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를 가끔 보게 된다.
이력서라는 문서는 취업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작성하게 된다.
그렇지만 종이 한 두장에 자신을 잘 드러내기란 여간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관점을 읽는 사람의 입장으로 바꾸어 볼 필요가 있다.
주변에 대기업 등의 인사 담당자들이 친인척으로 있다면 한번 리뷰해달라고
시도하는 것도 좋다. 절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읽다 보면 질문이 떠오를 수도 안 떠오를수도 있는데 안떠오른다면
관심이 없는 밋밋한 이력이라는 의미가 되버린다.
그래서 특색이 필요한데 먼저 목적을 분명히 적는 것이 좋다.
어떤 포지션을 원하는데 거기에 내가 제일 잘 맞을 것이다라는 점을 적고
왜 그런지에 대해서 차분하게 설득을 해보도록 한다.
스스로도 납득이 안된다면 아마 상대방은 더욱 더 그렇게 느낄 것이다.
그런 논리와 근거를 곳곳에 남기는 것이 좋다.
활발한 성격을 보이려면 동호회 대표나 총무 경력을 적고 면접장에서 강조하라.
차분한 성격을 보이려면 독서 등을 모험 정신은 배낭여행도 좋다.
협상은 일종의 거래인데 그러려면 상대방 회사를 알아야 한다.
가기 전에 최소한 창업주의 경력을 담은 자서전이나 기타 문화를 알 수 있는
책을 읽고 가는게 예의다. 아무것도 아는게 없으면서 무조건 잘 열심히
하겠다는 사람들을 보면 솔직히 웃음이 나올 때도 있다.
현대사회는 열심히 하기 보다 현명하게 일하는 사람을 점점 원하기 때문이다.
경력직인데 자신의 경력을 순서대로 적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시간 관점에서 최근 것이 위로 올라오게 적어야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일 경우 그 일에서 자신이 어떤 롤로 무엇을 했는지를 적어야 한다.
가끔 적다보면 나 자신이 정말 그 역할을 잘 했는지 돌아 볼 때도 있다.
그래서 이럴 때는 브라이언 트레이시의 책 제목 처럼 너 자신의 미래와 거래하라는 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미래에 좋은 경력을 이력서에 적어 넣을 수 있으려면 열심히 잘 해야 한다고
자신을 다그칠 수도 있다.
다시 한번 강조하건데 상대방의 눈으로 나를 볼 때 내가 어떻게 드러나는지 잘 생각하며
문서를 작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