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홉의 할아버지는 해방된 농노였다. 자신도 것을 뚜렷이 의식하며 작품 활동을 하였다. 자신의 이야기라고 있는 <벚꽃동산> 해방된 농노가 옛주인의 동산을 사들이며 감회에 젖는 작품인데 몰락해 가는 귀족과 상승하는 부르조아지의 대조를 명확히 보여 준다.

 

중편 희곡인 작품에서는 부르조아,귀족,농노해방의 의미 등에 대한 나름의 해답을 찾아볼 있다.배경은 오랜 귀족 가문이 이제 몰락에 직면하여 예전의 소유물을 하나씩 팔다가 마지막으로 남은 벚꽃 동산을 경매에 붙이는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예전에 할아버지가 가문의 농노였던 주인공은 이제는 부르조아적인 질서에서 충분히 성공한 입장에서 예전의 주인들에게 재산 경영을 위한 기법을 열심히 설명하지만 이들은 알아듣지 못한다. 결국 동산은 경매에 처해지고 낙찰은 바로 주인공이 받는다. 그의 감격 어린 목소리가 울려 퍼지는 동안 눈물을 흘리는 주인 이것을 지켜 보는 오래된 해방농노 이들의 대조속에서 막이 내린다.

글에서의 진보란 최소한 신분해방 다음으로 자본주의적인 경제질서의 확장으로 가치가 혼재되며 점차 전도되나가는 등을 의미한다.

 

갑자기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삼대>라는 소설이 생각난다. 삼대란 의미는 할아버지,아버지,아들 이와 같은 가지의 세대다. 여기서 조선의 중인 출신인 할아버지는 지금 세상이 훨씬 좋다. 책이나 읽으며 일도 하지 않던 조선의 양반 나부랭이들이 위엄만을 부리던 예전보다 모두가 신분적인 제약은 보이지 않고 자신에게도 기회가 주어진 일본제국주의가 났다. 독립운동 하려는 의병이라는 것도 시골의 쌀도둑놈이지 무슨 명분이 있는지 모르겠다고 생각한다.

어색한 이해일 같은데 국사교과서에 보면 일제 시대에 대한 서술은 수탈과 압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저항으로 채워져 있는데 사실 삶은 보다 전면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주제로 돌아가 보자 근대사회에서 진보란 무엇인가?

체홉에게는 신분의 해방,자유로운 경제활동

스탕달에게는 능력에 맞는 출세,자유주의

위고에게는 모든 인간이 참으로 대접 받는 사회,신으로부터의 자유 이런 식으로 열거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들이 근대라는 시대에 과제로 등장하였고 여기에 대결한 여러 사상가들이 다양한 생각들을 시대정신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체홉은 단편 작가로 유명한데 중간 이층이 있는 이라는 작품을 나는 무척 감명 깊게 읽었다.

모든 일에 회의적인 지식인인 나는 풍경을 주로 담는 화가로서 시골에서 한가한 생활을 보내고 있다. 어느 길을 걷다가 처녀를 만난다. 작은 쪽은 조용히 삶을 가꾸어 가는 귀여운 소녀 언니는 불의에 가득찬 현실에 도전을 하려는 활동적인 처녀다. 주인공은 작은 소녀에 연심을 가지나 언니하고는 좀처럼 화합을 이루지 한다. 아주 차갑게 러시아의 장래에 대하여 논쟁을 하고 나서 돌아가는 길에 작은 소녀에게 사랑을 고백하지만 언니의 거부권 행사로 둘은 헤어지고 만다.

작품은 이문렬씨가 자서전인 <젊은 날의 초상>에서 자기 과시욕으로 번안을 하여 문학회에서 낭독하였다가 혹독하게 비판을 당하는 장면에 나온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erky 2005-05-30 17: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체홉 전집이 빠른 시일내에 한 출판사에서 출판됐음 좋겠어요. 도스토예프스키 전집처럼 말이죠. 이 출판사 저 출판사 통해서 맛뵈기로 조금씩 그의 단편을 접하기엔 갈증을 느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