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저녁을 먹고, 손가락만 까딱하면 영화상영시간 알아보는 것쯤 아무것도 아닌 것을, 그냥 가서 표 끊고 기다리면 되겠지 싶어 아무 의심없이 영화를 보러 갔었다. 그런데 이게 왠 일. 영화상영은 딱 세 차례. 08:30, 12:00, 17:00. 터벅터벅 걸어서 집으로 돌아왔다.
조조영화를 보기 위해 일요일지만 마음 먹고 일찍 일어났다.

mbc PD 였던 최승호의 집요함이 없었다면 나올 수 없는 영화이리라. 기록의 힘 내지는 중요성을 생각하게 된다. 덕분에 모호했던 그간의 언론탄압 과정을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무관심과 게으름으로 저간의 사정에 어두웠는데 이 영화 한 편으로 미안한 마음을 살짝 덜어낼 수 있었다. 영화 한 편으로 면죄부를 산 느낌이랄까.

박정희가 김재규의 총탄에 쓰러지던 날. 과 친구들과 잔디밭에 앉아 교내사진사의 카메라 앞에서 포즈를 잡던 날이었다. 그날 사진을 왜 찍었을까. 다음 해 5.18 때는 또 다시 내린 휴교령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무료한 시간을 보내야 했다. 아는 것도 없었고 알 수 있는 방법도 없었다. 뭔가를 궁리하는 것조차 금지된 시간이었다.
우리 부모세대에게 6,25가 있었다면 우리세대에게는 5.18과 세월호가 있다. 우리세대에게 의무가 있다면 우리가 세상에 남아 있는 날까지 제대로 알고 기억하고 저항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상은 좀처럼 변하지 않지만, 내가 알고 기억하고 저항하는 한 세상은 변하지 않을 수 없다는 믿음을 끊임없이 되새겨야 한다. 영화관람이 참여의 한 방법이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