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거. 인간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탈 것. 예전에는 인도에 인력거가 많았다. 초기 인도여행기를 보면 인력거를 타고 가다가 너무나 안쓰러워 인력거꾼과 자리를 바꾸어 인력거꾼을 손님 자리에 앉히고 손님인 자신이 직접 페달을 밟았노라는 얘기를 심심찮게 접할 수 있다. 특히나 인력거꾼이 나이 많은 노인이거나 깡마르고 몰골이 초췌한 사내일 때 동정심을 자아내게 마련이다.

 

인도에서는 대부분 오토바이를 개조해 만든 오토릭샤가 여행자들의 발이 되어주고 있다. 인도여행의 좋은 점 중의 하나는 이 오토릭샤의 편리함이다.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가격으로 가고 싶은 곳에 갈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이만한 게 없다. 다만 릭샤왈라(릭샤 운전사)와 흥정을 해야하는데 그게 그리 쉽지 않고 매우 피곤할 때도 있다는 점이다. 특히나 바라나시와 같은 도시에서는 릭샤왈라의 밀당이 고난이도의 생존기술에 버금간다고나 할까. 인생 전부를 걸고 덤벼드는 듯한 지독한 릭샤왈라를 만나는 날에는 인생공부를 제대로 하게 된다.

 

마두라이. 내가 본 힌두교 사원 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미낙시사원이 있는 곳이다. 이 동네에는 아직도 사람이 밟는 페달로 움직이는 자전거를 개조한 릭샤가 남아 있었다. 마음 아파하며 타고 싶지 않은 것이 릭샤인데 우리 과일킬러여사께서 굳이 이 릭샤를 타고 가신단다. 흠, 인도는 처음이니까 그럴 수 있지. 그런데 이 릭샤왈라 할아버지는 영어를 한마디도 모르신다. 그러나 그건 중요하지 않다. 일단 손님이 있으면 태우고 보고 모르는 길이야 중간중간 행인에게 물어서 가면 되니까. 과일킬러여사와 다른 친구들이 릭샤에 오르는 것을 보고 남편과 나도 호객행위하는 릭샤에 이끌려 릭샤가 있는 곳으로 갔다. 엉? 오토릭샤인줄 알았는데 우리를 기다리는 건 그냥 릭샤였다. 여기까지 와서 거절할 수도 없고 그냥 가기로 한다. 80루피로 흥정했다.

 

얼마 가지 않아서 릭샤아저씨의 셔츠에 땀이 배기 시작했다. 다행이라면 이 릭샤왈라는 젊은 사람이어서 덜 안쓰럽고 덜 미안했다는 점이다. 과일킬러여사가 탄 릭샤는 나이 많은 노인이었는데...

 

호텔에 도착. 흥정은 80루피였지만 20루피를 얹어 100루피를 주었더니 이 젊은 릭샤의 얼굴에 환한 미소가 번진다. 20루피라야 우리돈으로 400원 정도. 오토릭샤왈라였다면 이 정도의 돈에 그렇게 환한 미소를 짓지는 않는다. 그래서 조금은 미안하고 안쓰러운 마음이 들었다.

 

제일 먼저 출발한 과일킬러여사는 한참 후 마지막으로 도착했다. 설명을 듣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고행길이었으리라. 영어 못하는 할아버지는 길도 모르지, 각종 차량에 무시당하지...힘겹게 왔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 통 큰 과일킬러여사께서 드디어 큰 일을 해내었다. 이 가련한 노인에게 500루피를 지불했다는 것이다. 돈을 제대로 쓸 줄 아는 멋진 친구구나, 새삼 감탄스런 마음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