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황당한 일이...오랜만에 정성 들여 길게 썼더니 저장버튼을 누르려는 순간 획 날아가버렸다. 평소 하던 대로 살아야지 뭘 또 새롭게 하겠다고...쯧쯧... 같은 글을 기억을 되살려 쓰기도 싫고 이 책에서 베끼고 싶은 부분만 적어본다. 원래 의도는 이게 아니었는데...

 

  환자를 상담할 때 치료에 가장 효과가 있는 중요한 요소가 있다. 바로 치료자와 환자 사이의 정서적인 애착관계다. '공감'이란 치료자가 환자의 경험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이는 '동감'과는 다르다. 동감은 치료자가 환자와 정서적인 객관적 거리 없이 환자의 감정에 치료자 자신도 빠져버리는 것을 말한다. (중략)

  치료자가 공감의 감정을 유지하면서 환자에 대해, 환자의 주변 환경에 대해 이해하게 되면 환자에게는 변화가 일어난다.(중략)

  이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우리를 둘러싼 대상들과 관계를 맺을 때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상대에게 진심으로 공감을 하고 있는지 곰곰이 생각해보자. 친구가 속상한 일이 있을 때 형식적으로 맞장구만 쳐주는 것은 아닌지, 회사에서 상사에게 받는 분노를 쏟아내는 남편의 이야기를 듣자마자 남편의 분노를 모두 흡수한 채 그날부터 불면과 소화불량으로 고생하지 않았는지 돌아보자. 그랬다면 그것은 진심으로 공감하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공감이란 바로 상대방의 마음을 읽고 이해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할 때 건강하고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유지해갈 수 있다.

 

 

  우리는 지루하고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가끔은 자신이 정말 하고 싶은 일을 시도해볼 필요가 있다....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너무나도 익숙한 일들 속에서 무료함을 느끼고 있다면 가끔씩 억누르고 있던 자신의 충동에 몸을 맡기고 시도해보라는 것이다. 이런 시도를 해보아야 우리는 진정한 자신의 모습을 비로소 발견하게 된다.

  (중략) 하나의 도구를 몇십 년 동안 계속 사용하면 마모되어 고장나는 것이 당연한 데도 우리는 그 익숙함을 바꾸려하지 않는다. 바로 변화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변화는 진짜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필요조건이다.(중략) 이래서 안 되고 저래서 안 된다고 생각하면 평생 변화할 수 없다. 주변 환경이 달라질 때까지 기다리다가는 화병이 나거나 우울증으로 남은 여생을 불행하게 보낼 수도 있다. 변화할 조건이 갖춰지지 않았다 해도 내 생각이 변하면 된다. 내 생각이 변하고 다르게 행동하면 주변 환경과 조건도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한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바다와 하늘과 별 또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한 번만 더 볼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하지 말라. 생의 마지막 순간에 간절히 원하게 될 것, 그것을 지금 하라!"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죽음과 죽어감>의 저자)

 

 

한 해의 마지막 날, 변화를 모색해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7-12-31 1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nama님, 새해인사 드리러왔습니다.
내일이면 2018년이예요.
올해도 좋은 이야기와 다정한 인사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에는 가정과 하시는 일에 좋은 일들 함께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건강하고, 기분 좋은 날들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nama 2017-12-31 19:40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 뜻하신 일이 순조롭게 풀리길 기원합니다.
이웃이 편해야 내가 편하고 세상이 편해지니까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