨 자세히 정리해준 부분은 비록 시험때처럼 달달 외우려고 하진 않치만

기억에 남게 해주었다.

게다가 자세한 도표도 썩 괜찮았다는 생각이 든다.

 

500여년의 조선사에서 늘 느끼는 거지만, 피로 얼룩진 왕위 찬탈의 안타까움과, 권력을 위해

사화들이 너무나 많았다는 생각은 지울길이 없었다..  처음 태조 이성계때부터 잘못 이뤄진

세자책봉과 연이어 일어나는 왕자의 난들.. 이복형제지만 죽고 죽이는 사건들.. 그리고 왕위에

오르기 전까지 그들이 겪어야 했던 불안한 나날들..  왕족이라면 누구나 언제 덮칠지 모르는

죽음에 대해 불안에 떨어야 했고, 특히나 세자책봉이후에도 당파싸움으로 인해 희생양이 되기

일쑤였다.  그중에서도 의문의 죽음을 당한 소현세자와 어제 장인에게 보내는 편지가 발견됐다는

사도세자의 죽음은 더욱더 안타까움을 더했다.  물론, 역적으로 몰려 억울한 죽음을 당한 다른

무수한 왕족들 역시 마찬가지지만 말이다.

 

권력을 위해 형제, 부모마져 죽여야 했던 역사에 얼마나 큰 아픔이 있는지, 권력이 그만큼 대단한건지..

아니, 어쩌면 자신이 살기위해 그들을 죽여야했던 왕들은 얼마나 큰 고통이었을지 그마음도 짐작키 어렵다.

 

무엇보다 조선의 파벌싸움은 긴 역사를 단숨에 부셔버리기에 충분했다.

남인, 서인, 노론, 소론등등 무슨 당파 싸움은 그렇게도 많으며 한줄기에서 또 한줄기 뻣쳐나오는 파들은

어찌나 많은지....  물론, 그만큼 개성있고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이 많았다는 긍정적인 면으로

이해할수도 있지만, 그 폐해는 그야말로 많은 훌륭한 선비들을 엄한 역적으로 몰아 사사하기 일쑤였다.

그 선비들이 생을 다하고 죽었다면 과연 어떠했을까?  정말 안타깝지 않을수 없었다.

 

물론, 연산군처럼 폭군이 등장했을때의 중종반정 같은 경우는 어쩔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고 박수를

보낼만한 일이긴 했지만 ...

 

그러나, 인과 덕으로 다스린 왕들에 대한 좋은 글들도 꽤 많았다.  너무도 많은 업적을 남기신

세종대왕... 노론, 소론 붕당을 적절히 이용한 숙종.. 그리고 영조..조선의 문화부흥 정조..등..

그들이 남긴 문화와 업적을 보며 마음으로 박수를 보내기도 하고 우리선조들의 정신에 감동받기도 했다.

특히나, 조선왕조실록의 보관방법이나 왕들마져 열람할수 없게한 지혜.. 그리고 그외 많은 일들..

우리 선조들만이 빚어낼수 있는 대단한 업적이라는 생각에 어깨에 힘이 들어가기도 했다..

단지 안타까운건 여러 전쟁과 약탈로 그 문화재들이 일본, 영국, 프랑스등 각지로 흩어져 있어 우리가

주인임에도 불구하고 가져올수 없다는 자체가 안타까울 뿐이었다.

 

비록 하룻밤에 읽어내진 못했지만, 며칠에 걸쳐 읽어낸 조선사는 알았던 부분을 좀더 자세히, 그리고

가물거렸던 부분을 좀더 확실히, 몰랐던 사실을 새롭게 알게 해준 괜찮은 책이었다.. 

물론, 도입부의 졸음을 없앨수 있다면, 그리고 깨알같은 글씨들을 좀더 보완해준다면 더 괜찮은

책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