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섀퍼의 돈
보도 섀퍼 지음, 이병서 옮김 / 에포케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내용은 꽤 그럴듯하다. 단 독자들이나 관심 가진 분들에게 먼저 귄터 오거의 <사기꾼의 경제>에 나오는 다음 대목을 소개하고 싶다.

---

섀퍼는 사기꾼이다. 그의 회사는 170만 마르크를 못 갚었다. 렌터카로 롤스로이스, 비행기를 빌려 타며 과시한다. 그의 회사는 2000년 6월 망해버렸다.

---

무릇 말은 말 자체로 그럴 듯하게 평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자신의 말이 옳다고 강변하면서 자신이야말로 그 말에 따라서 성공했다고 하며 과시하는 사람들은 조심해야 한다. 영업을 위해 수준에 맞지 않는 명품족이 되어야 하는 다단계 판매원들이나 집이 없어도(어느 책을 보니 대부분의 지점장들이 그렇다고 한다) 좋은 차를 뽑고 몰고 다녀야 하는 증권사 지점장들의 경우가 이런 예들이다.

이 책의 내용은 꽤 귀에 다가오지만 저자가 실제로 그렇게 해서는 부자가 안된다고 입증했다는데 굳이 이 책 열심히 볼 필요가 있을까?  참고로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도 마찬가지 부류라고 한다.

책 내용이 좋으면 그만 아니냐고 묻는 분들이 있다. 하지만 그건 아니다. 왜냐면 이런 책들은 독자들에게 과도한 낙관론을 심어준다. 그래서 평소라면 하지 않은 무리한 재테크에 나서게 한다. 무리한게 뭐냐고? 빚내서 투자하는 것이다. 최근에도 방송에서 보여준 사례에 재테크 강사가 소개해준 제주도 기획부동산 땅을 카드빚내서 사버린 순진한 박사과정 다니는 사람이 나왔다. 리스크를 고려할 역량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환상을 먼저 심어주어 무조건 싸움터로 내보내는 책을 좋게 보아야 할까? 브라운스톤의 책은 먼저 리스크와 실패에 대해 여러가지 이야기를 한다. 차라리 그쪽을 백번이라도 권하고 싶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랑 2004-12-23 06: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기꾼이였다니... -_ ㅠ^ 책내용 괜찮았는데..;; 다시 한번 봐야겠군요!

사마천 2004-12-24 2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투자에 실패하고도 좋은 책을 쓸수는 있습니다. 김동조라는 분이 그런 예죠. 10억이상 날리고도 결국 빚을 갚았는데 방법은 강연료였습니다. 책도 괜찮고 그 사정도 밝혔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자기도 안되는 걸 남한테 권하는 거짓말을 하는 경우라면 곤란합니다. 특히 실제 자신은 파산으로 가면서 독자들에게 잔뜩 허황된 꿈을 주는 경우는.

sayonara 2004-12-27 1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삼스레.. 뭐 드 그렇더라구요. ^_^

경영, 자기계발계의 신화적 인물 스티븐 코비도 자신의 회사는 프랭클린사와 합병한 뒤에 '시너지 효과'를 일이키지 못하고, 형편없는 매출에 주가도 폭락했지요.

네 안에 잠든 거인을 깨우라던 앤서니 라빈스도 부인과의 이혼으로 인간관계에 실패하는 모습을 보였구요. hm..

사마천 2004-12-27 15: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책의 저자가 꼭 성공한 사람은 아닌 건 맞습니다. 제가 아이디로 쓰는 사마천은 궁형 받았고 마키아벨리는 실업자로 구직활동하느라 쓴게 군주론 등등.

그래도 알고 읽는 것과 모르고 환상 품는 것은 다르지 않을까요 ^^

사실 가장 크게 문제가 되는 건 부자아빠 신드롬이죠. 제 주변에도 다단계가 너무 많고 그분들이 무모한 꿈을 꾸는 경우가 너무 많아요..

cuttybada 2005-01-01 04: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두 다 읽었는데 ,,투자할때 꼭 안전하게 그리구 준비를 마니해서

신념'이라구 표현하며 마음가짐이 무척중요하다구 그러던데,,

책은 책이구 거기서 받아들이는 사람이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한거겠지요,,,^^

사마천 2005-01-01 0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하려던 말의 핵심 하나는 누구나 부자 될 수 있다라는 메시지가 상당히 많은 사람들에게 무리한 환상을 심어줘서 더 비팜하게 만들어주더라는 것입니다.

책도 내용은 그럴듯 한데, 그 방법으로는 자기 자신도 구원 못하더라는 거죠.

그래서 솔직하게 자신의 실패를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더 낫다는 겁니다.

sayonara 2005-01-07 16: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깊이 동감합니다. 사마천님의 윗말씀 100% 맞습니다. 구원과 속죄의 문제이군요..!?... -_-;;

팜북 2005-12-13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게 다가 아니잖습니까. 저자가 책에서도 말했듯이 실패란 없습니다. 대부분의 대부호들은 한번 크게 실패했다가도 다시 일어서고 그럽니다. 그리고 제가 보기엔 환상이 아닙니다. 환상이라 함은 무리하게 투기를 동조하거나 그렇게 하면 부자가 된다는둥 하는데 책내용을 보면 저축이 최우선,투기하지말고 투자,경제적 안정장치 만들기가 최우선등등 환상과는 거리가 먼 정석적인 내용들입니다. 그리고 부도가 난것이 과연 책내용대로 했다가 그랬을까요?

사마천 2005-12-13 2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자가 되려면 노력해야 한다고 말하는 건 매우 개연성 높은 진리입니다.
단 성공하지 않고도 성공했다고 표현하는 건 거짓말이죠. 증권사 지점장들 중에는 집이 없으면서도 차는 그랜저에 멋지게 뽑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
이게 모두 과시욕에서 나온 거품이고 보도 섀퍼의 경우 특히 그런 과장법을 많이 사용한 요주의 인물이라는게 요지입니다. 이상건의 책을 보면 절대로 자신이 부자가 되었다고 쓰지 않습니다. 그래도 부자학에 들어갈만한 내용을 꽤 잘 서술했습니다. 그래서 높이 삽니다. 만약 이상건씨가 주식고수인체 하면서 다시 책을 낸다면 저도 보도 섀퍼의 경우처럼 냉정히 비판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