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했을 때, 그 잘못에서 벗어나는 가장 빠르고 올바른 방법은 우선 그 잘못을 인정하고 잘못했다고 말하는 것이다. 잘못을 가리기 위해 혹은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궁색한 변명을 할수록 더 초라해질 뿐이다. 더 구차해질 뿐이다. 개인도 그럴진대 한 나라의 지도적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그러면 이건 해악이다. 이런 온갖 해악질에 사는 게 고달프고 새삼 국가의 의미를 묻게 되는데... 요즈음 해악질 리스트라도 작성하고 싶은 심정이다. 그중 몇개, 훗날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서.

 

 

강신명, 농민 백남기 씨의 사망 총책임자인 전 경찰청장.

 

" 사람이 다쳤거나, 사망했다고 해서 무조건 사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백선하, 농민 백남기 씨의 사망진단서를 작성하신 서울의대교수.

 

" 유족의 반대로 연명치료를 받지 못해 백 씨가 사망에 이른 만큼 사인을'병사'로 표기한 것은 문제가 없다."

 

 

어눌한 코미디언 같은 정치가 이정현의 단식.

 

"G20 국가 중에서 법을 만드는 사람들이 법을 안 지키는 유일한 나라가 대한민국일 거다. 선거제도가 정착된 그러한 나라들 중에서 단식투쟁을 하는 국회의원들이 있는 나라도 바로 아마 대한민국이 유일할 것이다. 여기에서부터 바로 우리 국회의원의 특권이 시작되고 있다”

 

 

호주에는 '국가 사과의 날'이 있다고 한다. 그 과정을 읽어보면 호주나 우리나 거기서 거기지만 그래도 잘못을 인정했다는 의미에서 호주가 선진국임은 확실하다. 우리도 국가 사과의 날을 제정한다면....2월? 4월? 10월?.... 너무 많다.

 

 

다음은 최유필의 <가만한 당신>에서 발췌한 글이다.

 

매년 5월 26일은 호주의 '국가 사과의 날 National Society Day'이라고 한다. '호주 정부가 과거 원주민에게 범한 야만적인 일들을 사과하고 잊지 않겠다는 취지로, 비슷한 잘못을 다 함께 경계하자는 취지로 1998년에 지정했다.'

 

1905년부터 1970년까지, '호주의 백인 정부는 백인과 원주민 사이에 태어난 아이들을 부모와 혈족의 품에서 강탈해 집단시설에 수용한 뒤 결혼과 교육과 노동으로 원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탈색하고 백인화했다'고 한다. 이 국가유괴로 최소 10만 명의 아이들이 수용소로 끌려갔단다. 이들을 '도둑맞은 세대 Stolen Generation'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