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세상 모든 엄마와 딸 사이
수잔 포워드.도나 프레이지어 지음, 김보경 옮김 / 푸른육아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아이를 키우며 수많은 육아서를 읽고 있다. 이런 아이는 어떻게 해줘야 하나? 저런 아이의 경우엔 부모가 어떻게 해줘야 하나? 그런 글을 읽다가 이번엔 문제가 있는 엄마의 경우를 대처하는 성인 여성을 위한 지침서다. 

엄마가  문제가 있다?

이 말 자체에서 벌써 죄책감이 든다.  우리 엄마가 어떻게 나를 키웠는데....

그렇지만 이제는 좀 더 거리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부모는 아이를 독립적인 인격체로 키워나가는 데 목표가 있다고 하지 않았던가. 

독립된 인격체로  살려면 성인이 되었을 때 어느 정도는 엄마와의 거리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아이를 키우면서 내가 어떤 사람이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책을 통해 많이 배운다.



p86  그러나 양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아이가 스스로 배우고 독립심을 키울 수 있도록 부모가 점차 뒤로 물러나야 한다는 것이다. 


p103 만약 타인의 비위를 맞추려 하고, 완벽해지려고 발버둥치며, 다른 사람을 괴롭히거나 괴롭힘을 당하려는 기질이 있다면 이것은 환경에 의해 학습된 행동 양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절망하지 말자. 이것을 인지하는 순간 잘못된 행동 양식을 충분히 바로잡을 수 있다. 


p138 아이를 보호하지 않는 엄마는 아이에게 가해지는 학대의 원인을 아이 탓으로 돌리며 비난을 서슴지 않는다. 가해자가 학대를 정당화하는 것은 참으로 충격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p138 준희 씨는 엄마와 아빠로 인해 부정적적인 자아상을 갖고 있었다. 


p140 준희 씨가 극도로 부끄러움이 많고 내성적인 성격인 것은 놀랄 일도 아니다. 회사 내에서도 사람들은 준희 씨에게 상처를 주었고, 일이 잘 못될 때는 그녀의 책임으로 돌렸다. 그래도 준희 씨는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고 싶어서 늘 참아왔다. 

준희 씨는 심하게 일그러진 자아상을 갖고 있었으므로 본래의 참모습을 찾아야 했다. 


p181 엄마와의 관계에서 파괴적인 패턴에 힘을 실어주는 거짓 믿음, 즉 숨겨진 신념을 살펴보았다. 이제는 그 파괴적인 패턴이 만들어낸 감정이 자멸적인 행동으로 연결되는 것을 파악해 볼 시간이다. 

이 일은 커다란 용기를 필요로 한다. 자신의 내면 세계로 들어가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어떤 경우에는 고통, 실망, 두려움, 분노와 맞닥뜨리게 된다. 그러나 용기 있게 인지하고 그것을 의식의 밝은 빛 아래로 가져온다면 삶은  완전히 변화될 것이다. 


p188 많은 사람들이 합리화를 통해 자신과 자신의 감정 사이에 거리를 두곤 한다. '나는 느꼈다.'가 '나는 ~한다고 느겼다.'가 되는 것처럼 말이다. 자신이 그 당시 느꼈던 감정 그대로가 아니라, 자신을 보호하고 또 그런 상황을 합리화하는 방어기제가 작동하여 감정이 아닌 생각으로 이끄는 것이다. 세 살난 꼬마아이가 걸어가다 넘어졌을 때 '아프다.'하고 느끼지, '엄마가 나를 잡아주지 않아 넘어져서 아픈 것 같아.'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p227-228 성인 여성의 권리장전 

1. 나는 존중 받으며 대우 받을 권리가 있다.

2. 나는 다른 사람의 문제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을 권리가 있다.

3. 나는 화를 낼 권리가 있다. 

4. 나는 아니라고 말할 권리가 있다.  

5. 나는 실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6. 나는 나만의 감정, 의견, 신념을 가질 권리가 있다.

7. 나는 마음을 바꾸거나 다른 행동 방식을 결정할 권리가 있다. 

8. 나는 변화를 위해 협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 

9. 나는 감정적 지원이나  도움을 요청할 권리가 있다. 

10. 나는 합당하지 않은 처우나 비판에 대해 항의할 권리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