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꾸준한 노력으로 체중이 6kg정도 빠졌다. 우선 평생을 트레이드마크처럼 지녀왔던 통통함이 얼마간 사라져버렸다. 얼굴이야 원래 큰 사이즈가 작아질 리 만무하지만 그래도 몸은 제법 가벼워졌다. 심지어 맨바닥에 앉으면 엉덩이 뼈가 아플 정도로 그 푸짐하던 엉덩이살도 빠졌다. 전에는 상상해볼 수도 없는 변화를 맞았다. 진정한 의미의 상전벽해를 몸으로 체험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아프다. 통증이 낫기는커녕 조금씩 강도와 폭을 넓히고 있다. 어제 아픈 곳이 더 아프고 안 아프던 곳도 덩달아 아파온다. 몸은 아프다고 아우성치지만 다시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병원으로 돌아가긴 싫고, 내 몸의 주인이 되어 이러저러한 방법을 강구해보지만.....길이 더디고 멀다. 마음을 다져야겠다는 생각에 책에 몰두하게 된다. 그래서 읽은 책.
이 책의 존재는 알고 있어서 언젠가는 읽으리라 벼르고 있었는데 직장의 '왕언니'가 선물로 주었다. 많이 움직이고 적게 먹고....구구절절 경험에서 우러나온 이야기들인데 극단적인 부분도 없지 않다. 왜 건강관련 프로그램에서 꼭 자막으로 뜨는 구절이 있잖은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체험'일 뿐일 수 있다는. 그러나 이 책은 개인적인 체험보다는 개인적인 소소한 감상과 사유가 책의 몰입도를 떨어뜨린다. 자연을 만끽하면서 사는 사람의 자연 예찬, 일상과 의학적인 소견들이 마구 섞여있다. 낙엽더미에서 도토리 줍듯 내가 필요로 하는 부분들을 걸러내야 했다. 눈에 체를 달고 읽어야 할 듯...
![](http://image.aladin.co.kr/product/772/47/cover150/8993949360_2.jpg)
이 책의 저자는 양의로서 흔치않은 길을 걷고 있는 분이라 진정성이 느껴지나, 이 자연치유의 길은 그리 만만한 게 아니다. 환자를 일컫는 영단어 patient 를 말 그대로 몸으로 실천해야 한다. 인내하고 또 인내하고....이 책을 읽어도 통증을 가라앉힐 손쉬운 방법은 열리지 않는다, 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그래서 또다시 읽게 되는.
몹시 아파본 사람만이 쓸 수 있는 책이다. 내가 아픈 건 아무것도 아니구나, 하는 위로를 얻는다. 책의 서두는 구절구절이 밑줄긋기감이다.
(이하 인용문) 내가 정말로 알고 싶은 것은 질병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이다./ 심각하게 아픈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경험하는 모든 것을 인정해주는 이야기가 필요하다./ 질병은 삶을 위협하지만 살아갈 가치가 어디에 있는지 보여주기도 한다/ 충만한 삶을 산다는 측면에서는 아픈 사람이나 장애가 있는 사람이 건강한 사람보다 훨씬 더 자유로울 수 있다./ 나는 다만 내게 일어나고 있던 일이 조금이라도 인정받기를 원했다./질병은 삶을 바꿀 수 있으며 자기 자신을 생각하는 방식을 바꿀 수 있음을
얼마쯤 읽다가 다시 내 조급증이 발동했다. 중간부분부터 성큼성큼 읽다가, 끝부분에서 한차례 더 엿보다가 책을 덮고 말았다.
아프다고 징징거리느니 동네라도 한 바퀴 돌다와야겠다. 오후에 온다던 남편도 돌아오지 아니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