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름지기 재미있는 책은, 책을 읽다가 비실비실 웃음이 비어져나와야 하고, 공감에 겨워 무릎을 쳐야하고, 혼자 읽기 아까워 주변 사람들에게 일독을 권해야 한다. 바로 이 책이 그렇다.

 

작가가 인도 여행 중에 겪은 에피소드 한 토막에 며칠이 즐거웠으니...

 

하지만 이 염소수염의 양탄자 상인은 여전히 날 놓아줄 생각이 없었다. "그러니, 손님. 인생은 짧디짧아요. 재산 같은 거 남기면 뭐하나요? 양탄자를 사지 않아도 돼요. 그건 중요한 게 아니죠. 하지만 만약 이게 정말 아름답다고 생각한다면 괜찮잖아요, 하나쯤은. 이 아름다운 양탄자를 소유하는 시간은 인생 전체로 봤을 때 아주 잠깐뿐이겠지만, 양탄자가 당신을 행복하게 해준다면 그 잠깐의 시간이 바로 영원이 되는 것이지요. 이게 바로 시인이 전하고자 했던 말 아니겠습니까? 

 

오마르 하이얌의 시를 읊는 양탄자 상인을 맞닥뜨린 저자는 마침내 비싼 양탄자를 구입하고마는데...물론 사기에 가까운 바가지를  흠뻑 쓰고.

 

대학시절에 접했던 오마르 하이얌의 시도 반갑고 사기꾼에 가까운 양탄자 상인도 추억 속의 첫 인도여행 때 만났던 카시미르 양탄자 상인을 떠올리게 해 매우 즐거웠다.

 

오늘도 바쁘다는 핑계로 대충 적고 마는 게 아쉽다.( 근무시간중이다) 좋은 핑계거리이기도 하고. ㅎㅎ

 

'돌아간다'는 것은 어쩌면 '여행자'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생각인지도 모른다. 어떤 장소에서 모종의 경험을 한 여행자는 그 장소와 연결된 기억을 가지고 살아간다. 소설<어린 왕자>에 나오는 것처럼 여행자와 여행지는 모종의 '길들여지는 관계'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문득 누군가의  입에서 튀어나오는 그곳의 이름을 들으면 곧장 반가움에 '돌아가 보고 싶다'는 마음이 생기기도 한다. 내가 '돌아간다'고 표현한 이유는 어쩌면 이런 의미 아니었을까?

 

'장소와 연결된 기억을 가지고 살아간다.'  무릎을 치며 읽은 구절이다.

 

맛있는 책을 읽는 맛이 좋았지만 어떤 부분에서 슬쩍 짜증이 일어나기도 했다. 바로 식도락여행 부분이다. 지나치게 디테일한 음식 얘기에선 하마터면 책을 덮을 뻔도 했는데, 꾹 참고 끝까지 읽다보니 이런 구절이 이어져서 다시 저자의 생각에 공감하게 되었다는...

 

...게다가 세월이 흐르며 마음가짐에도 상당한 변화가 왔다. '인생은 그저 한 번의 여행 같은 것'이란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무엇이든 시도해보는 것이 중요하고, 재산이란 죽어서 챙겨갈 수도 없는 것이니 인생 속에서 독특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온다면 과감히 '손을 놓는'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마음가짐을 바꾸자 세상에 그 어떤 것에도 돈을 쓰는 것이 두렵지 않았다.

 

여행 중에 비용 때문에 망설이게 될 때는 꼭 이 문장을 기억하리라 다짐하면서.

 

 

책 뒷표지에 적혀 있는 한 구절이 마음에 들어 옮긴다.

 

독서는 앉아서 하는 여행이고, 여행은 서서 하는 독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