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의 영감 한길 헤르메스 7
장 그르니에 지음, 함유선 옮김 / 한길사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장 그르니에의 이름을 들었던 게 언제던가? 실존주의 철학에 기웃거릴 때인 것 같다. 사르트르의 <구토>를 읽어가며 로캉탱에 공감하기도 하고, 까뮈의 <시지프의 신화>가 우리들의 삶이라 고개를 끄덕이기도 했다. 당시 "실존이 본질을 앞선다"라는 아포리즘만큼 내 마음을 두드린 말은 없었다. 까뮈를 통해 장 그르니에를 알게 됐다. 까뮈의 스승이라니? 서둘러 그의 책들을 읽어갔다. 
  
  "마침내 나는 생각한다. 익명의 인간이 될 것이다. 그리하여 나의 일, 나의 직업, 나의 가족, 심지어 나 자신에 대해서조차 아무도 나에게 말을 걸지 않을 것이다. 나는 나를 곧 잊을 수 있을 것이며, 나를 잘 알아볼 수 없을 것이다. 더 이상 맡아야 할 역할도 없고, 더 이상 일부러 꾸며서 해야 할 어떤 태도도 이제는 없다.(<지중해의 영감> 35, 6면)" 
  
  여행을 하는 이유는 무얼까? 장 그르니에는 '익명의 인간'이 되고 싶어서라 이야기한다. 나의 얼굴, 나이, 직업을 모르는 공간에 서고 싶어서다. 융은 사회적 자아를 '페르소나'라 했던가? 그래, 우리는 모두 가면을 쓰고 산다. 가면을 쓰고 이런 저런 역할 놀이를 한다. 여행이란 그 가면을 벗을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이다. 

  <모래의 여자>라는 소설이 있다. 일본 작가 아베 코보(安部公房)의 장편이다. 내용은 이렇다. 평범한 셀러리 맨인 한 남자가 어느 날 실종된다. 그는 일상에서 피하기 위해 모래 땅으로 곤충 채집을 나선 것이다. 그 곳에서 기이한 일을 하는 여자를 만난다. 여자는 모래 구덩이 속에 있는 집에서 흘러내리는 모래에 집이 파묻혀 버리지 않도록 쉬지 않고 삽질을 한다. 어이 없어 하는 남자에게 여자는 모래로 인해 한 집이 붕괴되면 사구에 자리 잡은 마을 전체가 붕괴되기 때문에 작업을 멈출 수 없다고 이야기한다. 남자는 이런 일이야 훈련만 받으면 원숭이도 할 수 있는 일이지 않냐고 하며 모래 구덩이에서 탈출을 시도한다. 탈출에 성공하지만 이내 마을 사람들에 의해 모래 구덩이로 돌려 보내진다. 
  
  남자의 비아냥처럼 우리는 일상 속에서 원숭이가 하는 일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무료한 일상을 벗어나고자 한 남자였지만 그를 맞은 건 역시 반복되는 삽질 뿐이었다. 이 작품은 그야말로 그로테스크하다. 그럼 도대체 우리는 어디에서 가면을 벗을 수 있단 말인가? 
  
  장 그르니에는 여행을 하며 그 무거운 가면을 벗어 던지고 있다. 그의 글은 내밀한 고백으로 가득 차 있다. 가면을 벗지 않으면 토해낼 수 없는 고백들이다. 
  
  <모래의 여자>에서 탈출에 실패한 남자를 여자는 위로한다. 그런데 돌연 작가의 목소리가 들린다. "서로 상처를 핥아주는 것도 좋겠지. 그러나 영원히 낫지 않을 상처를 영원히 핥고만 있는다면, 끝내는 혓바닥이 마모되어 버리지 않을까?" 작가는 비관한다. 그러나 닳아 없어져 버릴 일상 속의 혀이지만 나만을 위한 것이 아니기에 그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이것 역시 너무나 어려운 일이지만. 

           Jean Grenier(1898-19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