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킹 메이커
김진명 지음 / 포북(for book)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총선이 끝나자 갑자기 대선 이야기가 넘친다.
거의 따놓은 듯한 야권 주자들의 근자감에 비해 여권은 쑥대밭이 되었다.
대선은 5년마다 벌어지는 결투의 장이기도 하고 민초들의 축제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것 뿐일까? 과연.
최근 미국 대통령 선거가 화제다. 트럼프와 샌더스라는 변경의 인물들이 등장해서 선거판을 흔들고 정치권게 강력한 충격을 주고 있다. 미국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는 전세계에 영향이 크다 보니 다들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런 한국의 선거는 어떨까? 우리 만의 축제인가 아닌가?
김현희 KAL 테러 등 쉬지 않고 나오던 북풍을 보면 북한이 꼭 남한의 민주화를 원하지 않던 것 같기도 하다. 이 부분은 여전히 미스터리다.
그리고 더 중요한 건 미국의 태도다.
이게 바로 이 책의 주제이고 김진명의 도전 및 탐구 대상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쉬지 않았다.
그리고 이렇게 만드는 그럼 김진명식 글쓰기의 매력은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속도감 넘치는 빠른 진행,
선 굵은 캐릭터,
거대한 음모와 맞서는 주인공의 활약
그리고 무엇보다 우국지사적 태도
그의 작품들에 골고루 나와 식별하도록 도와주는 특징들이다.
김진명의 문장은 섬세하지 않다. 문장 자체가 짧고 대상을 깊이 묘사하는 형용사와 만연체를 거부한다. 그 대신 독자를 붙잡고 빠르게 낯선 다른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킹메이커>에서도 한국과 미국을 오가고 공간적으로도 청와대,미국교도소 까지 나온다.
마치 취재원이 고급지고 풍부한 탐사 전문 신문기자와 동행하는 느낌이다.
외교-정치-경제를 두루 아우르는 그의 서사는 남성 독자들에게 호응이 높다.
그리고 누군가 이런 이야기는 해주었으면 하는 거의 폭로에 가까운 강한 메시지도 반향이 크다.
이 작품에서도 희한한 반전을 통해 매우 커다란 메시지를 부각시켜준다.
세계 속의 한국은 바꾸어 말하면 제국의 변방이고 위성이다. 그걸 잊지 말되 그 안에서 내 것을 찾는 자주적인 노력을 멈추지 말라고 강조한다.
이 이야기를 한번만 하는 게 아니라 이휘소부터 시작해 쉬지 않고 반복해왔다.
조금 웃기게 연결해보면 최근 트럼프의 인기와도 맥이 닿는다는 느낌이다.
단순하고 솔직하게 반복해서 꼭 하고 싶지만 체면상 못하던 억눌린 감정 해소.
어쨌든 그의 독서는 독특한 경험을 준다.
읽는 내내 손에서 내려 놓기 어려운 속도감도 있고, 풍부한 정보가 주는 새로운 시각 부여도 정보량을 늘려준다.
하지만 결론은 아쉽다.
스포일이 될까봐 결론을 자세히 언급하기는 그렇지만 누구를 띄웠고 그 사람의 최근 행태를 보면 너무 아니다. 여기까지만 적어주는게 소설가의 노력에 대한 예의라 생각해서 이만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