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1-5권) / 막스 갈로 지음 / 문학동네 / 1998년 

   

 영원히 살아있는 나폴레옹

    "내 사전에 불가능이란 없다" 나폴레옹이 험난한 알프스 산맥을 넘으며 한 이 말은 아마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말들 중 하나일 것이다. 7-8년 전, 그러니까 초등학교 때 집에서 우연히 발견한 조그마한 위인전에서 읽었던 이 말은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나의 마음에 적잖은 동요를 일으켰다. 나폴레옹이 전쟁에서 승리하면 쾌재를 부르며 즐거워하고, 그가 마지막 유배지인 세인트 헬레나 섬에서 생을 마감할 때는 눈물을 참으며 슬퍼하던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그 후로 나폴레옹은 내가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 되어 버렸다. 그리고 7-8년이 지난 시절의 감동으로 돌아가게 했다.  

  ‘나폴레옹’, 항상 그를 따라 다니는 부정적 수식어들. 독재자! 내가 그를 존경하면서도 인정할 수밖에 없었던 이 점을 이 책을 불식시켜줬고, 또 그로 하여금 그렇게 밖에 할 수 없었던 상황을 이해시켜줬다. ‘독재자’, 과연 그는 독재자였을까? 우선 이책은 나에게 이 점을 불식시켜줬다. 프랑스의 식민지인 ‘코르시카’라는 섬에서 태어나 아홉 살에 프랑스에 있는 군사학교에 입학하여 동료들에게 갖은 핍박을 받으면서도 그 고독과 열등감을 이겨내에 황제에까지 이르는 그의 삶을 뒤돌아보면 어쩌면 그의 독재자적 성향은 당연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는 그렇지 않았다. 자신이 민중과 함께 프랑스 대혁명을 겪으며 몇 백년간 유지되어온 전제 군주제를 타파하여 황제의 자리에 오른 그였기에 그는 그렇게 할 수 없었다. 그가 평생동안 민중의 의견, 즉 ‘여론’을 가장 중요시했던 좀을 생각하면 그가 독재자가 아니었음을 잘 알 수 있다. 또한 귀족을 상징하는 흰색기를 내리고 자유, 평등, 박애의 삼색기를 내 건 그의 모습에서 그의 이러한 점을 더 잘 알 수 있다. 어느 주간지에서의 저자와의 인터뷰에서 막스 갈로는 “나는 감히, 나폴레옹은 민주주의를 공고하게 만들었다고 말한다”라고 주장하는 것을 읽은 적이 있다. 저자의 이러한 주장이 지나친 비약일는지는 모르지만 국립 학교의 설립, 이혼할 권리 주장 등 그의 행동은 저자의 이러한 주장이 수긍이 가게도 한다. 어쨌든 이 책은 그가 독재자가 아니었음은 확실하다고 생각하게 해주었다.

  그리고 이 책은 나에게 진정한 애국자란 어떤 사람인가를 생각하게 해주었다. 프랑스의 속국인 한 섬에서 태어난 그였기에 유년 시절 그는 프랑스를 자신의 고향을 정복한 나라, 반드시 자신이 정복해야 할 나라라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그는 커가면서 마음을 달리 먹었다. 프랑스는 그가 성장하게끔 한 나라라고, 그가 사랑하고 이끌어가야 할 나라라고. 이후로 그는 프랑스의 명예와 행복을 위해서만 살게 된다. 그가 무엇보다도 사랑했던 것은 다름 아닌 프랑스 민중이었다. 민중은 그를 존재하게끔 해주고, 그에게 힘을 실어주는 유일한 대상이라며. 이러한 그의 민중, 즉 조국 사랑은 한 가지 행동을 통해 절실히 알 수 있었다. 그의 부하들은 모두들 사리사욕을 취하고 있을 때, 그는 황제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돈, 즉 재물에 초연했다. 돈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민중의 것이라며. 그에 반하여 우리나라 정치인들의 현실은 어떠한가? 두 전직 대통령들이 천문학적인 액수의 비자금 형성으로 구속되었던 사실은 나폴레옹의 행동을 통해서 나로 하여금 작금의 현실은 반성하게끔 해주었다. 국제통화기금의 구제금융 시대에 들어서면서부터 우리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말 중 하나가 애국일 것이다. 이 책은 나에게 진정한 애국은 무엇인지에 대해 깨닫게 해주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내가 이 책을 통해서 느꼈던 그의 새로운 면모는 그가 죽은 지 약 2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어지는 그의 영향력이었다. 얼마 전 신문에서 봤던 기사가 생각난다. 최근 영국 총리 관저로 파리 시의회 의원으로부터 편지가 배달됐다. 내용은 이렇다. 파리 시의회 의원이 영국 총리에게 유로스타 기차의 런던 종착역인 워털루 역을 개명해주기를 요구했다는 것이다. 워털루! 나폴레옹군이 영국군에게 격파된 곳. 나폴레옹, 그의 찬란했던 업적이 순식간에 무너졌던 곳. 그곳에서의 전투가 끝난 지 17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사건이 양국간의 미묘한 감정대립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 기사를 통해 나는 그의 힘, 영향력을 느꼈다. 약 200년 전 인물의 업적이 지금까지도 문제시되고 있다니! 이 책의 마지막 구절처럼 나폴레옹, “그는 아직 살아 있다” 그의 업적으로. 작가의 글을 통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