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문제 (외) 범우 비평판 한국 문학선 24
강경애 지음 / 종합출판범우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경애(姜敬愛)는 보통 동반자 작가로 불리는 사람이다. 동반자 작가라 하면 첫머리에 떠오르는 이들은 이효석(李孝石)과 유진오(兪鎭午)이다. 1920년대 후반 이들은 계급적 인식을 내 비친다. 이효석은 1928년에 <도시와 유령>을, 유진오는 1931년에 <여직공>을 발표한다. 허나 이후 이들의 행보는 동반자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크게 노선을 탈바꿈한다. 이효석은 30년대에<돈(豚)>(1933), <들>(1936), <산>(1936), <메밀꽃 필 무렵>(1936) 등을 발표한다. 제목에서도 보이듯이 이들 작품은 사회를 떠나 자연 속에서 행복을 찾는 고립된 인간을 주요 인물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돈>에서는 성애(性愛)의 탐닉을 소재로 삼고 있다. 유진오는 1938년에 <창랑정기(滄浪亭記)>를 발표하는데 창랑정에 얽힌 이야기를 회고하고 있다. 유진오의 이후 행보를 가늠할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내가 생각하는 동반자 작가로서의 강경애는 이들과 썩 다르다. 강경애는 줄곧 가난, 소시민, 민중, 계급 등에 관심을 쏟는다. 그녀는 대표작인 <인간 문제>와 더불어 많은 단편들을 통해 한국 민중의 모순적 삶을 핍진하게 탐구하며 그려내고 있다.

  <원고료 이백원>(1935)은 자전적인 작품이다. 가정에서 흔히 일어날 법한 부부 싸움을 소재로 삼고 있다. 편지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수신자는 K라는 화자의 여동생이다. K는 이제 사회에 첫 발을 내디디려 한다. 화자는 그녀에게 최근에 자신이 겪은 바를 중심으로 조언을 건넨다. 화자는 소설가인데, 요사이 D일보(동아일보인 듯)에 장편을 연재하고 있다. 덕분에 이백원의 적지 않은 원고료를 받았다. 가난하게 자란 그녀에게 이만한 큰 돈은 자신을 흥분시키게 충분했다. 목도리, 구두, 금니를 비롯해 그동안 마련하고 싶던 물건들을 행복히 머리에 정리해갈 쯤 남편은 그 돈을 자신의 동지들에게 썼으면 하는 바람을 내 비춘다. 자신의 바람을 알아주지 못하는 남편으로 인해 그녀는 서러운 눈물을 흘리고 남편은 급기야 손찌검을 한다. 아내는 여러 정황을 차분히 생각한 후 남편에게 용서를 빌고 두 사람은 화해한다.

  난 남편의 모습이 꽤나 적나라하다고 생각한다. 이 대목을 보자. “허허 난 그런 일류 문인의 사내 된 자격은 못 가졌다.” 자격지심, 심하게 말하면 아내에게 열등감을 가지는 남편의 모습이다. 남편의 직업이 무엇인지 알 수는 없으나, 경제적으론 무능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념과 의리에 지배되는 모습이다.

  “머리를 지지고 볶고, 상판에 밀가루 칠을 하구 금시계에 금강석 반지에 털외투를 입고 입으로만 아! 무산자여 하고 부르짖는 그런 문인이 되고 싶단 말이지. 당장 나가라!” 추측하건대 아내의 마음을 움직인 건 바로 이 한 마디가 아닐까 한다. 무산자를 위한 문학을 하리라 했지만, 돈 앞에선 자신의 필요만을 생각하는 이기적인 모습을 일깨우는 남편의 호통이다.

  아내는 남편의 말에 순종한다. 두 사람은 부부이지만 또한 동시에 이념적 동지였다. 아내의 순종을 전통적 미덕이라고만 이해하는 건 문제가 있다. 그녀는 남편을 뜻을 같이하는 동료로 여겼기에 남편의 말을 따르는 것이다.

  아쉬움은 손찌검과 같은 폭력적인 모습이다. 동지인데 손찌검은 당치 않다. 이유는 당시-지금도 이러한 일들이 있어 슬프지만-손찌검이 가능하다는 아내와 이념적 동지의 중간 지점에 우리의 화자가 위태하게 서 있기 때문일 것이다. 
 

 

            강경애(1906-19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