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남을 돌보지 마라 - 인문학의 눈으로 본 신자유주의의 맨 얼굴
엄기호 지음 / 낮은산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하철 9호선은 <골드선>이라고 한다. 

역이 만들어지는 곳마다 집값을 올려줘서 붙여진 별명이다. 유럽 선진국인 로마나 파리,뉴욕 등의 지하철에 비하면 한국의 지하철은 깨끗하고 정확하고 무엇보다 싸다.

이렇게 좋은 지하철을 이용하다보면 감사하지만 앞으로도 계속 잘 될런지 의문들이 늘어간다. 

철도가 잘 돌아가려면 누군가는 고된 일을 해야 한다.

영화로 만들어진 아사다 지로 원작 <철도원>은 철도에 평생 바친 역장의 최후를 그려낸다. 정년퇴직과 폐선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역장은 가족도 없이 산 인생을 쓸쓸히 역에서 마감한다. 

설국 속의 애잔한 장면을 뒤로 하고 원작 소설에서 한 대목을 끄집어 내고 싶다. 도시에 나가 있는 동기 철도원은 곧 역에 새로 만들어지는 백화점에 취업하기로 내정되어 있었다.


철도는 가지고 있는 자산, 주로 토지를 이용해 개발사업자로 변신하면서 퇴직자들을 옮겨 수용한 것이다. 막상 이들이 실무를 잘 못하니 당연히 <관계관리> 중심으로 포지션하게 된다.

이들을 가리켜 <관계자산을 가진 노동자>라고 칭해보고 싶다. 

일본 철도 산업의 변화는 한국에 많은 참고 모델이 되었다.
일본에서 백화점 임원으로 퇴직간부를 보내듯이 한국의 철도들은 자회사로 대거 내보내왔다.


이번에 구의역에서 발생한 19세 청년의 죽음은 큰 아픔이지만 여기서 더 많은 생각들을 끄집어 냈으면 한다.

관계로 만들어진 자회사가 얼마나 열악하게 가치 창출을 하는 노동을 취급하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사회가 저성장으로 가면서 구조조정은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대립들이 나온다.

19세기의 사회적 프레임이 계급과 계층이고, 주로 자본과 노동의 대립을 주목해 보았다. 재벌은 악, 노동은 선이라는 가치관도 그 파급물이다.

하지만 현재 세상의 대립은 오히려 "관계자산을 가진 정규직 노동자"와 "관계자산이 없는 신종 프롤레타리아"이 되고 있다.


이 대목에서 물어야 한다.

관계자산을 지속적으로 울궈먹는 노동자들은 창의적 파괴를 하려고 분투하는 경제의 타주체들 보다 도덕적으로 우월한가?


구체적으로 

철도노조는 과연 선일까?

최근 메트로와 도시철도의 합병은 무산되었다. 그럴때마다 철도노조는 공공성이라는 가치를 앞세워왔다. 잘 만든 명분 하나는 오랫동안 전가의 보도처럼 쓰인다.

하지만 그 공공성이 과연 얼마나 보편적이고 공정한지를 이제 심각하게 물어야 할 떄가 되었다.


구의역 사건은 비극이지만 이어서 발생하게 된 큰 관심은 새로운 시야를 주고 있다. 

문제는 철도만이 아니라 사회 곳곳에서 보편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조선산업의 쇠퇴에도 중공업 노조들의 극단적 노동운동이 큰 기여를 했다고 하는 건 과단일까? 자식들의 고용을 필히 보장하려는 기업들이 많다. 

저성장에 얼마 남지 않은 먹거리일수록 더욱 치열하게 내 것만 챙기려는 심보다.

한국 사회는 점점 중요한 문제에 심각하게 직면해갈 떄가 되어가고 있다. 불편한 진실을 직시하고 전가의 보도로 써먹던 노조는 절대선이라는 고집을 깨야만 한다. 


이 책의 제목대로 남을 돌보지 않는 "절대선"은 중세 교회나 절들이 벌였던 수취를 위한 종교놀음과 다를바가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혼을위한삼계탕 2016-06-11 04: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아요.
얼굴이 화끈거리네요.

사마천 2016-06-11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찬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