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망 좋은 방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28
E. M. 포스터 지음, 고정아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에드워드 사이드가 <문화와 제국주의(Culture And Imperialism)>에서 격한 비판을 하길래 읽게 된 에드워드 포스터였다. 그의 <인도로 가는 길(A Passage To India)>을 읽다 인도인을 종교만 아는 사람들로 그리는 걸 보며 동양인에게 종교를 덧씌우는 것도 일종의 오리엔탈리즘이라는 생각을 했다. 너희는 열심히 종교나 믿으라며, 나머지 정치, 경제 등속은 우리가 책임진다는 마음이 숨어있지 않나 생각했다. 그건 키플링의 <킴(Kim)>을 보면서도 한 생각이다. 그래도 포스터는 키플링에 대하면 덜 노골적이었다.
포스터가 동성애자라는 걸 알고 그가 싸워 온 세상이 만만치 않았으리라는 생각을 했다. 소설을 더 읽어보려 꺼내든 게 그의 소설 가운데 가장 많이 알려진 <전망 좋은 방(A Room With A View)>이다. 그저 가벼운 연애 소설이려니 했는데, 속 깊은 고민들도 담긴 듯 하다. 여주인공 루시와 약혼까지 갔던 세실에 대해 작가는 이리 말한다. "세실은 중세 사람이다. 고딕 조각 같았다. ...... 고딕 조각은 금욕을 상징한다."(109면) 루시와 세실이 파혼을 맞는 건 당연한 얘기겠다. 사랑의 승리는 인생에서 모험을 즐기는 조지에게 돌아간다.
으레히 종교에 대한 반감도 드러나는데 비브 목사와 이거 목사는 제 역할을 하고 있다. 비브 목사는 루시와 세실의 파혼을 기뻐한다. 성경을 인용하는데 "결혼하는 건 좋은 일이지만 자제하는 건 더 좋은 일이다" 말한다. 평소 세실을 마음에 들어하지 않았다지만 결국은 남녀간의 결혼을 혐오하는 모습이다. 사실 성경의 저 구절은 바울이 한 말인데 - 바울은 실제 결혼하지 않았다 - 저 구절 뒤론 결혼 생활간 지켜야 할 일들이 따라 나온다. 결국 바울도 결혼하는 게 더 좋다는 이야길 하는 거다. 이거 목사는 더 심각한 모습인데, 조지의 어린 시절 조지의 어머니를 간접적으로 살해한다. 조지와 그의 어머니의 죄를 거들먹거리며 단죄한다. 그리고 그 잘못을 조지의 아버지에게 떠 넘긴다. 목사 둘이 막장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작가는 이 소설을 H.O.M.에게 헌정하는데 친구 휴 메러디스이다. 메러디스는 포스터의 대학 친구인데 두 사람은 동성애 관계인 걸로 알려져 있다. 두 사람의 관계는 작가 생존 시절엔 발표하지 못했던 <모리스(Maurice)>에 잘 나온다고 한다. 자전이 가장 많이 담긴 <기나긴 여행(The Longest Journey)>에도 포스터는 많은 고민을 담았을 것 같은데, 아울러 읽어야겠다.
Edward Morgan Forster(1879-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