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 한국

기계적인 사본 제작법인 인쇄는 8~9세기에 한국에서 최초로 개발된 듯하다. 그보다 오래전부터 중국인들이 돌에 새긴 글자로 문서 사본을 만들곤 했지만, 한국인들은 나무판에 꼼꼼하게 글자를 새겨 찍었다. 활자판 인쇄도 11세기 한국에서 처음 나타났다. 글자들을 나뭇조각에 따로따로 새긴 뒤 활자판에 끼워 인쇄했다. - <빅 히스토리>, 데이비드 크리스천 외 2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ohYVCVUaBPSUoMmA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폴리네시아 섬 중 가장 동떨어진 곳인 이스터섬에는 27.2t에 달하는 유명 석상 ‘아후’와 독자적 문자를 만든 작은 마을 공동체가 생겨났다. 전성기의 인구는 7,000명 정도였지만 얼마 후 붕괴했다. 원인은 삼림 파괴 때문일 것이다. 목재가 없어지자 난방을 못 하고 건물을 짓지도 못하고 물고기를 잡으러 갈 배를 만들 수도 없었다. 사회가 무너지자 생존자들은 엉성한 수렵채집 생활로 돌아갔다. - <빅 히스토리>, 데이비드 크리스천 외 2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4iRfCUBtQ1npTszs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스트랄라시아 세계 지대를 이루는 파푸아뉴기니, 태즈메이니아, 오스트레일리아가 빙하기에 하나로 연결되어 있던 사훌(Sahul)에 사람들이 이주하여 정착하는 과정의 일부였다 - <빅 히스토리>, 데이비드 크리스천 외 2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az4T3SBW94zK52AN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야와 바퀴

마야인이 즐긴 특이한 오락은 하나 더 있다. 마야 아이들은 점토로 만든 작은 재규어 장난감을 갖고 놀았는데, 일부 장난감의 다리에는 바퀴 달린 축이 붙어 있었다. 마야인은 바퀴 달린 장난감을 만들었지만 어른이 쓸 바퀴 달린 탈것을 만든다는 생각은 못 한 듯하다. 물론 탈것을 끌 커다란 가축이 없었으니 바퀴 달린 수레는 쓸모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바퀴를 토기 빚는 돌림판에 쓰고, 흐르는 강물에 수차를 만들어 맷돌을 돌릴 수도 있었을 것이다. 마야인이 장난감 이외의 분야에 바퀴를 활용했다는 증거는 없다. 바퀴 없는 아프로·유라시아 역사를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 - <빅 히스토리>, 데이비드 크리스천 외 2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2R6t9bBoFvvUmH6J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쿠란은 여성의 지위에 대한 초기 이슬람의 관점이 복잡했음을 보여준다. 여성을 재산이 아니라 존중할 반려자로 묘사한 대목이 종종 등장하며, 무함마드도 아내들에게 다정하고 존중을 표했다. 또 『쿠란』은 여아 살해를 불법화하고, 혼인은 신부의 동의가 필수적인 계약이라고 간주했다. 혼인 지참금을 남편이 아니라 아내가 받아야 한다고 촉구하며 여성이 집안에 가져온 부를 관리할 권한을 갖도록 허용했다. 이 대목들 때문에 일부 성역사학자는 당대의 많은 사회보다 이슬람 사회의 법이 여성에게 상당한 권리를 부여했다고 주장한다. 반면 다른 역사학자들은 여성의 성적·사회적 삶을 엄격하게 통제하고 여성은 남편을 1명만 얻을 수 있는 반면 남성은 아내를 4명까지 가질 수 있는 이슬람 법의 노골적인 가부장적 성격을 지적한다. - <빅 히스토리>, 데이비드 크리스천 외 2인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XJX7cMTsQUt8of5g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