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거창한 주제라 생각하기 쉽지만 가끔은 사회적 약자가 원하는 것은 사소한 나의 동참일 때가 많다. 비정규직 하청노동자로 일하다 하루 아침에 일자리를 잃은 김종호씨의 소박한 요청은 알라딘에서 책을 사지 말아 달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마침 책을 살 계획이 있었던 나는 (언제까지가 될지 모르겠지만) 책을 사지 않겠다는 소박한 다짐(?)을 하게 됐다. 여기까지는 너무 사소한 얘기 같다. 

알라딘에서 일시적인 성수기에 단기근무인원을 모집할 수 밖에 없다는 얘기는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김종호씨가 지적했던 것은 자신은 2년 동안 일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일을 시작했지만(모집공고의 내용과 면접당시의 질문 등-물론 이는 파견업체인 '인트잡'과 관련된다) 일을 시작한지 1달만에 해고되었고, 서면이 아니라 구두통보였다는 것이다. 

그가 제기한 알라딘의 문제(책임)는 무엇인가?

알라딘 고객팀장의 말에서는 얼마나 많은 정규직(원청), 비정규직(원청, 하청) 노동자들이 알라딘에서 일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김종호씨가 제시한 내용이 맞다면, 알라딘물류센터에는 주야 포함해서 150명 정도가 일을 하고 거기에 알라딘 소속의 노동자들은 부서장, 장기근속자(계약직 포함) 등 적은 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대부분은 파견회사 소속이다.
그렇다면, 2년 계속 근무한 비정규직원에 대해서 별도의 절차를 거쳐 정규직화하고 있다는 알라딘 측의 설명은 전체 물류센터 대부분을 차지하는 하청노동자가 아니라 소수인 알라딘 소속 노동자들에게만 해당된다 생각된다.  

3월, 9월 성수기 뿐 아니라 비수기 대부분을 하청노동자의 노동력에 의존해 물류센터를 운영한다면, 알라딘은 자사의 물류센터에서 일하는 하청노동자들에게 분명한 사용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 또 김종호씨는 위장도급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작업상 모든 지시를 100% 알라딘에서 하고 있다고 했다. 

그가 참세상에 기고하면서 부르짖었던 것은, 비정규노동자들이 일회용품으로 취급받고, 끝내는 쓰레기로 폐기해 버리는 기업에 불매운동을 통해서 책임을 물어달라는 것이다.  

알라딘에서 도급업체를 통한 근무자에 대해서도 급여차등을 두지 않으며, 도급 근무규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은  다행이랄 수 있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번 파리목숨처럼 고용과 해고가 반복되는 삶을 살아가는 누군가가 있다면 그의 얘기에 귀기울이고 그의 요구에 동참하는 것은 나의 작은 연대의 실천이다. 
원청인 알라딘물류센터에서 일하다 해고된 그가 기댈 곳도 알라딘에서 책을 구입하던 고객들일 것이다. 
이곳에서 책을 구매하는 사람으로서 알라딘에서 책을 구입하지 않는 것으로 조금이나마 그의 싸움에 힘을 보태고 싶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9-11-10 0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사님의 페이퍼 감사합니다. 너무 거창한 주제라 생각하였고 어떠한 파급이 일어날까, 미리 염려하여 소심하였습니다. 사회적 약자가 원하는 것이 누구의 다짐이나 구호가 아닌, 저의 작은 행동 뿐이라면 동참하겠습니다. 언제까지가 될 지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rosa 2009-11-05 09:11   좋아요 0 | URL
설령 별다른 파급 효과가 없다고 하더라도 무엇이라도 함께 할 수 있다면 좋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김종호씨에게 마음의행로님의 동참도 힘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드팀전 2009-11-04 1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당장 참여의사는 없지만..추이를 좀 더 지켜보겠습니다. 그러나 좋은 지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객관적으로 가장될 수 있는 문제를 돌파하는 방식은 이런 접근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rosa 2009-11-05 09:14   좋아요 0 | URL
청소부가 파업을 할 때, 아무리 거리가 지저분한 쓰레기로 뒤덮여 있다 해도 그 쓰레기를 치우지 않는 것이 연대라고 들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입니다.

Arch 2009-11-04 1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사님 글과 드팀전님 글을 보면서 여러가지 생각이 들었어요. 저도 이런 접근이어서 다행이라 생각해요. 알라딘측이 판매에 압박이 되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않았으면 하고 전 그다지 책을 많이 구입하는편이 아니라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수는 없겠지만 다른 방식으로 연대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볼게요.

rosa 2009-11-05 09:18   좋아요 0 | URL
저도 책을 많이 사는 편은 아닙니다. 책을 읽어도 리뷰를 잘 안올리구요. 사실 그닥 알라딘에 타격을 입힐 만한 급의 알라디너는 아닙니다. 그래도 그냥 함께 하고 싶다는 거지요, 소박하게라도... Arch님께서 할 수 있는 연대의 방법을 생각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생각이 떠오르시면 함께 나눠주세요.

연두부 2009-11-12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문제로 한 동안 주문도 하지않고 고민하고 있었는데...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rosa 2009-11-13 18:09   좋아요 0 | URL
저 역시.. 책을 사야만 하는데 계속 개기고 있습니다. 알라딘에서 개인 문의에 대한 답글이 아니라 공식적인 견해를 밝혀주기를 바랬는데 과한 기대인가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