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샤의 추억을 놓고 전문비평가들이 오리엔탈리즘을 알려면 이 영화를 보라고 매도하는 견해를 보았다.
오리엔탈리즘이 서구의 시각으로 자신들이 바라보고 싶은 동양에 대한 이미지를 가져가는 의미라고 한다면 이 영화도 어느 정도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중국배우가 게이샤로 나온다거나 영어를 써서 만든다는 등도 그렇고 원작의 소재가 미국인의 눈으로 씌여진 소설이라는 점도 원인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대목에서 하나 묻고 싶은 것이 같은 동양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는 일본을 잘 알고 있는지 하는 점이다. 그 척도로 일본에 대해 한국에서 나온 책이 일본어 혹은 타언어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는가를 제시하고 싶다. 내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어령씨를 제외하고 몇이나 될까? 답은 꽤 회의적이다.
차라리 남북문제가 이슈가 될 때마다 늘 등장하는 시카고 대학의 브루스 커밍스나 게이오 대학의 오코노미 마사오 교수 정도 되는 전문가도 보유하고 있다 장담하기 어렵다.
그렇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일본은 무엇일까? 가깝기에 자기 이해에 따라 더 왜곡되어 보는 면이 많다고 감히 단언할 수 있다.

영화의 주제가 된 게이샤에 대해서도 이 주제에 대해 한국에서 나온 연구서가 있나? 아니면 한국의 유사한 존재였던 기생에 대해 재미는 차지하고 게이샤 만큼 깊이를 가지고 연구하거나 서로 비교해본 작품이 있을까? 그러한 책들이 일본에 팔리고 서구에 소개될만큼 깊이와 흥행성을 가지고 있나? 아마 답은 시원치 않을 것 같다.

게이샤=기생=창녀라고 등식을 만드는 사람조차 보았는데 이는 우리 스스로 눈에 편견을 씌우는 또 다른 오리엔탈리즘에 불과한 현상이다. 한국에서는 도자기 분야에서 조상들이 만들어낸 성과를 무척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일본의 작품들은 단지 조선의 도공들이 끌려가 만든 것으로 가볍게 치부한다. 하지만 해외 박물관을 보면 일본 도자기에 대한 대접이 높으면 높지 절대로 낮지는 못하다. 자존심 상하는 일이지만 곰곰히 생각해보면 이는 장인에 대한 대우를 하느냐 그렇지 않느냐 하는 사회 시스템의 차이가 원인이었다.
공병호가 자기 책에서 표현한바를 빌리자면 조선에서는 관리들의 수탈 때문에 가장 좋은 도자기는 일부러
파괴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고 한다.
재주를 가진 사람을 대접한다면 더 많은 재주꾼들이 나타날 것이고 그렇지 않는다면 반대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조선의 기생 중에도 시대를 넘어 작품을 남긴 존재들이 있다고 한다. 허준이 푹빠졌고 자신과 대등하게 교류했던 이매창 등 역사적 인물들은 분명 있지만 이들이 계승되지는 못했다.
반면 일본은 재주에 대해 합당하게 값을 쳐주는 노력을 한다. 이건 인정하고 배워야 할 점이지 그냥 가볍게 보고 넘길 주제는 아니다. 그런 점에서 게이샤라는 문제 하나를 놓고도 처녀성을 팔아야 하고 첩으로 살아야 한다는 페미니즘 차원의 비극도 고려해야 하지만 돈 없는 집안의 여자가 사회적으로 자신의 성장을 보여줄 수 있는 그 나름의 생존방식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영화인들의 차가운 시각도 이해가지 않는 점은 아니지만 정 오리엔탈리즘이 문제라면 한국에서 그런 주제를 담아 훨씬 보편적으로 퍼져나갈 수 있는 작품을 만들면 될 것 아닌가? 이 작품에 이런 문제가 있다고 투덜대기 보다는 어떻게 이를 극복할 것인가를 논하는게 훨씬 생산적일 것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02-09 16: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마천 2006-02-09 17: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원작이 되었떤 책을 한번 읽어보려고 합니다. 나온지가 몇년 되었던데 인기가 좋더군요.

비로그인 2006-02-13 0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깝기에 자기 이해에 따라 더 왜곡되어 보는 면이 많다고 감히 단언할 수 있다. ' 동감에 추천입니다..^^
마무리는 헐리웃영화답게 너무 촌스러웠지만 그만하면 게이샤의 삶과 심리를 잘 표현한 괜찮은 영화란 생각인데 전 사람들의 딴지가 너무 놀랍더군요.
바로 후 조선통신사에 대한 책을 두 권 읽어서인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게 되더군요
미리 생각을 정해놓고 타자를 바라보는 그런 시선말입니다.
저도 오늘부터 미루고 있던 원작소설 읽기에 들어갑니다..^^

사마천 2006-02-13 1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토리 자체만 보면 약한 편입니다. 소녀가 성장해서 성인이되고 어려움을 겪다가 원하던 사랑을 얻는다. 단순하죠. 하지만 이 영화가 긴 시간 동안 보여주려던 것은 게이샤 문화 자체입니다. 그걸 감안하면 아주 혹평할 수준은 아닌 것 같습니다.
최근에 게이샤와 비교하면서 한국의 기생을 다룬 책도 들추어볼까 하는데 저자는 일본 사람입니다.

열린사회의적 2006-02-15 2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시 '게이샤=기생=창녀'라는 공식을 만든 분이 저라면... 조금 쑥스럽네요. 음, 제가 적은 짧은 글에 게이샤를 보며 우리나라의 기생이 겹쳐진다고 했으니... 문화가 다른데, 한 줄 세워서 게이샤=기생이라는 등식은 성립하지 않을 것입니다. 저는 게이샤라는 인물이 스스로 감정을 억누르는데 반해 우리나라의 기생은 감정을 드러낸다는 것이 겹쳐진다는 뜻이였습니다. 이렇게 다를 수가 있구나. 그리고 오리엔탈리즘에 관해서는... 수잔 손탁은 중립적 객관성(?)을 대단히 강조하는 듯 한데...[해석학에 반대한다, 사진에 관하여...?] 게이샤라는 영화를 보니, 게이샤의 일생을 추적하는 것이 아닌 부분 부분에 멈춰섰다는 점입니다. 어떻게 한 인물의 성장이 성찰이 되고, 이러한 성찰이 게이샤라는 문화를 드러낼 수 있는 장치가 되어야 하는데, 필요한 부분 부분을 끍어왔다는 점입니다. 물론 짧은 시간에 선택과 집중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런면에서 어떻게 균등하게 나누는가하는 점은 작가의 역량이며, 눈높이가 될 것입니다. 아울러 토를 하나더 달자면, 한국에서 나온 게이샤의 이론서가 없다고 현재 나온 책이 절대기준점은 되지 못할 것입니다. 이런 이런 부분은 좋다 이런이런 부분은 틀리다는 생각을 가져야 앞으로 나아가지 않을까요? 제 짧은 생각은 이러합니다. 하하.... 그리고, 소나무에 대해서 한마디 더 하자면, 소나무 책 한권을 다 읽고 참 좋다고 느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소나무를 보고, 내가 읽은 소나무 책과 비교하여 몸으로 거슬러 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말을 하는 이유가.... ktf에 관련된 책에 대해 상당한 호평을 하신 듯 하여... 얼마전에 아쉽게도 이벤트의 상품이 자사 직원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기사와 cp(컨텐츠 제공업자)의 자리를 알기에 일방적인 찬사는 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사마천 2006-02-15 2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열린사회의적님께/ 원래 이글과 앞의 글을 네이버에 올렸습니다. 반론 중에 게이샤=창녀라고 하신 분들이 있어서 거기에 대해 반박한 것입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게이샤에 대한 책만 없는 것은 아니고 전반적으로 일본에 대해 나온 책이 너무 적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사실 한국인은 일본을 제대로 알고 있나라고 물으면 답이 회의적이기 때문이죠. 그러다보니 오리엔탈리즘 논쟁 이전에 가깝지만 그렇기에 더욱 모르는게 아니냐고 따져보고 싶더군요 ^^
참 KTF 건은 굳이 칭찬하려던 건 아닙니다. 당시 사장하시던 분의 변화와 적응력이 돋보였다는 점을 강조하려고 했습니다. 참고로 KTF는 CP들 착취를 지독하게 합니다. SKT보다 더 하다고 하더군요. 양쪽 다 CP 하는 제친구녀석 왈. 그런걸 보면서 공기업 개혁은 반드시 (ex-공기업까지도) 필요하구나 느끼게 하더군요.
여러모로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