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픔이 길이 되려면 - 정의로운 건강을 찾아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
김승섭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슬픈 소설도 아니고, 감상적인 산문도 아닌데, 이 책을 읽다보면 어느새 눈시울이 붉어지면서 가슴이 먹먹해진다.

 

'역학은 질병의 원인을 찾는 학문이다. 사회역학은 질병의 사회적 원인을 찾고, 부조리한 사회구조를 바꿔 사람들이 더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길을 찾는 학문'이라고 한다. 2000년에 첫 사회역학 교과서가 나오고 불과 10여 년 전부터 세계 유수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주기 시작했다고 한다.

 

성실하고 열심히 그리고 건강하게 살아왔다고 자부해왔는데 어느 순간 예기치 않은 병에 걸렸을 때 그 병과 아픔을 오롯이 자신의 탓으로 돌리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다. 어떤 친구가 있다.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있고 건강을 위해 매일 일정하게 운동도 하고 음식에도 욕심을 부리는 일이 거의 없다. 자타공인 모범적으로 건강을 유지해왔다고 여겼는데 어느날 건강검진에서 느닷없이 당뇨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가족력도 전혀 없었기에 매우 당황스러워한다. 도무지 자신의 상황을 납득할 수가 없다. 병의 원인을 하나하나 찾아보기로 한다.

 

   태아기의 영양결핍이 성인 만성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절약형질 가설'이라고 부릅니다. 혹은 이 분야에 학문적으로 큰 기여를 한 데이비드 바커 박사의 이름을 따 '바커 가설'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태아기의 영양 결핍이 성인기 당뇨병 발생의 원인이 되는 것은 태아 입장에서 지극히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임산부인 어머니가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없는 환경에서, 영양분이 부족할 때 태아는 생명체로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이 한정된 영양분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살아남는 데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해 답해야 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태아는 뇌와 같이 살아남는 데 필수적인 기관에 먼저 영양분을 사용하고, 당장 내 생존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췌장과 같은 기관을 발달시키는 데에는 영양분을 적게 사용합니다. 설사 그 선택이 먼 훗날 당뇨병을 유발해 수명을 단축시킨다 할지라도, 지금의 생존을 위해 먼 훗날 발생할 수 있는 성인병을 감수하는 것입니다.

  이런 연구들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그것은 다름 아닌 인간의 몸에 새겨진 사회적 경험이 얼마나 강력한 것인지를 말해주는 것 아닐까 생각합니다. 특히 생애 초기의 경험일수록 그렇습니다. 어머니의 배 속에 있는 태아나 막 태어난 아이가 굶주리는 것은 같은 기간 성인이 굶주리는 것보다 훨씬 더 치명적일 테니까요.

 

  몇몇 학자들은 이 역사적 비극이 인간의 건강에 장기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탐구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1945년 초 '네덜란드 기근' 시기에 어머니의 배 속에 있던 태아가 훗날 성인이 되었을 때, 다양한 성인병에 걸릴 가능성을 연구한 것입니다. 연구 결과, 심장병에 걸릴 위험이 3배 높았고 조현증(정신분열증)에 걸릴 위험이 2.6배 높았으며 당뇨병에 걸릴 위험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사실은 남의 일이 아니었다. 6.25를 겪은 부모세대와 그 얼마 후에 태어난 우리 형제자매에게도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인 영향을 끼쳤다. 순탄하지 못한 가족사의 원인이 여기에 닿아 있었다. 위에서 말한 친구의 당뇨병의 근본 원인도 여기에 닿아 있었다. 눈시울이 붉어지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책은 이렇게 질병이나 죽음을 사회역학이라는 학문으로 그 원인을 찾아낸다.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삼성반도체 직업병, 원진레이온과 제일화학, 고용불안, 전공의 근무환경과 환자 안전, 소방공무원 인권상황, 세월호 참사 생존 학생 실태조사, 동성결혼과 성소수자 건강, 인종차별, 재소자 건강,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 총기 규제...이런 일들이 과학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제대로 설명이 되는 것이다.

 

미국의 총기사건에 대한 부분에서는 소름이 끼치기도 한다.

 

  미국질병관리본부 보고에 따르면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연간 총기사건으로 사망한 사람이 31만 명이 넘습니다. 매년 3만 명이 넘는 사람이 총기사고로 죽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제 친구의 주장은 국민이 총기를 소유하면 모든 개인이 자신을 지킬 수 있으니까 총기에 의한 사망이 줄어든다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나중에 이것이 미국총기협회가 총기사건이 터질 때마다 하는 주장이자, 실제로 많은 사람이 총기 소유를 옹호하는 중요한 근거라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요?

 

경제적으로 윤택할 수 있는 임상의사 대신 사회역학을 공부하는 학자로 살아가기로 결심한 저자의 글에선 그의 진심과 진정성이 느껴져 다시 한번 눈시울을 붉혔다.

 

  저는 세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하지만, 제가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그런 경험들을 계속하고 그것들에 대해 함께 아파하고 기뻐할 수 있는 감수성을 간직할 수 있기를 또 길러나갈 수 있기를, 그것이 가능한 삶을 살았으면 하는 욕심이 훨씬 커요.

(중략)

그리고 아름다운 사회는 나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 예민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사회, 그래서 열심히 정직하게 살아온 사람들이 자신의 자존을 지킬 수 없을 때 그 좌절에 함께 분노하고 행동할 수 있는 사회라고 생각해요. 점점 그런 인간을 시대에 뒤떨어진 천연기념물처럼 만들고, 타인의 고통 위에 자신의 꿈을 펼치기를 권장하고 경쟁이 모든 사회구성의 기본 논리라고 주장하는 사회가 되어가는 게 저는 싫어요.

 

이 분은 의사가 되었어도 훌륭한 의사가 되었을 텐데....이런 의사를 만나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