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끝 천 개의 얼굴 - 아마존에서 티베트까지, 인류 지혜의 원형을 찾아 떠나는 40년의 여행
웨이드 데이비스 글.사진, 김훈 옮김 / 다빈치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처음엔 꼼꼼하게 읽다가 중반부터는 초고속으로 책장을 넒겼다. 흥미는 있지만 이 책을 끝까지 읽는 행위는 무의미해 보였다. 어떤 책의 효용을 따지게 되면 이미 정이 식어버린 연인 같은 존재가 되어버린다. 슬프고 안타깝지만 적당한 선에서 포기하는 것도 괜찮다. 독서는 일단 즐거워야 되니까.

 

읽기를 도중하차했으나 이 책은 대단한 책이고 저자 역시 대단한 사람이다. 단지 내 그릇이 작아 소화시키지 못할 뿐이다. 어떤 책인지 옮긴이의 말을 적어본다.

 

   이 책은 인류학자·민속식물학자·민족지학자·시인·모험적 여행자·뛰어난 사진작가를 겸한 웨이드 데이비스의 어린 시절 일화로부터 시작해서 전 세계의 온갖 토착 문화들을 탐방하고, 조사하고, 연구하고, 공감하고, 행동해온 모든 역사를 망라하고 있다. 여기에는 아리알, 코기, 와오라니, 바라사나, 프난, 이누이트, 티베트, 아이티 사람들을 포함하여 많은 토착 사회 사람들의 이야기가 등장하고, 또 그들이 겪은 수난의 역사와 그런 고통을 극복하고 살아남았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성공하기도 한 역사까지 등장한다.

 

그냥 흥미로 읽기에는 좀 과분한 책이다. 이 책을 읽었다고 해서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서로 이어질 것 같지도 않다. 나중에 도움이 될까 싶은 내용이 있다면 남미 안데스 지역 얘기 정도. 언젠가 남미를 여행한다면 필요하지 않을까 싶은 정도. 이런 범상치 않은 저자의 글을 조금 접해봤다는 것으로 만족해야겠다.

 

   오늘날에도 안데스 지역 일대에서는 거리를 측정할 때 마일이나 킬로미터가 아니라 코카 일을 씹는 동안 가는 거리에 해당하는 코카츄(coca chew)를 쓴다. 루나Runa족 사람들이 만날 때는 악수를 하는 게 아니라 코카 잎을 교환한다. 점쟁이들은 천에 뿌려진 코카 잎들이 이루는 모양이나 코카 잎의 엽맥 모양을 통해서 미래의 일을 점친다. 그런 기술은 벼락을 맞고도 살아남은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다.

 

         (중략)

 

   사람들은 길에서 만날 때면 걸음을 멈추고 세 장의 코카 잎이 완벽한 십자가 모양을 이루고 있는 것을 서로 교환한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가장 가까이에 있는 아푸, 곧 산신 꼭으로 돌아서서 그 이파리들을 입에 물고 가볍게 불어서 날린다. 그런 행위는 코카의 정수에 해당하는 그것을 대지에, 공동체에, 성소들에, 조상들의 영혼에 되돌려주는 일종의 기원 의식이다. 그렇게 코카 잎을 교환하는 행위는 사회적 제스처요, 인간관계를 인정하는 한 방식이다.

 

 

전 세계를 무대로 공부하고, 행동하는 저자가 몹시 부러웠다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