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혼자서 1931년 조선과 시베리아를 경유하는 파리여행을 감행했다는 게 우선 놀랍다. '파리 도착 이후 파리와 런던에 체류하며 글을 써 일본 잡지사에 보내 송금받아 생활'했다는 것도 놀랍다. 물론 일본이라는 식민종주국 백성이었으니까 가능했었을 것이다. 1930년에 태어난 우리 어머니같은 조선백성에게는 아마 상상도 하기 힘든 일이었을 것이다.
무산자의 모습이란 아무리 인종이 다르다고 해도 보통 단벌 신사로 조선에서 파리까지 다들 같은 풍채입니다.
글 곳곳에서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동지의식을 엿볼 수 있는데 그녀 자신이 프롤레타리아 출신이다.
언제나 진실한 것은 파묻혀 지나가고 다소 연극적인 것이, 으스대는 것이, 상스럽게 비하하는 자들이 어이없게도 어느 나라든 특권을 갖는구나.
흠, 예나 지금이나....
지도를 보고 있으면 유쾌합니다. 인간이 커지는 느낌이랍니다.
내가 감탄한 부분이다. 나 역시 지도를 보고 있으면 생각이 콩나물 자라듯 자라나는 느낌인데...
런던 박물관은 멋집니다. 큰 목소리로 말할 수 없지만 잘도 세계 각국에서 큰 도둑질을 했구나 싶습니다.
이 부분에서 큭큭대다가 기어이 침이 입밖으로 튀어나왔다는...대영박물관에서 내가 받은 첫인상도 이랬었는데, 순 도둑놈들 같으니라구....
요즘 넘쳐나는 책이 여행기라지만 예전 사람들의 여행기를 읽는 맛은 각별하다. 예전에도 가능했는데 지금이라고 못할 게 뭐 있나, 하는 생각도 들게 하고.
이 양반은 어쩜 내 생각과 비슷한지 끝까지 책에서 눈을 뗄 수가 없다.
물질적으로 사치스러운 여행을 한 번도 해본 적은 없지만, 여행 경험만은 제법 풍부해 그 추억은 내 생애에 걸쳐 가장 부귀한 것입니다. 일간 기회가 생기면 외국항로의 짐배라도 올라타 세계의 작은 항구나 거리를 돌아보고 싶다고, 줄곧 공상하며 고대합니다. 나는 사람에게 지치고 세정에 질리면 여행을 떠올립니다.(중략) 나에게는 여행을 가서 객지의 허망속에서 '있는 그대로'를 찾아내는 즐거움이야말로 그리운 천국이기에 여행벽은 점점 심해집니다. 내 영혼은 애수의 소용돌이 안에서만 생기가 넘치는 모양입니다.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에도 이젠 별 매력을 느끼지 못합니다. 여행만이 내 영혼의 휴식처가 되어 가는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