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연말이면 이런저런 달력을 얻을 때도 있고 얻지 못할 때도 있다. 특히 주거래 은행에서는 해마다 문자를 보내어 달력을 수령해가라고까지 한다. 그러나 어디 직장이란 곳이 '하찮은' 달력 하나 얻으려고 쉽게 자리를 이탈할 수 있는 곳인가. 감히 7시간의 무단 이석 행위는 생각조차 할 수 없다. 정신이 나갔거나 짤릴 각오를 하지 않는 이상.

 

어찌어찌해서 겨우 얻은 달력에 정을 붙여갈 즈음이면 일 년이 다 갔을 때다. 처음부터 마음을 확 사로잡는 그림으로 시작하면 안될까? 그래서 저질렀다. 1만 6천 원이 넘는 거금이다. 이 작은 사치 덕분에 내년이 성큼 다가와서 나이 한 살 더 먹는다쳐도 별로 섭섭할 것 같지 않다. 단, 지난 전시회 때 직접 내 눈으로 본 마크 로스코의 그림이지만 사진으로 접하는 건 좀 감흥이 떨어지는 일이긴 하다. 뭐, 그때의 감흥을 되새김질하는 수밖에.

 

 

 

 

 

 

 

 

 

 

 

 

 

 달력이 담긴 저 택배상자는 처음 보는 알라딘택배 상자이다. 예전의 LP판을 넣을 수 있는 크기인데 LP판 보다 피자를 넣으면 어울릴 성싶다.

 

 

달력 뒷면. 이런 그림들이 실려 있다.

 

 

어? 빨간 날이 없다. 한 달 내내 경건하게 살아야할 듯. 당연 음력표시도 없다. 표시된 거라곤, Full Moon, New Moon, First Quarter, Last Quarter, 외국의 주요 명절 정도. 각종 기념일을 무시하고 살아도 될 것 같다. 한마디로 '내 맘대로 달력'이다.

 

 

 

달력 얘기가 나왔으니 말인데 내가 몇 년 째 못버리고 주방 한쪽에 걸어놓은 달력이 있다. 지인으로부터 선물 받은 것이다.

 

 그 유명한 차마고도 일대를 한 지역씩 톺아가며 만든 달력이다. 위 그림은 그중에서도 내가 제일 좋아하는 리장(여강)이다. 지금도 저 그림을 보면 집과 집 사이를 흐르던 작은 수로들이 그리워진다. 다시 리장에 간다면 저 달력을 사오리라. 저 달력 때문에라도 리장에 다시 가야할 것 같다.

 

 

달력으로 잠시 사치스런 생각을 해봤다.

 

 

달력을 일찍 구매한 이유.....내 나이 먹는 건 아무래도 상관없다. 이런 시절이 빨리 지나가길 바라는 염원에서다. 염원이다. 그리고 내년에 대한 희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