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균형 아시아 문학선 3
로힌턴 미스트리 지음, 손석주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유일하게 알고 있는 인도인은 크샤트리야 출신이다. 현지 안내인이었던 그와 함께 한 북인도단체여행 때, 교통사고로 사망한 소녀가 길가에 버려져 있는 걸 버스로 이동하면서 목격했다. 교통사고 사망자를 길가에 그대로 방치했다는 사실에 나는 경악했고, 아무도 놀라지 않고 동정심을 나타내지도  않는다는 사실에 연거푸 경악했다. 이 황당한 상황에 당황하고 있을 때 우리의 크샤트리아 출신인 안내인이 이 난감한 상황을 단 한마디로 정리했다.

 

"인도에 사람 많아요." 정확한 발음의 우리말이었다.

 

나는 인도에 관련된 각종 인명사고를 접하게 되면 이 인도친구의 말이 떠오르곤 한다. 사람 하나쯤 죽어나가는 것을 아무렇지도 않게 생각하는 걸까. 아니면 자신보다 계급이 낮은 사람은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일까. 나는 이 인도친구가 특별하다거나 특이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출신이 출신이다보니 자신도 모르는 계급 의식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람이 죽은 것을 보고 눈 하나 깜박거리지 않고 무덤덤하게 말하는 것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았다.

 

이 실화 같은 소설을 읽다보니 이 친구가 떠올랐다. 소설 속 등장인물들의 어이없는 수많은 죽음을 대하는 인도인들은 과연 어떤 생각들을 할까? 계급에 따라 다를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되고.

 

이 소설. 뭐랄까. 과연 내가 알고 있는 인도가 진짜 인도인가? 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읽으면서 괴로웠다. 슬픔은 말할 것도 없고. 책도 두꺼워서 완독하는데 3일 가까이 걸렸는데 다른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오로지 밥 먹고 책만 읽었다. 다른 일은 하기도 싫었다. 내용에 질리고 두께에 질리고 등장인물의 운명에 질리고...온통 질리게 만들었다. 진하디 진한 인도여행 같았다. 아니,징하디 징한 인도여행 같았다. 인도는 뭐든 사람을 징하게 만드는구나 싶었다.

 

그간 인도에 관한 책을 나름 많이 읽었다고 자부하고 있었는데 그 자부심에 찬물과 뜨거운 물을 동시에 끼얹는 이 책. 이 압도적인 소설에 경외감마저 생긴다.

 

그런데 '적절한 균형'이란 제호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리저리 생각해보아도 인도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기란 쉽지 않다. 특히 불가촉천민인 경우에는 더욱. 이 책을 읽어야 비로소 인도에 대한 적절한 균형 감각이 생긴다고 생각하니 좀 이해가 되는 듯도 싶다. 한마디로 진한 독서 체험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