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
파울로 코엘료 지음, 이상해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무척 흥미로웠다. 죽기로 결심하다.
어떻게든 잘 살아보려고 모두들 아둥바둥하는 이 세상에서 왜 그녀는 죽기로 결심했을까.
이야기는 베로니카의 자살장면부터 시작된다. 그런데 죽기로 결심하고, 자살을 실행까지 한 그 마당에 그녀는 엉뚱하게도 도서관에서 가져온 잡지를 뒤적이다가 생뚱맞게도 컴퓨터 게임 관련 기사를 읽는다.
죽기 위해 다량의 수면제를 먹을 때 부터 조금 의심스러웠다. 수면제는 상당히 먹어도 잘 안죽는다던데. 그러더니 이번엔 잡지 기사를 읽으며, 잡지 기자가 그녀의 조국 슬로베니아가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는 사실에 발끈한다. 한술 더 떠 그녀는 잡지 기자에게 슬로베니아를 설명하는 편지까지 쓴다.
어, 그녀 혹시 살고 싶은게 아닐까?
수면제를 먹고 혼수상태에 빠졌던 베로니카는 빌레트라는 유명한 정신병자 수용소에서 깨어난다. 의식은 깨어났지만 몸은 망가진 상태. 의사는 그녀의 심장이 심하게 상했다면서 그녀의 삶이 며칠 남지 않았다고 설명한다. 며칠 죽음이 유예되긴 했지만 그녀의 자살시도는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삶이 며칠 남지 않은 그녀는 이제 더 이상 잃을 게 없었다. 잃을 게 없으니 두려울 것도 없었다. 평소 같으면 하지 않을 행동을 거침없이 한다. 맘에 들지 않는 나이든 환자의 얼굴을 후려치고, 한밤중에 어렸을 적 꿈이었던 피아노 연주를 하고, 자위를 통해 폭발적인 오르가슴을 경험하고, 마지막으로.... 진정한 사랑(정신분열증 환자인)을 발견하고.
어, 그녀 혹시 처음부터 죽고 싶지 않았던게 아닐까?
그녀는 죽음의 마지막 순간을 사랑하는 사람과 빌레트 밖에서 맞이하고 싶어졌다. 그래서 빌레트를 둘이서 탈출하고, 미친사람처럼 마음대로 키득거리며 시간을 보내고, 드디어 사랑하는 이의 품에서 마지막 순간을 맞이하게 된다...고 생각했는데. 그녀는 깨어났다. 그녀의 연인은 하루를 또 살 수 있는 기적을 얻었다고 말한다.
결국, 그녀는 죽지 않았다, 아니, 그녀는 새로운 삶을 얻었다.
처음부터 그녀는 죽고 싶지 않았던 거 같다. 베로니카가 원한 것은 부모의 기대, 타인의 시선, 사회적 규범에서 자유로운 지금과는 다른 삶이었다. 그녀가 죽으려고 생각했던 건 그런 삶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신의 광기를 발견하고 그것에 매진하는 삶의 기회가 주어진 이상, 그녀는 죽을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베로니카는 죽음이 가까워졌기 때문에 삶의 가치를 깨달은 것이 아니라 죽음이 가까이 다가오자 삶의 다른 길을 걸어나갈 용기를 얻을 수 있었다.
베로니카의 모습에서 나를 본다. 다만 난 오늘도, 내일도 별로 가슴뛸 것 없는 일상이 반복될 것을 알면서도 그저 삶으로 받아들이고 수면제를 모으지 않을 뿐이다. 하지만 수면제를 모으고, 삶을 전환할 만한 기회를 만들지 않는 이상 베로니카와 같은 다른 삶의 가능성도 얻지 못하는 건 아닐까. 영원히 나의 광기가 무엇인지 그저 궁금해만 하면서 살다가 지금 죽으나 나중에 죽으나 별로 차이없을 인생을 마감하는 건 아닐까. 자신의 진짜 모습에 충실하면서 자신의 진짜 삶을 살아가는 것이 미친 짓이라면 기꺼이 미친 사람이 되어야 하는 건 아닐까. 하루하루의 삶을 기적이라 여길만큼 삶을 소중하게 생각할 수 있게 된다면 말이다.
정신병원을 배경으로 했다는 점에서 이야기가 색다르고 환상적이기까지 하며 모든 것이 이고르 박사의 실험이었다는 것이 밝혀지는 끝부분에서는 미스터리 소설같은 느낌마저도 준다. 또한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를 넘나들지만 주제는 계속 뚜렷이 드러난다. 그 무엇하나도 군더더기라 할 수 없는 치밀한 구성의 소설이다. 본문 시작전 두 줄의 누가복음 구절이 끝부분에 사랑이신 마리아가 지혜를 상징하는 뱀을 밟고 있다는 사랑은 성과 악을 따지는 것을 넘어서서 그저 존재하는 것이라는 설명으로 맞물리는 것 역시 매우 인상적이었다.
"아무것도 아냐. 아니, 기적이야! 하루를 또 살 수 있어."
라고 말할 수 있는 하루하루 가슴뛰는 삶을 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